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와 부여, 익산 일원의 백제역사유적지구 팸투어를 간다는 말에 지인이 한 마디 툭 내뱉었다. 설레이는 마음으로 가방을 메고 출발하는데 김빠지는 소리였다. 그러나 공주 공산성에서 시작해 공주와 부여 일원을 둘러보자, 지인의 말이 무슨 뜻인지 짐작이 됐다. 기원 전 18년, 고구려에서 쫓겨난 비류와 온조가 한강유역 위례성에 세운 백제는, 고구려의 남하로 한성을 내주고 웅진(공주)으로 쫓겨 내려갔다가 사비(부여)에서 찬란한 문화를 꽃피우지만, 결국 나당 연합군의 공격을 멸망하고 만다. 패배의 역사로 얼룩진 백제역사유적지구엔 눈으로 볼 수 있는 건 별로 없었다. 아무 것도 없는 벌판에서 상상력을 발휘하며 1500년 전 그 땅에 살았던 사람들의 발자취를 더듬어내야 했다.
백제인들의 삶은 고단했으리라. 삼국은 늘 치열하게 싸움을 벌였고, 한성에서 공주, 사비로 수도를 옮길 때마다 새로운 성을 쌓느라 백성들은 과도한 노동에 시달렸을 것이다. 성 안에 있던 커다란 사찰에도 많은 사람들의 피와 땀이 서리긴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그러나 백제인들이 남긴 유물이나 유적들을 들여다 보면 온화하고 부드럽다. 모든 왕릉이 도굴 당했지만 고맙게도 무령왕릉 하나가 온전히 남아있어 백제인들의 세련되고 앞선 문화를 엿볼 수 있게 되었다. 유네스코는 백제역사유적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하며 국제성과 개방성을 갖춘 보편적 가치를 인정했다. 무령왕릉이 있는 송산리고분은 한국관광공사가 선정한 ‘한국인이 꼭 가봐야 할 한국관광 100선’에 포함돼 있기도 하다.
공주 공산성에서 시작해 1박 2일 백제역사유적지구를 둘러보았다. 백마강이 내려다 보이는 공산성이나 소나무가 울창한 부소산성을 걷고, 유람선을 타고 아찔하게 깍아내린 낙화암을 보았다. 또한 정림사지에선 정림사 5층 석탑을 보며 돌을 쪼던 백제인을 상상해 보기도 했다.
가장 인상적인 곳은 무왕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었던 익산이었다. 어린 아이들에게 서동요를 부르게 해 신라 진평왕의 딸 선화공주와 결혼한 무왕 이야기가 유명하지만, 사실 무왕은 호방하고 걸출한 기상을 지닌 왕이었다고 한다. 익산에서 백제의 영광을 재현하려 했던 무왕은 엄청난 크기의 왕궁과 사찰을 지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절터인 미륵사지는 건물은 다 사라지고 터만 남았다. 그리고 지금 그곳에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석탑의 복원작업이 한창이다. 절 터엔 복원을 위해 번호를 매겨 놓은 돌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었다.
백제역사유적지구 투어는 과거의 흔적들을 더듬으며 퍼즐조각을 맞추는 게임 같았다. 대부분의 유적들은 사라지고 덩그러니 터만 남아있는 그 곳에서 옛사람들의 숨결을 듣고 목소리를 되살리고 기상을 느껴보려 애썼다. 그러자 보이지 않던 것이 조금씩 보이기 시작했다. 중국과 일본을 넘나들며 동아시아 교류의 중심에 있던 무령왕이 선명하게 떠올랐다. 그리고 무령왕의 어진 위로 새로 선출된 대통령 얼굴이 떠오르며 우리나라도 하루 빨리 동아시아에서 제 위치를 찾을 수 있길 빌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