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이 빚은 조각품, 舊石器人 형상(변용도 동년기자)
자연이 빚은 조각품, 舊石器人 형상
기사입력 2017-06-12 13:35
자연의 조화는 언제 보아도 신비스럽다. 사람의 힘과 손놀림으로는 도저히 만들 수 없는 조각이나 그림을 만들어낸다. 그러한 모습을 발견한 순간은 늘 기쁨이고 자연에 대한 경외심이 샘솟는다. 때로는 인간 능력의 한계를 절감한다. 충청북도 단양지역의 천동동굴(충청북도 기념물 제19호) 관람 여행에서 최초로 발견한 구석기인(舊石器人)을 닮은 형상(사진) 또한 그렇다. 이 형상은 동굴 관리기관에서 이미 발견해 놓았거나 다른 사람이 이미 찾은 형상이 아닌 처음 발견이다. 동굴 현장이나 안내 유인물에도 그런 내용은 전혀 없었기 때문이다. 단양지역은 선사 문화의 발상지로서 여러 동굴과 유물들을 만나 볼 수 있는 곳이다. 중기 구석기 시대부터 철기 시대에 이르기까지의 유물들이 충청북도 단양군 적성면 애곡리 남한강 일원에서 발견되고 있고 그 유물들을 “수양개 선사유물 전시관”에서 관람할 수 있다. 석회암이 발달하여 만들어진 동굴은 구석기 시대 사람들의 거주 공간이었다고 한다. 동굴 속에서 돌로 ‘주먹 도끼’나 ‘주먹 찌르개’를 만들고 있는 모습의 구석기인을 빼닮은 이 형상은 선사 문화와 연결하여 이야기를 풀어갈 수 있지 않을까?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임엔 틀림이 없기에 제보하여 활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이 형상은 일반인의 평범한 시각으로는 보이지 않으나 바라보는 시선의 각도, 즉 앵글을 달리하여 보면 찾을 수 있다. 필자는 사진작가로서 자연이 빚은 형상을 찾아 촬영하기를 좋아하고 실제로 많은 종류의 형상을 카메라에 담았다. 그중 일부는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필자는 하나의 피사체를 촬영할 때도 여러 각도와 다른 위치에서 바라보기를 즐겨 한다. 구석기인의 형상 역시 그런 행동의 결과에서 얻은 사진이다. 카메라로 또 하나의 이야기를 썼다. “세상사는 생각하기 나름이고 보기 나름이다.”라는 말이 사진에서도 적용된다. 다시 보아도 여지없는 구석기인 형상으로 자연이 빚은 조각품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 대한민국은 세계인의 초고령화 실험실, “노인 혐오 경계해야”
- 서용석 카이스트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는 우리나라 대표 미래학자다. 그는 초고령사회를 앞두고 우리가 얼마나 대비되었느냐는 질문에 “전혀 준비되지 않았다”고 단호하게 이야기했다. 이어 “준비 없이 맞은 초고령사회의 세대 간 분쟁은 결국 노인 혐오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우리는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초고령사회 진입, 위기이자 기회 초고령사회 진입은 저출산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중 출산율이 1.0명 미만인 유일한 국가로, 2023년 4분기 출산율이 0.6명대까지 떨어
-
- 2025년 초고령사회, 新노년층 등장… “73세까지 근로 원해”
- 우리나라는 2025년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 이상 차지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한다. 노인 인구는 급증하는 반면 생산 가능 인구는 줄어 경제성장 둔화와 노인 빈곤 심화가 우려됐다. 다행히도 현재 노인 인구에 진입하고 있는 베이비부머 세대는 과거의 노인과 구분되는 특징을 보인다. ‘신(新)노년층’으로 불리는 그들의 등장이 어떠한 변화를 야기할지 이목이 집중된다. 점점 늘어나는 노인 인구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 7월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는 1000만 62명, 전체 대비 노인 인구 비중은 19.51%로 집계됐다
-
- “돌봄 골든타임 앞으로 5년” 천만 노인, 어떻게 감당할까?
- 통계청의 장래 인구 추계에 따르면, 2022년 44.9세의 중위연령은 2072년 63.4세로 늘어난다. 이는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속도의 고령화로, 초고령사회가 눈앞에 다가왔음을 실감할 수 있다. 초고령사회에 대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전문가들은 신노년층을 위한 정책과 제도를 마련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 사회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한다. 현재 65세 노인에 진입하는 베이비부머 세대(1955~1974년생)는 ‘신노년층’으로 불린다. 이들은 과거 노인과 비교해 소득·자산 및 교육 수준이 높고, 건강하며 사회 활동을 활발히 한다.
-
- [2025 노후 트렌드⑤] 노후 소득이 달렸다, ‘연금빌리티’
- 대한민국은 OECD 주요국 중 가장 빠르게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어떤 것을 대비하고 갖춰야 할까? 고령화 시계에 가속도가 붙은 오늘날. 브라보 마이 라이프 기자들이 청년, 중년을 지나 다가올 노년을 ‘잘’ 보내기 위해 챙겨볼 만한 키워드 5가지를 꼽았다. 2025년 새해를 맞이하기 전, 해당 내용을 참고해 감수성의 방향을 설정해보자. Keyword 05. 연금빌리티 머니 파이프라인이란 시스템을 만들어 소득을 발생시키는 창구다. 노후를 위한 파이프라인으로 연금이 거론되며, 대표적으로 국민연금, 퇴직연금,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