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한 번뿐인 인생 관리법

기사입력 2017-01-05 14:58

▲한 번뿐인 인생 관리법(박미령 동년기자)
▲한 번뿐인 인생 관리법(박미령 동년기자)
우리가 미래를 예측할 수 있을까? 확정된 미래가 있다면 그것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 새해를 맞으며 부쩍 드는 의문이다. 하도 어수선한 지난 연말을 헤쳐 나오다 보니 세상을 한 치 앞도 내다보기 어렵다는 느낌이 든다. 과거 뉴질랜드 사는 친구가 교포들 사이에 유행하던 말이라며 ‘뉴질랜드가 재미없는 천국이고 한국은 재미있는 지옥’이라던 말이 문득 생각난다.

젊은 시절 우리는 대부분 미래를 예측하며 살았다. 적당히 대학을 졸업해도 누구나 어디든 취직이 되었으며 열심히 저축하고 살면 집 한 채 정도는 장만했다. 경제는 계속 좋아지는 것으로 알았고 주머니는 언제나 두둑해지는 것으로 생각했다. 자녀들의 세상도 그러리라 생각하고 비슷한 과정으로 내몰기 위해 열심히 학원 보내며 대학입시에 매달렸다.

그런데 이 무슨 날벼락이란 말인가, 세상이 우리 생각대로 돌아가지 않는다. 주위에 하나둘 망하는 회사가 생기기 시작했고 수입은 점점 줄어든다. 자녀들은 우리 때보다 훨씬 더 열심히 공부하고 좋은 대학을 졸업했건만, 도무지 취업이 안 된다. 빨리 시집 장가가서 아들딸 낳고 잘 살기를 바랐건만, 껌 딱지처럼 집에 붙어 있다. 우리가 꿈꾸었던 미래가 온통 뒤죽박죽이다.

아하, 세상이 바뀌었구나라고 깨닫는 순간 미래가 보이지 않는다. 자녀들 잘 키워놓으면 적당히 기대 살리라던 희망도 한순간에 물거품이 되었다. 이젠 저성장 사회가 되었으니 거기에 맞춰 살아야 한다는 경제학자들의 뒷북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한때 ‘재미있는 지옥’이라는 말에도 웃으며 내심 우리의 성장을 대견해 했지만, 어느덧 ‘재미도 없는 지옥’으로 바뀌고 말았다.

삶이 뒤죽박죽된 것도 문제지만, 열심히 살면 미래에 행복이 찾아오리라는 기대마저 산산이 조각난 것이 더 심각하다. 말하자면 미래의 행복을 담보로 현재의 어려움을 견뎠는데 미래의 행복이 사라졌다는 이야기다. 이는 젊은 세대에 더 심각하다. 이웃 나라 일본에는 이미 덜 벌고 덜 쓰고 덜 일 해도 행복하다는 도인 같은 ‘사토리(달관) 세대가 등장했다지 않는가.

서울대 김난도 교수는 그의 책 <트렌드 코리아>에서 2017년 트렌드로 ‘YOLO’를 꼽았다. 'YOLO'는 요즘 유행하는 구호로 'You only live once(한 번뿐인 인생)'의 머리글자다. 그는 “저성장, 저물가, 저금리 시대에 불안한 미래에 투자하기보다 현재에 집중하게 되는 건 필연적인 결과”라며 “욜로족은 현재의 행복을 위해서라면 무모하더라도 도전하고 실천하는 사람”이란다.

트렌드라고 해서 꼭 따라 할 필요는 없지만, 내심 공감이 가는 것도 사실이다. 연세대 서은국 교수도 행복은 ‘기쁨의 강도’가 아니라 소소한 일상에서 행복을 찾는 ‘빈도’가 중요하다고 하지 않았는가. 미래가 보이지 않는다면 현재의 삶에 집중하는 것이 타당하다. 불확실한 미래를 위해 오늘의 행복을 저당 잡힐 순 없다.

<빨강 머리 앤>에서 앤이 말한다. “세상이 계획한 대로 되지는 않네요. 그렇지만 우리가 생각지도 못한 세상이 펼쳐지네요.” 미래가 생각대로 되지 않는다고 걱정하지 말자. 새해 벽두에 오바마처럼 말해 보자면, ‘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김수환·이어령, 그들은 왜 추앙받았나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