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한의사가 말하는 "등산이 좋은 이유"

기사입력 2017-04-26 12:48

4월이다. 봄기운이 완연해지니, 이 산 저 산에 상춘객들이 붐빈다. 우리나라 사람들처럼 산을 좋아하는 나라가 또 있을까? 몸이 안 좋으면 산으로 가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등산을 하면 우리 몸에는 어떤 변화가 생길까?


복식호흡으로 바뀐다

평지에서 조깅을 하면 거친 숨을 내쉬게 된다. 즉 가슴으로 숨을 쉬는 흉식호흡을 빠르게 하게 된다. 그러나 오르막길을 올라가는 등산을 하면 아랫배와 전신을 움직이면서 거친 숨을 헉헉 몰아쉬게 된다. 즉 복식호흡을 하게 된다. 오르막길에서는 평지보다 산소 소모량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숨이 가빠지는 것이다.

쓰는 근육도 다르다. 우리 몸은 이러한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횡격막을 더 아래로 끌어내려서 한 번에 더 많은 숨을 들이쉬게 된다. 숨을 더 많이 들이쉬기 위해서는 더 많이 내쉬는 것이 필수다. 단전호흡을 할 때도 내쉬는 호흡이 더 길어야 한다. 얻기 위해서는 먼저 내놓아야 하는 것이다. 더 많은 숨을 내쉬기 위해 몸은 가슴을 옥죄는 것이 아니라 아랫배를 옥죈다. 그래서 단전과 허리에 힘이 들어가게 된다. 아랫배를 옥죄던 힘을 풀면 호흡이 아랫배까지 깊이 내려가면서 자동적으로 복식호흡이 된다. 이러한 복식호흡은 단전호흡 또는 단전에 뜸을 뜨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도시생활을 하면 머리만 쓰고 몸을 쓰지 않기 때문에, 머리는 뜨겁고 배는 차가운 상열하한증(上熱下寒證)이 생기기 쉽다. 머리가 뜨거워져서 열이 나면 잠을 제대로 못 자고 눈도 충혈되고 건조해지며 어깨와 뒷목은 자주 뭉친다. 반면 아랫배가 차가우면 소화가 안 돼 아랫배가 나오고 전립선이 붓고 정력이 떨어지며 다리와 무릎 힘이 약해지고 손발이 시리며, 여자는 자궁 기능이 나빠진다. 그리고 발바닥을 지압하면 몹시 아프다. 머리와 가슴에 열이 몰리면 화병의 상태와 유사하다. 당연히 컨디션이 좋을 리 없어 학생들의 경우는 학습 효과가 떨어진다. 등산을 하면 자연스럽게 복식호흡을 하게 된다. 이때 인체 상부에 몰린 열은 복식호흡을 통해 아랫배까지 내려가 손발 끝까지 퍼져나간다. 그래서 등산을 하면 잠도 잘 오고 어깨 뭉침도 잘 풀리고 머리와 눈이 맑아지고 밥맛이 나며 정력이 강해지고 다리 힘이 강해지는 것이다. 손발 시림도 많이 완화된다. 머리와 가슴의 열이 내려가므로 화병과 스트레스도 개선된다.

등산을 하지 않던 사람이 등산을 하면 오르막길에서 굉장히 힘들어하며 숨을 가쁘게 쉰다. 하지만 참고 계속 오르다 보면 어느 순간 호흡이 편안해진다. 이때가 바로 뭉쳐 있던 배가 풀리면서 흉식호흡이 복식호흡으로 바뀌는 순간이다. 특별한 질환, 심장 관련 질환이 없다면 복식호흡으로 바뀌는 순간까지 힘들어도 참고 등산하는 것이 좋다. 빈속에 등산하면 복식호흡으로의 전환이 더 빠르다.


밥맛이 좋아진다

등산을 하면 밥맛도 좋아진다. 한의학에서는 섭취한 음식물을 비위가 맷돌처럼 갈아서 소화를 시킨다고 표현한다. 이때 맷돌을 더 잘 돌리려면 팔다리를 많이 움직여야 한다. 등산은 팔다리를 적극적으로 쓰므로 소화에 좋은 운동이다. 동시에 복식호흡으로 횡격막이 내려가면서 배 운동까지 된다. 다시 말하면 더 많은 숨을 내쉬기 위해 아랫배를 옥죄면서 위장의 연동운동이 더 잘돼서 더부룩함이 사라지고 소화에 좋은 것이다.

현대인들에게는 정신적 스트레스가 질병의 중요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의학에서는 이럴 때 기를 돌려서 몸을 치료한다. 약재로는 박하, 귤껍질, 향부자 같은 향이 나는 약재를 많이 사용한다. <동의보감> 기(氣) 편에는 “한가로우면 기가 막힌다”는 내용이 있다. 또 “한가롭게 노는 사람은 몸을 움직여 기력을 쓰는 때가 많지 않고, 배불리 먹고 나서 앉아 있거나 눕는다. 이렇게 하면 경락이 통하지 않고 혈맥이 막혀 노권상이 생긴다. 그래서 귀한 사람은 겉모습이 즐거워 보여도 마음은 힘이 들고, 천한 사람은 마음이 한가해도 겉모습은 힘들어 보인다”면서 “흐르는 물은 썩지 않고 지도리는 좀을 먹지 않으니, 사람도 이처럼 적당히 움직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등산하면서 내쉬는 숨과 땀을 통해 우리는 정신적 스트레스를 풀고 몸을 단련할 수 있다. 특히 현대인들은 하루 종일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 인공의 빛에 노출돼 있는데 이처럼 가까운 것만 보기 때문에 시력에 더 문제가 생기고 마음도 좁아진다. 등산을 하면서 자연의 빛을 받아들이면 눈도 마음도 밝아진다. 따라서 현대인들에게 등산은 매우 필요한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뼈가 튼튼해진다

우주 비행사들에게는 골다공증이 직업병처럼 발생한다. 무중력 상태에서는 뼈가 그다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몸이 뼈를 발달시키지 않는 것이다. 중력이 없는 바다에서도 뼈가 필요하지 않아 문어, 오징어가 바다에서 살고 있다. 자연에는 사치가 없다. 자연은 필요 없는 것은 발달시키지 않는다. 어릴 때 많이 맞고 자라면 통뼈가 된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뼈는 중력, 즉 압박을 받아야 골밀도가 높아진다.

골다공증 환자가 배낭을 메고 산을 오르면 뼈에 강한 압력이 걸리면서 뼈가 단단해진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어느 산을 가 봐도 40~50대 주부들이 많다. 이것은 등산이 그분들에게 적합하기 때문이다. 다만 뼈의 상태를 봐서 정도에 맞게 운동해야 한다.

하산하다가 무릎을 다쳐 한의원에 오는 환자들이 제법 있다. 대부분은 산을 오를 때보다 내려올 때 다친다. 등산할 때는 먼저 몸을 푼 뒤 올라가야 한다. 또 하산할 때는 정면으로 내려오지 말고 옆걸음이나 뒷걸음질 치듯 비스듬한 자세로 내려오는 게 좋다. 무릎 충격이 한결 덜하다.

계곡 길을 땀을 뻘뻘 흘리면서 올라갔다가, 능선에 올라서자마자 불어오는 찬바람에 맞아 독감에 걸리는 경우도 많다. 땀구멍이 열린 상태에서 능선의 강한 바람을 맞으면 바람이 몸속 깊숙이 들어가기 때문에 감기가 심하게 걸리고 오래간다. 따라서 능선에 오르기 직전에 방풍이 되는 옷을 입어주는 것이 좋다. 감기에 걸렸을 때는 온탕에서 온몸을 풀어준 다음, 쌍화탕이나 생강차를 마셔주면 좋다.


최철한(崔哲漢)

본디올대치한의원 원장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박사. 생태약초학교 ‘풀과나무’ 교장. 본디올한의원네트워크 약무이사. 저서: <동의보감약선(東醫寶鑑藥膳)> <사람을 살리는 음식 사람을 죽이는 음식>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땀으로 지병 없애고, 복근 남겼죠”
  • 패션부터 여행까지… 소비시장 주도하는 욜드족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커피 내리는 현장 남고자 승진도 마다했죠”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