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드니 추억이 재산이라 지갑에 남은 돈 헤아리듯 옛 생각만 뒤적인다. 특히 6월이 오면 찬란한 하늘 너머 떠오르는 얼굴이 있다.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로 하늘나라에 먼저 간 친구다. 그 젊은 나이에 갑자기 흔적도 없이 사라져 한 달 내내 애태우다 겨우 찾은 그녀는 얼굴도 알아볼 수 없었다. 얼굴은 내 마음속에만 있었다.
꽤 마음이 통하는 벗이었다. 급작스레 가버리니 가족과 주위 사람들은 혼이 나갔다. 남은 사람들은 그녀와 함께했던 시간의 조각들을 주워 모으기 바빴다. 누군들 죽음을 예상하겠냐마는 젊은 죽음은 더없이 안타까웠다. 바람이 그 친구의 손길처럼 온몸에 스미던 날 임동진의 모노드라마 <그리워 그리워>를 보았다.
무대는 갓 이사한 짐으로 스산하다. 독거노인 서진우는 추억을 꺼내듯 이삿짐을 정리하며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낸다. 임동진의 50년 연륜이 깃든 목소리의 울림이 자연스럽게 극 중으로의 몰입을 유도한다. 임신 8개월에 사고로 죽은 딸 사진에 대고 마치 살아있는 딸에게 말하듯 시시콜콜 이야기해댄다.
아내도 암으로 먼저 가니 말은 허공에 뿌려져 한마디씩 외롭게 떨어진다. 메아리도 없는 그곳에 오직 들려오는 소리는 옆집 젊은 부부가 싸우며 내는 악다구니뿐. 그는 젊은 날의 자신에게 말하듯 ‘인생은 사랑하기에도 짧은 시간’이라고 소리친다. 삶의 막바지에 깨달은 고백이다.
그때 한 점 혈육인 손녀에게서 전화가 온다. 결혼 소식이다. 한없이 기쁘다. 그녀의 결혼식에 가려고 옷가지를 준비하며 그는 모처럼 만면에 희색을 띠고 몸동작도 의욕적이다. 여기에 사위의 전화는 찬물을 끼얹는다. 결혼식에 오지 말란다. 일순 객석은 서진우와 함께 못된 사위를 요즘 젊은 세대의 얄팍한 마음 씀씀이로 감정이입하며 술렁인다.
오은희 작가는 여기에 서진우 아내의 일기로 진실을 밝히며 극을 반전시킨다. 누구의 어떤 행동인들 이유가 없겠는가? 가만히 살펴보면 모두 그 상황에서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로 인생은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결국, 혼자 이 세상에 남았지만, 젊은 날 감쪽같은 줄 알았던 바람에 대한 벌이 마음의 짐으로 남는다. 속죄하는 마음과 그리움으로 애가 탄다. 아내는 사랑을 용서로 대신하고 남편은 그리움으로 속죄한다.
여기서 과연 죽은 자가 고통스러운가? 살아남은 자가 더 고통스러운가? 하는 질문이 관객들의 마음에 던져진다. 후회가 또 다른 벌은 아닐까? 함께 있을 때는 몰랐던 소중함은 왜 늘 상대가 사라진 다음에야 느낄 수 있단 말인가? 그리움은 복일까? 벌일까?
배경의 찌그러진 창은 어느 쪽으로든 조금은 일그러진 삶의 모습을 닮았다. 첼로 박스의 흠집도 마음의 상처를 말하듯 무대 곁에서 끝까지 버티고 있다. 임동진의 탄탄하고 노련한 연기는 마치 동네 아저씨가 이야기를 들려주듯 자연스럽다. 아내의 목소리로만 나오는 정영숙의 마음 담은 소리는 진한 감동으로 퍼진다.
최병로의 섬세하게 바뀌는 창밖 풍경 연출은 짐짓 모노드라마의 단조로움을 깨고 극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어 좋았다. 조금 아쉬운 점이 있다면 마지막 부분 배경이 너무 현란하지 않았나 하는 점이다. 너무 자주 바뀌고 끝부분의 현란함은 관객들의 시선을 분산시켜 몰입을 방해했다.
그러나 가족관계가 옅어져 가는 이 시대에 의미 있는 연극이었다. 90분의 모노드라마가 지루하기는커녕 아쉬웠다. 극에서 빠져나오니 자연 그리운 사람들이 떠오른다. 푸른 하늘에 어른거리던 친구의 얼굴이 어둠 속에서도 또렷하다. 그녀에게 이토명 시인의 <마음 1>이라는 시를 보낸다.
<마음 1>
너에게 사랑을 말할 때
목이 울컥, 하고 메이는 걸 보니
마음은 목 언저리에도 있나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