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구대열의 역사 그 순간] 러일전쟁의 앞과 뒤 “일본에는 외무성도 없느냐?”

기사입력 2015-11-04 07:48

▲여순항 해전의 승리를 알리는 일본 화보.
▲여순항 해전의 승리를 알리는 일본 화보.

러일전쟁이라면 국권을 빼앗긴 을사조약이 먼저 떠올라 우리에게는 결코 유쾌한 사건이 아니다.

전쟁의 쟁점도 한반도라고 믿고 싶겠지만 서양 학계에서는 러-일 양국이 다툰 것은 만주라고 평가해 왔다. 지난 20~30년 전부터 ‘한반도’도 이에 포함될 수 있다는 인식이 생겼다.

지난 호에서 청일전쟁을 ‘일본과 이홍장 간의 전쟁’이라고 평한 바 있는데 러일전쟁도 비슷하다. 양국의 임전태세를 ‘일본은 사활을 걸고 싸우며 러시아는 저녁 식사거리를 위해 싸운다.’고 비유했다. 일본은 이 전쟁에 국가의 운명이 걸렸다는 각오 아래 정부와 국민이 단결하여 총력전 태세로 임하지만 러시아는 페트로그라드-모스크바가 있는 ‘중앙’ 러시아에서 1만km나 떨어진 ‘극동’지역의 국경 밖에서 뭔지 아리송한 목표를 위해 싸운 것이다. (물론 패전 소식이 전해지면서 국내정치에 불똥이 튄다.)

일본도 주요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완벽한 승리를 얻지 못했다. 전쟁이 끝났을 때 전선은 러시아 영토 밖에 있었다. 전쟁 초기 블라디보스토크 항에 대한 포격과 종전 무렵 일본군이 사할린에 진주한 것이 ‘러시아 영토’에 가한 유일한 타격(?)이었다. 종전 때의 상황은 겉으로 보기에는 1차 대전이 끝났을 때 전선은 독일영토 밖에 있었던 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은 4년 여의 전쟁에서 모든 자원이 고갈되어 기진맥진한 끝에 항복한 데 비해 러시아는 아직 힘이 싱싱하게 남은 상태에서 종전을 맞았다. 당연히 패배를 인정하지 않은 것이다.

왜 종전이 이루어졌을까? 국제정치적으로 미국은 러시아가 만주를 점령하고 이 지역에서 경제적 문호개방을 거부한 데 반발하여 일본을 간접적으로 지원했다. 영국은 일본의 동맹국으로 당연히 일본을 지원했다고 믿고 있다.(한국에서는 특히 이 점을 강조한다.) 그러나 독일의 팽창에 대항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인 영국은 프랑스와 그 동맹국인 러시아와의 관계 개선을 추구하고 있어 이해관계가 약한 ‘극동’에서 러시아와 분쟁을 조장할 이유가 없었다. 오히려 전쟁을 빨리 끝내 러시아가 유럽에 관심을 집중하기를 희망했다. 전쟁 중 영국의 지원을 기대했던 일본사회에서는 전쟁 후 “영국이 동맹국이라면서 무슨 도움을 주었느냐?”면서 반영 감정이 고조되기도 했다.

일본군이 주요 전투에서 연승하자 영국과 미국은 일본이 만주에서 러시아를 몰아내고 ‘제2의 러시아’가 되는 걸 원치 않았다. 양국이 만주에서 ‘균형 잡힌 적대관계’를 이루는 상태에서 이 거대한 시장이 서양 열강에게 개방되기를 바란 것이다. 이후의 역사는 일본이 만주의 지배자가 되어 서양 열강의 권익을 몰아내지만. 기이하게도 종전을 서두른 쪽이 연전연승한 일본이었다. 그리고 그 중심에 일본 군부가 있었다. 군부가 항상 과격한 정책을 선호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가 바로 러일전쟁이다. 일제 군부라면 우리는 끝을 모르는 욕망으로 대륙 팽창과 태평양전쟁을 도발하여 패배한 쇼와(昭和)군부를 연상할 것이다. 메이지(明治) 군부는 그렇지 않았다. 메이지 군부도 러시아와의 전쟁이 필요하다고 믿었다. 그러나 전쟁이 장기화하면 일본은 인적·물적 자원이 러시아보다 빨리 고갈될 것을 우려한 것이다. 실제로 만주의 첫 주요 전투인 1904년 10월 사하(沙河, 사카)에서부터 일본군은 보급품 부족을 느끼기 시작했다. 사하는 심양에서 여순 방향으로 흐르며 요양(遼陽) 북쪽에 있는 강이다.

▲1904년 러시아 잡지 <조국>의 포스터. 러일전쟁 직전  러시아가 이길것으로 예상한 풍자도
▲1904년 러시아 잡지 <조국>의 포스터. 러일전쟁 직전 러시아가 이길것으로 예상한 풍자도

다음해 3월 만주의 운명을 가르는 요양전투에서 일본은 승리하지만 인적·물적 자원이 한계에 도달한다. 일본군은 탄약 부족으로 패주하는 러시아군을 섬멸하지 못함으로써 러시아에 결정적인 패배를 안겨주지 못한 것이다.

더욱이 일본은 승리하면서도 손실이 러시아를 능가했다. 1905년 정월 초하룻날 러시아군의 항복으로 일본의 승리를 대대적으로 선전한 여순 전투에서 러시아 사상자는 2만8200명인 데 비해 일본은 5만7789명이었다. 메이지 천황조차 “이긴 것은 좋지만 일본의 젊은이들이 이렇게 많이 죽어서야...”라며 탄식했다.

반면 러시아는 새로이 건설한 시베리아와 만주의 철도를 통해 보급품을 수송함으로써 요양전투 패배한 후에도 군사력을 증강시키고 있었다. 물론 전쟁이 계속된다고 해도 러시아가 일본을 패퇴시키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이에 일본 군부는 전선의 상황이 일본에게 유리할 때 종전 협상에 들어가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한다. 이를 ‘전략과 정략의 일치’라고 불렀다. 만주군 총사령관 오야마 이와오(大山?) 원수는 1904년 7월경 만주전선으로 떠나기 전 친구인 야마모토 이소로쿠(山本五十六) 해군상에게 “만주 전투는 내가 알아서 하겠지만 언제 끝내야 할지는 (동경에 있는) 자네가 결정하게.”라는 말을 남겼다.

이후 만주군 수뇌부는 전투에서의 승리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신중히 고려하여 기회를 놓쳐서는 안 된다”고 본국정부에 평화회담을 시작할 것을 지속적으로 독촉한다.

다음 해 3월 28일 오야마의 참모총장인 고다마 겐타로(兒玉源太郞)는 만주전역을 논의한다는 명목으로 동경으로 돌아온다. 그러나 주 임무는 정부에 평화회담 개최를 독촉하는 것이었다. 그는 동경 역에 마중 나온 부참모장 나가오카 가이시(長岡外史)에게 소리쳤다. “나가오카, 바보짓 그만해라. 총을 쏘았으면 멈출 줄 알아야지. 그것도 몰라?” 그 다음, 외무성을 향해 또 한 번 고함친다. “일본에는 외무성도 없느냐?”

원래 평화협상은 전투와는 달리 단시간에 시작할 수 없는 것이다. 일본정부는 1905년 3월부터 테오도르 루즈벨트(Ted Roosevelt) 미국 대통령과 접촉하여 이해 9월 포츠머스 조약을 맺으면서 승리의 열매를 챙긴다. 그중에는 한국을 삼키기 전 단계인 보호권도 포함된다. 군부가 현명한 판단을 내릴 때 국운이 융성해진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라 할 것이다.


△ 구대열 이화여대 명예교수

서울대 영문과 졸, 한국일보사 기자, 런던정경대 석ㆍ박사(외교사 전공). 외교안보연구원 교수, 이화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통일학연구원장 등 역임. 저서<삼국통일의 정치학><한국 국제관계사 연구> 등.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낀 세대’ X세대 무거운 짐, 홀가분하게 나누는 법
  • 중년의 풀리지 않는 숙제, 인간 관계 맺음 5가지 유형은?
  • 길어진 노후, 순탄한 인생 위한 중년의 관계 방정식
  • 김수환·이어령, 그들은 왜 추앙받았나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