“엄마 보고 싶다고 사진 달라는 놈들이 있을까봐 몇 장 뽑아놨는데도 아무도 달라는 놈이 없다,”
<잊혀진 여인>이라는 영화가 있었다. 영화 포스터 문구가 참 그럴듯했다. ‘세상에서 슬픈 여자는 버림받은 여자, 버림받은 여자보다 더 슬픈 여자는 죽은 여자, 죽은 여자보다 더 슬픈 여자는 잊혀진 여자’ 라고 했다. 죽음보다 더 비참하고 슬픈 일은 목숨처럼 소중했던 자식들로부터 잊혀지는 것임을 어머니 돌아가시고 한참이 지난 후 이해를 했다.
“죽으면 내가 살던 흔적이 하나도 없으면 좋겠다. 사진 다 태우고 영원히 잊혀지기를 원한다”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과연 진심일까? 옛날에 할아버지가 맏손자에게 “내 제사를 지내줄 놈” 하며 애지중지한 것은 귀신이 되어 제삿밥을 얻어먹겠다는 욕구보다는 자신이 죽은 날을 후손들이 잊어버릴까 두려워한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어떤 분은 어머니가 이제 저승길 갈 때가 됐다고 그동안 보관하던 앨범 사진을 불에 태우며 눈물 흘리신 내용을 글로 썼다. 그런 어머니의 모습을 보면서 위로의 말 한마디 건네지 못하고 속으로만 안타까워했다고 했다. 이럴 때 필자라면 “엄마! 엄마 사진 태우지 말고 그냥 두세요, 엄마 보고 싶을 때 꺼내봐야지요” 했을 것이다. 그러면 부모님이 얼마나 좋아하실까!
젊은 세대들은 컴퓨터를 잘 다룬다. 컴퓨터 안에 앨범 사진을 일목요연하게 정리정돈해둔다. 어떤 분이 아들 집에 가서 컴퓨터를 우연히 보게 되었다고 한다. 손자와 손녀가 출생할 때부터 지금까지 성장하는 동안 수백 장의 사진이 글과 함께 잘 정리돼 있었는데 부모인 자기 사진은 없더라는 것이다. 손자 손녀와 같이 찍은 사진 속에서만 어쩌다 모습이 보이더란다. 그렇게 자식은 눈으로는 부모를 보면서 마음으로는 잊고 있는 것이다. 아이들이나 부부 사진은 자동차에도 걸고 거실에도 걸면서 부모님 사진은 한 장 없는 집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깔끔한 성품인 분들은 저승길 들기 전에 자신이 쓰던 물건을 버리고 태우고 정리하면서 감정에 격해져 우시는 분들이 많다. 법륜 스님은 돌아가신 분의 유품 정리는 자손의 몫이라고 했다. 자손이 선친이 돌아가신 후 유품을 정리하면서 버릴 것은 버리고 간직할 것은 간직하면 되는 것이지 살아 있는 사람이 자신의 물건을 마치 죽은 사람 물건인 양 정리하는 것은 지나치다는 생각이다. 더구나 언제 다가올지도 모르는 죽음을 예상하고 눈물을 흘리며 궁상을 떨 필요는 없다. 살아 있는 동안은 즐겁고 신나게 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