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중년의 유혹 Part 2. 희망] 희망의 떨림이 멈추지 않는 한 인생 후반전은 더 넓게

기사입력 2016-06-07 09:12

<글> 김정숙 홍보컨설턴트

대학에 입학하던 해 아버지는 내게 나침반을 선물하셨다. 가죽 케이스에 들어 있었다. 그때는 나침반 선물의 의미를 잘 몰랐다. 나이 오십에 들어서고 나니 하고 싶었던 말씀이 무엇인지 알 것 같다.

떨림을 멈춘 나침반은 아무 쓸모가 없다. 타오르는 불꽃은 항상 더 높이 오르려고 혀를 날름거리며 떤다. 사람이라면 심장의 떨림이 있으라는 무언의 메시지였다. 방향 없이 나아가지 말아야 한다는 압력이었다. 지금도 그 나침반은 떨림을 멈추지 않고 있다. 나침반 바늘은 떨면서 묻는다. “떨림 없는 시간을 살고 있지 않나”라고. 선택의 순간마다 아버지의 나침반이 있었다.

지금도 심장이 떨리는 일을 찾아 공부하고 사람들을 만난다. 작은 모임을 꾸리고 그 모임이 또 다른 모임을 만든다. 느슨하지만 가느다란 연대의 끈은 놓지 않고 있다. 학교를 마친 이후에도 공부를 멈춘 적이 없지만 학위는 없다. 끊임없이 글을 쓰지만 작가 명함은 없다. 자격증 따는 일과는 거리를 두고 살아온 듯하다. 학위를 바랐다면 대학원을 갔어야 했다. 작가 명함이 필요했다면 책을 냈어야 했다. 간절히 필요하지 않았다. 상황에 따라 필요한 공부를 했고, 매일 글을 읽고 쓰는 생활이 즐거웠을 뿐이다.

떨림은 희망이다. 사막을 40년 동안 헤매면서도 유대인들이 포기하지 않은 이유는 ‘가나안’이란 보이지 않는 희망 때문이었다. 우리는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더 귀하게 여긴다. 목적지까지 길이 얼마나 험한지 알고 간다면 금방 지쳐버리거나 중간에서 포기할지도 모른다. 보이지 않는 것이 힘이 더 세다. 사실 우리는 희망으로 구원을 받는다. 보이는 것을 희망하는 것은 희망이 아니다. 보이는 것을 누가 희망하는가.

오십을 넘기면서 성한 데보다 상한 데가 많아서인지 상처에 와 닿는 소금기가 자주 느껴진다. 그럴 때면 눈에 보이지 않는 희망에 대해 생각한다. 희망을 희망하는 존재를 지켜주는 것은 서로 입장을 바꿔 생각해보는 일이 아닌가 싶다. 인간은 사실 입장을 바꿔 생각하기 어려운 존재다. 생각도 존재가 만든 집이고 보면 더욱 그렇다.

아이들이 어릴 때 작은 케이크를 나눠 먹으라고 주면, 두 녀석은 서로 많이 먹겠다고 다툰다. 평소에도 다툼이 일상인 형제지만 먹는 것으로 다투는 것은 딱해 보였다. 솔로몬의 해결책을 고민했다. 아무리 어린애라도 둘 다 불만을 품을 수 없는 해결 방법이 필요했다.

“네가 형이니까, 케이크를 두 조각으로 나누렴. 그런 다음에는 동생인 네가 먼저 고르렴”

이렇게 하니, 형은 기를 쓰고 똑같은 크기로 케이크를 잘랐다. 형은 자를 권리, 동생은 고를 권리를 가졌으니 불만이 있을 수 없다. 혹 불만이 있다 해도 겉으로 드러낼 수가 없다. 입장 바꿔 생각하기가 어렵다 보니 제도적으로 만든 것이 민주주의의 핵심일 것이다. 내 맘대로 하고 싶은 욕구가 통제되기 시작하니, 이 또한 나이 듦이 주는 선물이다.

인도 힌두교에서는 50세가 넘은 남자는 임서기(林棲期)라 하여 가정을 떠나 숲 속에서 혼자 사는 관습이 있다고 한다. 동네 뒷산에 원두막을 치고 혼자 산다. 그동안 자신을 돌아볼 여유도 없이 바쁘게 살았으니 자신을 돌아보고 수행하라는 종교적 의미가 있다. 물론 사바나의 수사자처럼 자손번식의 임무가 끝난 늙은 남자는 가정에 짐이 된다는 현실적 의미도 없지는 않을 것이다. 이는 평균수명 50세 사회에서 나온 종교적 관습이다. 백세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는 인생 후반전을 보다 넓고 큰 세상에서 설계하라는 유혹의 관습으로 읽힌다. 가장 강한 유혹은 자신을 돌아보고 싶은 유혹일 것이다.

왕가위 감독의 영화 <일대종사>에서 무사회 수장인 궁보삼이 숨을 거두기 전 수제자에게 일러준 마지막 수는 노원괘인(老猿掛印)이었다. 궁씨 집안에 전해 내려오는 무술 64수 중 최고 단계인 노원괘인은 바로 ‘돌아보는 것’이었다. 돌이킬 수는 없지만 돌아볼 수는 있다. 되돌아갈 수는 없지만 뒤돌아볼 수는 있다. 이것은 시간에 갇힌 인간에게 주어진 마지막 한 수가 아닐까.

뒤돌아보니 눈앞의 숫자들과 코앞의 숙제에 발목 잡혀 허우적댔다. 절망하지 않으려고 희망하는 사람들을 보지 못했다. 아니 내 절망이 더 커 보였다. 주먹을 더 불끈 움켜쥐었다. 움켜쥔 주먹을 펼치면 가진 것이 다 쏟아질까봐 두려웠다. 이제는 크게 다치지 않을 낙법도 익혔고, 좀 다친다 해도 별것 아니라는 배포도 늘었다. 펼친 주먹은 새로운 것을 쥘 수 있는 기회라는 것도 알았다.

나침반의 바늘은 아직도 떨림을 멈추지 않고 있다. 떨림의 유혹이 멈추지 않는 한 인생 후반전은 더 넓은 세상에서 시작할 수 있다. 새로운 제2의 인생을 살라는 유혹이다. 떨리는 나침반의 바늘은 느슨한 관계를 확장하라고 한다.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한 관심을 놓지 말라고 한다. 그곳이 진북(眞北)이라고 알려준다.

후반전은 어릴 적에 던졌던 막막한 인생에 대한 질문의 답을 기록하게 될지도 모르겠다. ‘어떻게 살아야 잘 사는 건가.’ 이 질문의 답을 구해가는 여정, 또는 그 질문을 감당해가는 과정이 아닐까. 주먹을 펼쳐 아픈 이들도 감싸면서 나간다면 전반전보다 공은 강하게 골문으로 돌진할 것이다. 백세인생 후반전의 휘슬 소리가 들린다.


>> 김정숙 홍보컨설턴트

공공정책 컨설팅을 주로 하는 홍보컨설턴트이며 부천 놀라온 오케스트라 기획홍보이사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학연·지연·혈연은 그만! 요즘 중년의 관계 맺기 트렌드
  • 중장년의 '어른 공부'를 위한 공부방, 감이당을 찾다
  • 중년 들어 자꾸만 누군가 밉다면, “자신을 미워하는 겁니다!”
  • “은퇴 후 당당하게” 명함 없어도 자연스러운 자기소개법은?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