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까지만 해도 떡국은 설이나 결혼식에서만 먹을 수 있는 음식이었다. 명절마다 먹는 음식이 정해져 있어 그날이 되면 색다른 음식을 먹은 이야기가 화제가 되곤 했다. 그러나 요즘은 언제라도 명절 음식을 먹을 수 있고 제철 아닌 과일도 늘 맛볼 수 있다. 기다리는 기쁨을 빼앗긴 기분이다.
설날이 다가오면 장보기와 음식 장만하기가 김장을 하는 것만큼이나 커다란 행사여서 재래시장이 북적이고 정다운 덕담들이 오가곤 했다. 친척들은 돌아가며 청주나 과일을 들고 인사를 왔고 또 싸서 보낼 것을 대비해서 음식 장만이 만만치 않았다.
추운 겨울 새벽에 엄마가 흔들어 깨우면 언니와 필자는 일어나 옷을 주섬주섬 껴입고 불린 쌀을 나누어 이고 방앗간으로 향했다. 방앗간엔 사람들이 주욱 늘어서 차례를 기다렸다. 우리도 그 줄에 서서 기다렸다. 털신을 신고 있어도 발이 엄청 시렸고 볼은 추위에 떨어져나가는 듯했다. 드디어 차례가 되어 방앗간 안으로 들어가면 기계 돌아가는 소리와 뜨거운 떡시루에서 뿜어져 나오는 김으로 온통 뿌옜다. 쌀을 빻고 떡으로 찐 뒤 가래떡 기계에 넣으면 모락모락 김이 나는 가래떡이 두 줄로 나오기 시작했다. 이때 방앗간 아저씨는 적당한 길이로 잘라 서로 붙지 않게 물에 담갔다가 우리가 준비해간 함지박에 나란히 줄을 세워 담아주었는데 마지막에는 자투리가 두 줄로 끊어지곤 했다.
자투리는 언니와 필자의 몫이었다. 그 가래떡 맛은 지금도 잊을 수 없다. 따뜻하고 말랑말랑한 가래떡에서는 구수한 쌀 냄새가 확 풍겼다. 뜨거운 함지박을 머리에 이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은 갈 때보다 훨씬 따뜻하고 신났다. 언니와 필자는 균형을 잘못 잡아 휘청거리며 걷곤 했는데 그러면서도 함지박이 떨어질까봐 긴장하며 꼬옥 잡고 걸었다. 그런 우리의 모습을 대견하게 바라보며 엄마가 함지박을 반갑게 받고 나면 식구들이 둘러앉아 가래떡을 조청과 간장에 찍어 맛을 보았다. 그 쫄깃하고 폭신폭신한 맛은 방앗간에서 바로 빠져나온 떡이 아니면 맛볼 수 없다.
이후 떡을 가지런히 펴서 밖에 내놓고 적당히 굳어지면 모두 둘러앉아 떡을 칼로 썰었다. 가마솥에선 육수를 내는 구수한 냄새가 밤새도록 났고 엄마는 부엌 불을 밝히고 밤새 음식을 만드셨다. 필자가 잘 때도 일어났을 때도 엄마는 부엌에 계셨다. 도마소리와 기름에 음식 지지는 소리가 자장가처럼 들려왔다. 대구나 조기, 생태를 사다 눈과 바람에 말렸고 그것을 찜으로 상에 올리시곤 했다.
설날 아침에 상을 차리고 음식이 한둘씩 오르기 시작하면 신이 나고 침이 꼴깍 넘어갔다. 움집에 묻어놓은 김치는 미리 꺼내오면 맛이 없다고 상차리기 바로 전에 꺼내곤 했는데 주로 막내인 필자가 그 일을 담당했다. 김칫독은 필자의 키와 거의 비슷해서 어떤 때는 물구나무서듯해서 꺼내야 할 때도 있었다. 또 김치를 손에 잡기는 했는데 절반쯤 빠져 있는 몸을 들어 올리지 못해 낑낑댈 때도 있었다. 독 속에서 엄마를 부르면 오빠나 언니가 달려와서 필자 다리를 끌어당겼다. 그 시절 “엄마~” 하고 불렀던 소리가 아직 메아리처럼 들리는 듯한데 이제 엄마는 떠나시고 나만 남았다. 모든 생명은 끝이 있지만 그리움의 끝은 없는 것 같다. 그렇게 필자도 아이들에게 아련한 그리움으로 남게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