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카드뉴스] 할아버지의 친일을 사죄합니다

기사입력 2024-05-30 08:47

“민족문제연구소 사무국장입니다. 선생님 글을 회보에 실어도 되겠습니까?”

가슴이 철렁했다. 그 말인즉 친일파 자손이라는 사실을 커밍아웃하라는 뜻이다. 내가 쓴 글 제목은 이러했다. ‘저는 친일파의 손자입니다. 역사와 민족 앞에 사죄드립니다.’

2011년, 글쓰기를 배우기 시작한 내가 처음 받은 과제는 가족을 주제로 에세이 쓰기였다. 난 한 번도 뵌 적 없는 할아버지가 늘 궁금했다. 1890년대 일본 유학을 다녀와 대한제국 농상공부 관리를 하고, 나중에 군수까지 했다는 나의 할아버지. 무척 영특했다던 사진 속 그를 찾아 나섰다.

할아버지의 흔적을 발견한 건 도서관에서였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친일인명사전을 꺼내 들었고 물음표는 느낌표가 됐다. 마음이 이상했다. 나라의 명운이 왔다 갔다 하던 때에 유학을 다녀왔다는 사실이 석연치 않다고는 생각했지만 설마 친일파이리라는 생각은 하지 못했다. 해방 후 친일파를 청산하지 않은 것이 역사의 치명적 약점이라며 누구보다 분개하던 내가 그 후손이라니…! 겨우 마음을 추스르고 첫 과제를 제출했다. 민족문제연구소에도 회원 가입하고 숙제를 갈무리해서 회원만 볼 수 있게 올렸다.

얼마 뒤 사무국장에게서 연락이 왔다. 나는 넌지시 가족회의를 열었다. 그리고 우린 가족의 치부를 드러내기로 결정했다. 세간은 잠시 난리가 났다. 포털 사이트 검색어 1위에 올랐고, 인터뷰 요청이 쇄도했다.

첫 과제를 내고 13년여가 흘러 일흔을 바라보고 있다. 그동안 치열하게 글을 배우고 또 썼다. 공저 포함 다섯 권 넘게 출간했고, 글쓰기 강사로도 일한다. 할아버지를 제대로 마주하게 한 에세이는 인생의 터닝포인트가 됐다. 다만 변하지 않는 것은 여전히 내가 민족문제연구소 회비를 내는 회원이라는 사실이다.

“시니어 글쓰기 강사, 윤석윤입니다. 할아버지를 제대로 마주하게 한 에세이가 인생의 터닝포인트가 됐습니다.”

에디터 조형애 디자인 유영현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지팡이 짚고 휠체어 타도” 제약 없이 즐기는 무장애 여행
  • “남들과 같은 여행 싫어” 오지 찾는 중년 고수의 여행법
  • 60세, 늙지 않았다… “여행하기 딱 좋은 나이”
  • 낯선 설렘 ‘중년의 자유여행’… 떠나기 위해 알아야 할 7가지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