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알뜰폰, 공짜폰이라고 해놓고선…

기사입력 2014-05-09 16:32

“공짜폰이라고 해놓고선…”

알뜰폰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의 목소리가 많다. 가입 시에 ‘공짜폰’이라고 했다가 나중에 단말기 대금을 청구할 때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소비자 불만이 10건 중 4건인 것으로 조사 됐다.

한국소비자원은 최근 3년간 1분기에 접수한 알뜰폰 상담 건수를 분석했다. 그 결과 2012년 185건, 2013년 372건, 2014년 667건으로 매년 증가했다고 8일 밝혔다.

공짜폰이라고 설명해놓고 실제로는 단말기 대금을 청구했을 때 불만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접수한 667건의 상담 가운데 40.8%가 이러한 불만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가입 해지 지연ㆍ누락 또는 위약금 과다 부과(18.4%), 약정 기간·요금 상이(14.2%), 고객 센터와 연결 불편(9.3%), 단말기나 통화 등 품질 불만(5.1%) 등이 뒤를 이었다.

알뜰폰 가입 방식은 대부분 텔레마케터의 전화 권유 판매(71.2%)였으며, 가입자 연령(667건 중 연령 확인이 가능한 445건)은 60대 이상(63.0%)이 가장 많았다.

또한 올해 1분기 상담자 중 27.6%는 이동통신 3사를 알뜰폰 사업자로 오인해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소비자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관련 업체에 적극적인 노력을 요청했다"며 "소비자도 계약 시 반드시 계약서를 요구하고 단말기 대금, 요금제, 계약 기간, 위약금 등 중요 사항을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전기’처럼 일상에 녹아들 금융AI, 미래는 어떻게 바뀔까?
  • 아직 늦지 않은 60대 노후준비 “연금 다층화와 현금흐름 핵심”
  • “50대, 은퇴 준비 마지막 골든타임” 은퇴 전후 50·60 재테크 전략
  • 은퇴 전 40·50의 노후 자산 마련, 미래 준비 해법은?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