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로즈엄마의 미국 이민이야기] (7) 아메리칸드림 1*

기사입력 2016-07-05 13:30

▲미국의 타이탄 산맥. (양복희 동년기자)
▲미국의 타이탄 산맥. (양복희 동년기자)
미국 세탁소는 오후 7시까지 꼬빡 12시간 영업한다. 전 지역 어느 곳에서나 거의 똑같다. 드디어 이민생활 3년 만에 국제적 해변도시 산타모니카에 작은 클리너(세탁소)를 갖게 되었다. 필자의 가족은 커다란 꿈이라도 잡은 듯 잠을 이루지 못했고, 그것은 첫 번째 아메리칸드림이라고 사람들은 말했다.

100년이 넘은 건물, 세탁소 옆에는 이란 마켓과 침대 파는 곳이었다. 철창으로 된 세탁소 뒷문은 오랜 세월에 녹이 슬어 있었다. 50여 년 전통의 세탁소 철창문을 열고 들어갔다. 웅장한 각종 기계들이 새 주인을 맞으며 우뚝 자리를 잡고 서있었다. 낡고 수명을 다한 것들도 눈에 띄었다. 필자는 미국의 세탁소에는 낯이 설었고, 시커먼 바닥과 높은 천장에는 몇 십 년 묵은 먼지들이 너덜너덜 달려있었다. 마치 납량 영화 속 창고 같아 대대적인 청소를 시작했다.

매일 새벽 5시면 일어나서 먹을 것들을 준비하고 6시쯤 집에서 출발을 한다. 세탁소까지는 약 33마일로 40분 거리에 있었고, 405번 프리 웨이를 타고 산타모니카로 달려가는 새벽 공기는 아침을 산뜻하게 열어주었다. 신나는 팝송을 틀어놓고 남편과 함께 가는 길은 드림(꿈)만 같았다. 미국의 프리웨이는 부지런한 차량들로 이른 새벽부터 삶을 향해 거대한 불바다를 이룬다. 영락없이 6시 40분, 중고차는 덜덜거리며 세탁소에 도착했다. 미국의 몰(상가)들은 뒷문 쪽에 대체로 주차장이 마련되어있었다.

철창문을 열고 가게로 들어가 남편은 제일 먼저 전기 불 스위치를 올리고 가장 중요한 보일러를 켠다. 하루 시작을 알리는 웅~소리와 각종의 기계들이 뒤섞여 묘한 소리가 신고식을 한다. 진한 커피와 함께 초보 이민자 필자에게 남편은 이것저것 가르쳐 주기 시작했다. 아침 7시가 되면 뜨거운 다림질을 해대는 멕시칸 2명이 도착하고 9시면 바느질 아줌마가 출근을 한다. 금발 머리 첫 손님과 남편은 한참 동안 수다를 떨었다. 미국 사람들은 남녀가 수다 떠는 것을 참 좋아했다.

남편은 전날 들어온 각종 세탁물에 손님마다 제각각 다른 색깔로 번호 딱지 붙이는 작업을 지시했다. 왜냐하면 손님들 옷들이 서로 뒤섞이면 찾아내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얼룩 부위에는 빨간색 테이프를 붙여 그 위치를 선명하게 표시해주고, 옷 색깔 별로 분리해서 세탁 장소로 이동을 한다. 남편은 스팀 건(총)으로 우선 얼룩을 빼주고는 커다란 드라이 기계 통속으로 던져 버렸다.

정신없이 돌아가는 기계 소음과 수많은 빨래들 속에서 필자는 머리를 갸우뚱거렸다. 도대체 남의 나라에서 때묻은 옷에 딱지를 붙이는 삶이 아무리 생각해도 꿈같지는 않았다. 클리너(세탁소)란 온갖 더러움으로 굴러 온 삶의 얼룩들을 깨끗하게 빨아주는 직업이다. 그야말로 3D 직업 중 하나로 지극 정성으로 노동을 투자해야만 달러로 연결된다. 옷 구석구석에 세심한 노력과 많은 땀을 흘려야 하는 아주 정직한 비즈니스였다. 아무리 곰곰이 따져봐도 결코 아메리칸드림이 뭔지 알 수가 없었다.

그사이 남편은 빨리하라고 독촉을 했다. 세세하게 주머니 속까지 먼지 하나 없이 털어내라고 하더니 느리다고 보채는 것이다. 결코 쉽지 않은 작업이었고, 반나절도 되지 않아 온몸이 쑤셔왔다. 남편은 필자가 오기 전부터 단단히 당부를 했었다. 미국은 노동으로 먹고살아야 한다며 몇 번을 확인해왔고, 필자는 알았다고 했지만 아무 개념이 없이 가족과 함께한다는 생각뿐이었다. 태어나 생전 처음으로 피땀 흘리는 노동의 현실은 만만치가 않았다.

어느 날, 대형 보일러가 터졌다. 세탁소 모든 작업이 중단되었고 남편은 이리저리 뛰더니 거금을 들여 메카닉(기계 고치는 사람)을 불렀다. 그는 이민생활 30년 동안 아직도 떠돌이 생활로 미국 전 지역을 다닌다며, 필자 부부가 세탁소 하는 것을 엄청 부러워했다. 그는 필자에게 행복한 줄 알라며 충고도 했다. 자기는 방방곡곡 힘들게 일해도 수입은 겨우 먹고 살 지경이라며 푸념을 해댔다.

삶의 질을 찾아온 곳, 좀 더 나은 삶을 위해 왔지만 결코 남들이 말하는 아메리칸드림은 실감 나지 않았다. 육체적 노동이 피부로 익숙해지기까지는 보통 일이 아니었다. 필자의 머릿속을 혼란스럽고 어지럽게 하는 것은 정신적 안정감의 결함이었다. 갑자기 바뀐 환경 속에서는 저녁이면 초주검 되어 쓰러지고, 다음날 아침이면 또 일어나야만 낯선 곳에서는 살아갈 수가 있었다.

먼저 온 사람들은 이구동성으로 말했다. 처음 와서 1년은 지옥 생활이고 2년쯤 되면 숨을 쉴 수가 있고 3년쯤 돼야 조금씩 미국이 보이기 시작한다고 했다. 적어도 5년은 지나야 적응이 되면서 한국 생각이 덜 난다고 위로를 했다. 이민 생활에도 공식이 있었던 것이다. 그때까지 자신과 싸워가며 견딘다는 것은 대단한 일이었다. 결국 며칠을 쓰러져 약에 의존했다. 병원은 한국보다 10배는 비싸서 갈 수도 없었다. 급기야 우울증까지 겹쳐오며 정신이상 증세까지 보이기 시작했다.

필자는 어스름밤이 찾아오면 아파트 앞에 쪼그리고 앉아 한국을 향해 울고 있었다. 남들이 말하는 소위 아메리칸 드림이라는 것은 엄청난 과정을 겪어내야만 이룰 수가 있었다. 세탁소를 갖게 된 행복은 꿈을 향한 시작에 불과할 뿐이었다. 필자는 하루하루 녹초가 되어 병자가 되고 있었고, 아메리칸드림이라는 것은 처음부터 피나는 노력을 그 필수조건으로 요하고 있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중장년의 '어른 공부'를 위한 공부방, 감이당을 찾다
  • 중년 들어 자꾸만 누군가 밉다면, “자신을 미워하는 겁니다!”
  • “은퇴 후 당당하게” 명함 없어도 자연스러운 자기소개법은?
  • ‘낀 세대’ X세대 무거운 짐, 홀가분하게 나누는 법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