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하나, 마음의 눈은 보이지는 않아도 느끼게 해준다. 그 느낌은 사람마다 다르다. 크기와 깊이도 다르다. 마음의 눈은 보이는 물체들의 현상을 특별한 느낌으로 다시 보여준다. 사람에 따라 그 느낌의 크기와 깊이가 달라 같은 사물과 현상이라도 다르게 다가온다. 마음의 눈은 신체의 눈에 보이는 것들을 자신만의 가치로 창조해내기도 한다. 우리가 이해하지 못하는 작품을 그리고 쓰는 화가, 소설가, 시인이 그렇다. 소설가는 범인들이 생각지 못한 추리소설을 쓰거나 공상과학 등 다른 세계들을 그려낸다. 시인은 꽃잎 하나에도 멈추어 서곤 꽃이 지나가는 자신을 짙은 향기로 불렀다며 시를 한 편 써내려간다.
‘담쟁이’ 시를 쓴 도종환 시인은 마치 담쟁이가 사람처럼 절망의 벽을 기어오른다고 했다. 그것도 혼자가 아니고 여럿이 함께 올라 푸르름으로 다 덮는다고 했다. 손광성 수필가는 ‘달팽이’라는 글에서 달팽이를 보면 험한 세상 어떻게 갈까 걱정이 앞선다고 했다. 개미처럼 힘센 턱도 없고, 벌처럼 무서운 독침도 없고, 메뚜기나 방아깨비처럼 힘센 다리도 없고, 뼈도 이빨도 없기 때문이란다. 집이라고 해봐야 금방이라도 부서질 듯한 투명한 껍데기일 뿐이어서 걱정스럽다고 했다.
화가나 소설가나 시인은 남다른 마음의 눈을 가진 게 틀림없다. 그들은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 아니라 더 깊게 더 섬세하게 확대해서 본다. 마치 무속인들처럼 보이지 않는 무엇과 대화를 하는 것 같다. 그래서 꽃과 이야기하고 길가의 돌멩이와도 대화를 나눈다. 세상 만물과 마치 친구처럼 마음을 나누는 것이다.
따라서 시인이 되고 싶은 사람은 만물과 소통해야 한다.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 대화하고 소통하는 마음의 눈을 가져야 한다. 빈센트 반 고흐가 그린 ‘별이 빛나는 밤에’는 우리가 보는 밤하늘의 별과는 다른 모습의 별이 있다. 보통 사람들이 보기에는 별 같지도 않은 그 그림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의 값으로 평가받는다. 마음의 눈으로 그렸기 때문에 그렇지 않을까 싶다.
이렇듯 신체의 눈과 마음의 눈은 느낌의 산출물이 다르다. 하지만 어떻게 보든 본질은 다르지 않은 것 같다. 모두 관심과 사랑의 눈인 것이다. 인간의 본질이 사랑이기 때문이다. 사랑의 눈으로 보고 사랑의 마음으로 대할 때 우리는 더 깊게 하나가 될 수 있다. 앞을 보지 못하는 수필가 헬렌 켈러는 이렇게 말했다. “두 눈을 멀쩡하게 뜨고 한 시간이나 숲속을 걷고서도 특별히 관심 가질 것을 찾지 못하다니 어떻게 그럴 수가 있을까, 보지 못하는 나는 그저 만지는 것만으로도 흥미로운 것을 수백 가지나 찾을 수 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