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랜테리어로 마음의 근육을 심다] PART1. 반려식물과 살아가기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 사회에 쓰나미를 몰고 왔다. 변화의 파도가 속이 울렁거릴 만큼 거세고 빠르다. 그중에서도 가장 힘든 건 사람 간에 거리를 두는 것이다. 그동안 인간은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공동체를 이루고, 조직 속에서 부대끼며 일상을 이어왔다. 그러나 이 사상 초유의 바이러스는 그간의 방식을 모두 지워버리고, 사람과 사람 사이에 투명한 벽을, 보이지 않는 경계를 세웠다.
함께 사는 가족이 있다면 그래도 온기를 느낄 구석이 있지만, 혼자 사는 이는 안팎으로 교감할 이가 없어 배로 고독하다. 모니터 앞에 모여 건배를 하고, 온라인으로 못다 한 소통을 이어가는 등 각자 여러 방법으로 애쓰고 있지만, 근본적인 우울감은 쉽게 가시지 않는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온기를 채울 대상이 반드시 사람일 필요는 없다. 때로는 말은 못해도 조용히 곁을 내주는 식물이 오히려 따뜻한 처방이 되기도 한다.
식물을 키우며
식물을 키운 지 만 4년 정도 됐다. 미세먼지가 한창 극성을 부렸을 무렵 200개의 식물을 집 안으로 들였다.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시작했지만, 식물은 깨끗한 공기 외에도 많은 것을 가져다주었다. 존재 자체로 지친 몸과 마음을 치유해주었고, 더 나아가 잠재된 창의성을 깨워주었다. 이렇게 식물의 이야기를 쓰는 작가의 일을 하게 된 것도 식물이 준 활기차고 건강한 기운 덕이다.
건강한 ‘기운’이라고 했지만, 과학적으로도 식물은 인간의 신체에 도움을 준다. 식물은 광합성 작용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마시고 산소를 뿜는다. 그 과정에서 미세먼지와 유기화합물을 제거하고, 우리 몸에 필요한 음이온을 생성한다. 음이온은 혈액을 정화하고, 통증을 완화하며, 저항 능력을 증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 세포의 부활을 촉진하고, 자율신경 조정 능력도 원활하게 한다. 한마디로 만병통치약이나 다름없다.
식물은 신체뿐 아니라 마음과 생각이 건강해지는 데도 도움을 준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유선형을 좋아한다. 잎이 그려내는 부드러운 선을 볼 때 뇌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또 식물의 상징인 초록색을 보면 뇌가 알파파 상태(뇌가 가장 안정된 상태)로 변해 집중력이 높아지고 마음이 차분해진다. 한때 유행했던 ‘엠씨스퀘어’가 바로 뇌를 알파파 상태로 만들어준다는 기기였다.
식물과의 동거가 낯선 당신에게
식물이 주는 이로움에 대해 알고 있다 해도, 선뜻 들이기는 쉽지 않다. 이상과는 달리 키우는 족족 죽거나 아파서 처치 곤란이 되어버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 본인이 그런 ‘마이너스 손’에 해당되는 것 같다면 앞으로 소개할 세 가지 식물만 기억해도 도움이 된다. 이 삼총사는 바람이 없고 빛이 부족한 곳에서도 뿌리를 물에 담가주기만 하면 별 탈 없이 잘 자란다.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약간의 주의가 필요하다.
첫 번째는 스킨답서스다. 실내에서 키우기 가장 쉬운 식물로 알려져 있고, 나사의 공기정화식물 순위 12위에 올라와 있을 만큼 공기정화 능력도 뛰어나고 병충해에도 강하다. 단, 약간의 독성이 있어 반려동물에겐 위험할 수 있다. 필자와 함께 사는 반려묘는 스킨답서스를 알아서 건드리지 않지만, 개체마다 성격이 다를 수 있으니 어느 정도의 주의는 필요하다.
두 번째로 소개하고 싶은 식물은 실내에서 백조 같은 하얀 꽃을 피우는 스파티필럼이다. 반음지에서도 잘 자라, 햇빛이 전혀 들지 않는 백화점 같은 곳에서도 만날 수 있는 아름답고 실용적인 식물이다. 스파티필럼 역시 나사의 공기정화식물 리스트 10위에 올라와 있다. 이 식물은 꽃가루가 있어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조금 주의하는 편이 좋다. 하얀 불염포 가운데 우둘투둘한 돌기가 있는 부분이 꽃인데, 꽃이 보이자마자 잘라주면 꽃가루를 피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접란을 추천한다. 나사가 선정한 공기정화식물 순위 38위에 올라와 있다. 물컵에 꽂아놓기만 해도 뿌리를 내리며 잘 자란다. 이 식물은 러너를 뻗어 작은 새끼 접란을 틔우는데, 그걸 잘라 다시 컵에 꽂으면 또 잘 자란다. 반려동물에게도 안전한 식물이다. 필자의 접란은 반려묘가 뜯어먹어 까까머리가 되었다. 세 가지 식물 모두 뿌리를 물에 담가만 주면 잘 자란다.
아름답게 연출하려면 세 가지를 기억해두면 편하다. 첫째, 식물을 모아 작은 화단을 연출한다. 식물은 모여 있을 때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물질을 주고받으며 좋은 컨디션을 유지한다. 이때 허리를 굽히지 않는 높이에 두면 관리도 훨씬 편해진다. 둘째, 기왕이면 높낮이를 달리 배치해본다. 조금 더 예쁘게 연출하고 싶다면, 비정형 삼각형을 상상하고, 그 삼각형의 꼭짓점마다 화분을 배치해보는 것도 좋다. 마지막으로, 잎의 색상이나 질감이 다른 것들을 다양하게 길러본다. 마치 꽃꽂이를 보듯 오랫동안 만족감을 주는, 심미적으로도 완성도 있는 플랜테리어가 될 것이다.
식물에게는 언제나 ‘때’가 있다. 번호표가 매겨져 있는 것처럼 순서대로 싹을 틔우고, 마침내 열매를 맺는다. 내내 초록색 이파리만 뽐내다 떠날 것 같은 식물도 언젠가는 아름다운 꽃을 만들어낸다. 끝이 보이지 않는 바이러스와의 싸움에서 힘에 부칠 때면, 잠깐 시선을 베란다로 돌려보자. 어떤 시련이 와도 뿌리를 지키며 꿋꿋하게 살아내는 생명 하나가 조용히 응원의 열매를 피워내고 있을 것이다.
정재경
공간 디자이너이자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더리빙팩토리’ 대표. 에세이 ‘초록이 가득한 하루를 보냅니다’, ‘우리 집이 숲이 된다면’을 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