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 보는 평창동계올림픽]
평창동계올림픽대회를 일곱 달 남짓 남겨두고 있다. 이번 대회에서는 바이애슬론, 컬링, 아이스하키, 피겨스케이트 등 총 15개 종목의 경기가 펼쳐진다. 이 중에는 우리에게 익숙한 종목도 있지만 처음 들어보는 종목도 있다. 동계올림픽은 하계올림픽과 비교했을 때 비인기 종목이 많다. 그래도 동계올림픽이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개최되는 특별한 의미가 있는 만큼 이를 계기로 대회를 좀 더 재미있게 즐길 수 있도록 동계올림픽 경기종목을 살펴보고자 한다.
2009년 스키점프를 주제로 만들어진 영화 <국가대표>. 관객 수 803만5181명을 기록하며 영화가 흥행되면서 스키점프는 비인기 종목에서 단숨에 주목받는 종목으로 떠올랐다.
급경사면을 90km/h가 넘는 속도로 활강하며 내려오다 도약대로부터 직선으로 허공을 날아 착지한다. 마치 한 마리의 새를 보는 듯한 느낌이 드는 이 종목은 스키 경기의 꽃이라 불리는 ‘스키점프’다.
스키점프 국가대표가 훈련 중인 평창 알펜시아리조트 스키점프대는 노멀힐 K-98과 라지힐 K-125로 설계됐다. 숫자 앞의 K는 독일어 크리티슈 포인트(Kritisch Point)의 약자로 임계점을 뜻한다. 즉 K-98은 98m 이상, K-125는 125m 이상을 비행해야 가산점을 얻을 수 있는 점프대를 말한다. 단순하게 거리가 많이 나가는 선수가 우승하는 종목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 스키점프는 거리점수뿐만 아니라 자세점수까지 포함된다. 총 5명의 심판이 비행과 착지 단계에서 자세를 20점 만점으로 채점한다. 이 중 가장 높은 점수와 낮은 점수를 제외한 3명의 점수와 거리점수를 합산해 순위를 결정한다.
보기만 해도 아찔한 점프대 높이
현장에서 본 스키점프대의 높이는 인터넷에서 본 점프대와는 완전히 다른 느낌이다. 알펜시아 스키점프대 옆에 3개의 보조 연습장이 있다. 15m, 30m, 60m의 연습장 중 가장 낮은 15m 연습장을 사진으로 보고 ‘저 정도면 직접 체험해봐도 좋겠다’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실제로 보는 순간 ‘정말 높다. 체험하는 순간 집에 무사히 돌아갈 수 없을 것 같다’고 판단, 체험은 바로 접었다. 선수들이 경기장으로 사용하는 점프대는 노멀힐 121m, 라지힐 143m의 아찔한 높이를 자랑한다. 과연 어떻게 저 높이에서 아무 안전장치 없이 내려올 수 있을까 싶지만, 스키점프 대표팀은 망설임 없이 시원하게 도약, 허공을 가로지르며 날아오른 후 착지에 성공한다.
장비의 역할이 크다
평창 알펜시아리조트를 찾은 이날은 운 좋게도 대표팀이 스키점프대에 올라 실전 훈련을 하는 날이었다. 선수들의 오전 훈련은 아침 8시 30분부터 시작된다. 점프대에 오르기 전에는 조깅과 스트레칭을 시작으로 자세 교정과 이미지 트레이닝을 함께 진행한다. 이날 <국가대표> 영화 속 실제 주인공인 최흥철 선수와 올해부터 스키점프 코치로 활동 중인 강칠구 코치를 만날 수 있었다. 이들은 약 한 시간 정도 훈련한 후 장비를 챙겨 점프대에 올랐다. 스키점프 장비는 스키(플레이트, 바인딩), 부츠, 슈트, 헬멧, 고글, 장갑, 왁스로 나뉜다. 선수들은 이 중 가장 중요한 장비로 슈트를 꼽았다. 스키점프 슈트는 만드는 회사도 적을 뿐더러 기록에 영향을 끼치는 만큼 매년 규정이 바뀐다. 신체 부위마다 요구하는 정도가 다 다를 만큼 가장 까다로운 부분이다. 심지어 슈트 안에 입는 옷도 규정한다.
최흥철 “올해부터는 배꼽보다 위로 올라오는 상의를 입어야 해요. 배꼽티라니, 너무한 거 아닌가요!(웃음)”
스키점프는 양력을 최대한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 스키와의 다르게 폭이 넓고 긴 스키를 사용한다. 1998년 나가노동계올림픽 때 몸무게가 가벼운 일본 선수들이 긴 스키로 메달을 휩쓴 후 스키의 길이는 선수 키의 146%를 넘기면 안 된다는 규정이 생겼다.
스키점프의 매력을 느끼고 싶다면
선수들의 모습을 가장 잘 볼 수 장소는 도약대 옆에 위치한 관중석이다. 이곳에서는 출발부터 착지하는 구간을 한눈에 볼 수 있을 뿐더러, 구간마다 달라지는 소리를 실감 나게 들을 수 있다. 출발 후 하강하는 소리는 마치 로켓이 발사되는 듯한 큰 소리가 난다. 이후 도약대에서 발을 뗀 5초 정도의 시간에는 순간적으로 고요함이 찾아온다. 그 고요함 속에 날아오르는 선수를 보면 스키점프의 묘미를 느낄 수 있다.
평창동계올림픽엔 최흥철, 최서우, 김현기 선수와 대한민국 유일무이 여자 스키점프 국가대표인 박규림 선수가 출전한다. 자칫 잘못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지만, 그들은 위험을 무릅쓰고 자신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오늘도 힘든 연습을 이어간다.
김현기 “한계점이 없고 계속 배워야 한다는 점에서 스키점프는 끝이 없는 것 같아요. 아직 제가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이루지 못했기 때문에 그날까지 노력할 거예요.”
최서우 “어렸을 때는 가장 낮은 점프대에서 연습하는 것도 무서웠지만 이제는 자면서도 날아가는 꿈을 꿔요. 맞바람을 잘 받는 날이면 ‘내가 정말 하늘을 날고 있구나’라는 기분이 들어요.”
박규림 “예전에는 ‘우와 날아간다~’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어요. 이제는 성적을 신경 써야 하다 보니 그런 느낌보다는 자세와 기록에 초점을 두고 연습하고 있어요.”
스키점프 전망대
스키점프 경기장에 있는 모노레일을 타면 평창 알펜시아의 전경과 대관령의 풍광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전망대에 오를 수 있다. 스페셜 티켓 구매 시 가이드 설명과 함께 K-98 경기장 관람이 가능하다.
가격 성인 기준 2000원 (스페셜 6000원)
운행시간 오전 9시 25분을 시작으로 30분마다 운행
※모노레일 1대의 정원은 17명으로 정원 초과 시, 다음 시간을 이용해야 함.
여름에도 스키점프 가능할까?
스키점프는 동계스포츠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실제로는 여름과 겨울 모두 대회가 열린다. 물이 흐르는 트랙과 플라스틱 풀밭으로 이루어진 인공 환경이 제공된다면 여름에도 스키점프를 즐길 수 있다.
관전 포인트
선수 번호가 대략 1번에서 65번까지 있는데 끝 번호 일수록 랭킹이 높은 선수다. 즉 처음이 아닌 마지막에 뛰는 선수일수록 가장 잘하는 선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