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감미로운 음악이 진정한 <사랑의 묘약>

기사입력 2017-03-16 16:17

봄은 사랑의 계절이다. 겨우내 죽은 듯이 잠자던 고목에 생기가 돌듯이 움츠렸던 몸이 기지개를 켜고 기운이 생동하기 시작한다. 처녀들 볼이 발그레 물들고 총각들 장딴지에 힘이 넘친다. 새 생명의 싹들이 돋아나듯 가슴마다 사랑이 물든다. 그렇다 봄은 사랑하기 좋은 계절이다. 그러니 어찌 방안에만 갇혀 있으랴! 모처럼 오페라 나들이를 했다.

이번 <사랑의 묘약>은 정확히 말하면 정식 오페라가 아니라 ‘오페라 콘체르탄테’다. 이는 콘서트 형식을 띤 오페라로 구체적인 연기나 배경이 없이 오케스트라와 성악이 중심이다. 오히려 오페라보다 오케스트라의 음을 제대로 들을 수 있어 더 좋기도 하다.

가에티노 도니체티의 <사랑의 묘약>은 ‘오페라부파(희극 오페라)’로 경쾌한 음악과 희곡적 스토리 덕분에 오페라를 잘 모르는 사람도 신이 나고, 낯익은 멜로디가 많아 친근감이 느껴진다. 스토리는 제목으로도 상상할 수 있듯이 사랑에 관한 것이다. 흔히 있을 법한 사랑의 삼각관계. 소박한 농촌 총각 네모리노(매튜 그릴스:테너)냐 아니면 멋진 하사관 벨코레(김주택:바리톤)냐? 이 두 사람 중 망설이는 절세미인은 아디나(이윤정:소프라노)다. 그녀 옆에는 친구 잔네타(윤성회:소프라노)가 있다.

첫 대목 아디아가 마을 사람들에게 <트리스탄>의 전설을 읽어주는 대목에서 ‘사랑의 묘약’의 복선이 깔린다. 그런데 애타는 네모리노에게 그 사랑의 묘약을 들고 둘카마라(사무엘 윤:베이스바리톤)가 구세주처럼 나타난다. 네모리노는 대뜸 가진 것을 다 털어 이 약을 사고 약효가 나타나기를 하루 동안 기다린다. 하지만 아디나는 표변한 네모리노에게 복수하는 마음으로 벨코레와 결혼을 선언한다.

마음이 급해진 네모리노는 다시 둘카마라를 찾아가 약을 더 사려 하는데 빈털터리다. 할 수 없이 입대하는 조건으로 벨코레에게 돈을 받아 묘약을 사 먹고 약효를 기다리며 아디아에게 또 무관심한 척한다. 그 사이 네모리노 삼촌이 거액을 네모리노에게 상속했다는 소문이 돌아 잔네타와 마을 처녀들은 모두 네모리노에게 친절히 대하고 그의 사랑을 차지하려 한다.

이에 네모리노는 드디어 ‘약효가 나타나는구나!’라고 생각하는데 아디아가 돌아와 사랑을 고백한다. 네모리노가 자신을 모른 체하자 자신이 진정으로 사랑하는 사람은 네모리노임을 깨달은 것이다.

속성 작곡가이고 한 번 작곡한 곡은 다시 보지 않는 도니체티는 이 오페라를 장장 2주에 걸쳐 고치고 또 고쳤단다. 그 때문인지 아름다운 아리아가 많다. 그중 백미는 2막에서 네모리노가 부르는 ‘남몰래 흐르는 눈물’이다. 이 곡은 1832년 밀라노 초연 때에는 ‘희극 오페라에 웬 생뚱맞은 단조의 슬픈 멜로디냐?’라며 관객들의 호응을 받지 못했단다. 하지만 언제 들어도 감미로운 그 멜로디는 공연이 거듭됨에 따라 사랑받는 명곡이 되었다.

이번 공연에서 특히 시선을 끄는 것은 둘카마라 역을 맡은 사무엘 윤의 분장과 코믹한 연기다. 약병으로 소주병을 들고 나온 것도 관객에게 친근감과 웃음을 더했다. 매튜 그릴스는 “남몰래 흐르는 눈물‘에 혼을 다 쏟아 부었다.

아름다운 벨칸토를 잘 소화해 낸 소프라노의 활약도 극의 완성도를 높혔다. 여기에 호세 미구엘 에산디의 부드러우면서도 절도 있는 지휘가 더해졌다. 전체적으로 매우 감동적이어서 관객 중 한 외국인이 기립박수를 치며 모두 일어서기를 권했지만, 양반 기질에 수줍음이 덧입은 우리는 쉽게 일어서지 못했다. 그냥 마음속으로만 벌떡 일어났다.

돌아오는 길은 밤인데도 ‘남몰래 흐르는 눈물’이 봄날의 햇빛처럼 온몸에 속속들이 스며들었다. 본디 <트리스탄과 이졸데>에 등장하는 사랑의 묘약은 죽음을 불러왔지만, 흥겨운 오페라에선 진짜 사랑의 묘약이 되었다. 그렇다. 음악이야말로 진짜 사랑의 묘약이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중년의 풀리지 않는 숙제, 인간 관계 맺음 5가지 유형은?
  • 길어진 노후, 순탄한 인생 위한 중년의 관계 방정식
  • 김수환·이어령, 그들은 왜 추앙받았나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