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든 부모를 사랑할 수 있습니까. 기시미 이치로. 인플루엔셜.2017>
책을 볼 때마다 제목, 작가 프로필, 머리말, 맺음말, 차례, 추천사순으로 꼼꼼히 파보는 습관은 일종의 직업병이다. ‘나이-사랑-부모-있을까?’ 순전히 필자 방식으로 제목을 재배치해본다. 필자에게 의미 있는 순서로 제목을 뜯어보며 ‘글쎄에~’ 하며 애매한 마음으로 책을 펼쳐봤다. 일독을 하고 아들러 심리학자 겸 철학자인 작가는 분명 명상이나 불교의 마음공부를 접해본 사람일 것이라는 추측을 해본다. 머리글을 다시 읽어보니 어릴 적 가정교사와의 인연이 그제야 보인다. 뇌경색 엄마와 치매 아버지를 간병한 저자의 진솔한 경험 이야기는 ‘살아가는 동안 누구나 풀어야 할 본질적인 숙제’라는 부제를 달고 있다. 필자의 지인들에게 유익한 지침서로 강추하고 싶은 책이다.
필자에게는 몇 가지 강박이 있다. 요즘은 시계가 패션이라지만 필자에게는 필수품이다. 달력 역시 눈 닿는 곳마다 둬야만 안심이 된다. 늘 정리해야 한다는 생각도 그중 하나다. 한 번 온 이생을 시간에 쫒기면서 늘 불안과 두려움으로 살아야 하는 고통의 원인은 뭘까? 행복이란? 또 진심으로 원하는 것은? 고심 중에 만난 것이 명상이다. 명상을 하다 보니 불교의 마음공부로 이어졌고 이제 그곳에서 답을 찾고자 애쓴다. 지루해지고 지쳐가던 이즈음, 오늘 문득 답을 엿본 듯하다. 경계에 걸리지 않으면 자유다. 지금 여기에서, 있는 그대로, 거기에서 다시 시작하기 등등이 자유의 전제라는 사실을 저자는 어떻게 알았을까?
‘부모 모시기’가 진정한 수행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자 온몸이 쭈뼛해진다. 살아 있는 것만으로도 가치롭다, 현실의 부모를 받아들이자. 괴롭더라도 눈을 감아서는 안 된다, 곁에 있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함께 있는 이 삶 자체가 소중하다, 인생은 효율이 아니다 등등 간병의 고된 일상에서 나온 저자의 이야기는 구순 노모와 생활하는 필자를 되돌아보게 한다.
당장 리스트를 작성하여 체크하고, 실천 강령을 세워본다.
‘얼마나 깊은 인연이기에 부모 자식으로 엮였을까?’
그동안 필자는 부모와 자식과 무엇을 주고받았는가? 돌이켜본다. 누구나 나이 들어감을 인정해야 한다. 늙음을 받아들이는 용기를 지녀야 한다. 이제는 부모와 자식이라는 역할에서 벗어나 독립된 자연의 인간으로 마주해야겠다. 희미한 기억을 벗고 추억으로 함께하는 순간에 기뻐하며, 현재의 삶에 좀 더 집중해야겠다.
매일 필자가 구순 노모에게 드리는 하루 용돈은 만원이다. 그 돈으로 저녁 찬거리를 준비하시는 재미가 쏠쏠하시단다. 역할을 드리고, 존재를 인정하고, 모시기보다는 함께 즐기기를 권하는 저자의 말에 필자는 어느새 동참하고 있었다는! 무엇보다 ‘가장 큰 효도는 불효하는 것’이라는 말에 힘입어 오늘도 현관문을 나서며 ‘만원의 행복’을 당당하게 부탁드린다.
“고 여사님! 오늘 저녁은 두부김치가 땡기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