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8·15 기획... 이 독립투사에 꽂힌 이유] 신재 김 원휘

기사입력 2016-06-29 14:08

김원휘 목사는 독립유공자다. 필자가 애틋하게 그리워하고 그리워 더욱 존경스러운 아버지다.

아버지 김 목사는 갑신정변의 해 1884년 7월 20일 경북 의성군에서 태어났다. 의성군은 안동군과 함께 우리나라 유교의 본고장이고 한학 수준이 높았다. 그래서 어려서는 서당에서 한학공부를 했다. 그러나 밀려오는 신학문의 흐름을 빨리 받아들여 대구에서 기독교 학교에서 교육받았다. 기독교에 귀의하게 되고 한국 유일의 신학교인 평양신학교로 진학했다.

1919년 방학을 마치고 면학을 위하여 평양에 갔을 때는 이미 독립운동의 격랑으로 학교는 휴교 상태였다. 귀향하는 길에 서울에 잠시 머물렀고 서울서는 독립을 위하여 전 국민의 궐기가 동시에 거행되어야 하며 독립투쟁을 위한 전 국민의 궐기는 독립을 쟁취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가졌다. 서울서 의성으로 귀향하는 길에 김천시에 들렸다. 같은 신학생인 김충한에게 김천에서의 독립 만세시위를 주도할 것을 당부했다. 김천군에서는 그해 3월 11일에 독립만세 시위를 계획하였으나 10일에 김충한이 검거됐다. 모진 고문을 받았으나 끝까지 함구하므로 3월 11일에 예정대로 김천시의 독립만세시위는 거행되었다. 김충한은 2년의 옥고를 치렀다.

김 목사는 안동시의 녹전교회를 거쳐 의성군에 들어온다. 의성군에서는 녹전교회의 박영화 목사와 먼저 대구 시위에 참가하였던 계성학교 학생 박영신과 힘을 합쳐 독립만세 시위를 주도했다.

총칼 앞의 무모한 맨손의 시위였다. 일본 고등경찰에 붙잡힌 김 목사는 고문과 재판 과정을 거쳐 1년 6개월의 형을 받았다. 악명 높은 서울 서대문 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뤘다.

출옥 후에는 경북의 여러 지역교회에서 목회했다. 목회지마다 유치원을 설립하고 야학당을 열었다. '아는 것이 힘이다' 는 그 시절의 우리 민족의 시대적인 슬로건이었다. 민족의 힘을 기르는 온건하고 강인한 독립의 길을 택한 것이다.

김 목사는 1949년 5월 23일 지병으로 타계했다. 지금은 대구 동구 신암동의 선열묘역에서 1994년에 소천한 어머니와 함께 평화스러운 안식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낀 세대’ X세대 무거운 짐, 홀가분하게 나누는 법
  • 중년의 풀리지 않는 숙제, 인간 관계 맺음 5가지 유형은?
  • 길어진 노후, 순탄한 인생 위한 중년의 관계 방정식
  • 김수환·이어령, 그들은 왜 추앙받았나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