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외활동 최대한 피하고, 실내서도 냉방장치 사용해야

서울을 포함한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온열질환자가 전년보다 30% 넘게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낮뿐 아니라 밤에도 이어지는 열대야로 인해 야간 실내에서도 열탈진, 열사병 등 중증 질환 위험이 커지고 있어 보건당국은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철저한 대비를 당부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이 3일 발표한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 5월 15일부터 7월 1일까지 전국에서 524명이 온열질환으로 응급실을 찾았고, 이 가운데 사망자는 3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390명)보다 환자 수는 134명(약 34%) 늘었고, 사망자도 1명 증가했다.
특히 6월 하순(6월 21~30일) 열흘간 온열질환자는 전년 동기 대비 123명 증가했다. 질병관리청은 "당분간 무더위와 열대야가 계속될 것으로 보여 야간에도 온열질환 발생 위험이 크다"며 "야외 작업은 물론, 수면 중에도 건강수칙을 지켜야 한다"고 밝혔다.
실제 응급실 내원 환자의 84.9%는 실외에서 발생했지만, 연령대별로 보면 전체의 30.5%가 65세 이상 고령자로 확인됐다. 특히 논밭, 작업장, 길가 등에서의 환자 비중이 높아, 야외근로자와 고령자의 폭염 노출이 주요 위험 요인으로 지목된다.
황선욱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고온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거나 수분이 부족하면 체온 조절 기능이 무너져 열사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고혈압, 당뇨, 심장질환 등 만성질환을 가진 고위험군은 야외활동을 최대한 피하고, 실내에서도 에어컨을 적절히 가동해 시원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열대야로 인한 수면 중 온열질환 예방 수칙도 강조됐다. 질병관리청은 △과식·카페인·음주 자제 △취침 전 미지근한 물로 샤워 △면 소재의 통풍이 잘되는 잠옷 착용 등을 권고했다. 또 “실내 온도와 습도를 수시로 확인해 쾌적한 수면 환경을 조성하고, 만성질환자는 반드시 무리한 활동을 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야외 활동을 피해야 한다고 해서 집안이 반드시 안전한 것은 아니다. 적당한 냉방장치 활용이 어렵다면 집안도 위험한 공간이 될 수 있다. 일본 총무성 소방청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온열질환으로 응급이송된 환자 중 절반 이상이 고령자이며, 이 중 약 40%가 주거지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정부는 “에어컨 사용을 꺼리거나 수분 섭취를 잊는 고령자가 많아, 실내에서도 열사병 위험이 높다”고 분석했다.
그래서 주목해야 할 공간이 무더위 쉼터다. 서울시와 각 지자체는 현재 고령자 등 취약계층을 위한 무더위 쉼터를 운영 중이다. 동 주민센터, 경로당, 복지관 등 2천여 곳이 지정된 어르신 무더위 쉼터로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되며, 폭염특보가 발효되면 오후 9시까지 연장된다. 또 일부 자치구에서는 모텔, 호텔 등을 안전숙소로 지정해 야간 쉼터 기능을 보강하고 있다. 폭염 속 장시간 외부활동이 불가피한 취약계층에게는 이 같은 시설의 이용이 적극 권장된다.
기상청은 지난 7일 오전 10시를 기준으로 서울 전역에 폭염경보를 발효한다고 밝혔다. 폭염경보는 최고 체감온도가 35℃를 넘는 상태가 이틀 이상 계속되거나 더위로 큰 피해가 예상될 때 내려진다. 이번 폭염경보 발령은 지난해(7월 25일)와 비교해 18일 이르다. 서울시도 폭염 경보 발령에 따라 위기 경보 수준을 '주의'에서 '경계'로 격상하고 폭염 종합지원상황실 대응 단계를 1단계(5개반 7명)에서 2단계(8개반 10명)로 강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