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그 돌문은 여전히 그 자리에, 인천 홍예문

기사입력 2020-09-14 09:11

(사진 이현숙 시니어기자 )
(사진 이현숙 시니어기자 )
가을은 하늘에서 먼저 온다더니 며칠 전부터 부쩍 높고 푸르다. 바람도 제법 서늘하고 창밖 숲에 내리는 볕도 달라졌다. 어디든 내달리고 싶은 날씨다. 오후에 잠깐 인천에 다녀왔다. 오래전 살았던 곳이다. 인천을 갈 때는 늘 아는 이들이 살고 있는 이웃 마을 마실가는 듯한 기분이다. 내게 인천은 추억의 장소가 아니라 늘 내 주변에 있었던 것 같은 편안한 이웃 동네다.

이곳에 살았을 때만 해도 나는 한창 젊었다. 잠시도 가만히 있질 못하고 '빨빨거리며' 쏘다니던 때였다. 그렇게 인천 구석구석 내 발자국을 남겼다. 그러다 보니 유치원과 초등학교 시절 한때를 보냈던 내 아이들도 마치 고향인 듯 생각한다. 아이들의 기억 속에도 자리 잡고 있는 모양이다. 서울로 떠나와서도 틈이 날 때마다 잠깐 다녀와야겠다 하면서 핸들을 돌리게 한 곳이다.

신포동 쪽에서 인성여고를 지나 전동으로 넘어가는 경계에 홍예문이 있다. 이 터널을 지나 제물포고등학교 쪽으로 자동차가 빠져나갈 때마다 어린 두 아들은 굴속을 지나가는 기분이 드는지 “와, 터널이다” 하며 좋아했다. 눈 깜짝할 사이에 지나가는 아주 짧은 시간인데도 아이들은 함성을 질러댔다.

(사진 이현숙 시니어기자 )
(사진 이현숙 시니어기자 )

을사보호조약으로 일본에게 외교권을 빼앗긴 시절에 만들어진 홍예문은 윗부분이 무지개 모양으로 둥글다. 그래서 한자 무지개 ‘홍’ 자와 무지개 ‘예’ 자를 써서 홍예문, 또는 무지개 문이라 불렀다. 사실 일본인들은 구멍 ‘혈’ 자에 문 ‘문’ 자를 써 '혈문‘(穴門)이라고 했다. 일본인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산허리를 잘라 구멍을 뚫었지만 인천 시민들은 자연스럽게 보이는 모습 그대로 무지개문이라고 했고 지금껏 홍예문은 무지개문으로도 불린다.

(사진 이현숙 시니어기자 )
(사진 이현숙 시니어기자 )

1900년대 초 일본인들이 많이 거주하던 이곳에 지름길을 만들기 위해 응봉산 마루턱이 무지막지하게 폭파당했다. 1905년 일본 공병대가 착공했고, 중국의 유명 석수장이들까지 불렀다. 부족한 시공비용과 힘든 노동은 조선인들의 몫이었다. 결국 우리 국민들의 피땀으로 3년 만에 홍예문이 만들어졌다. 화강암 석축으로 쌓은 높이 약 13m, 폭 약 7m의 석문(石門)은 112년 전 일본인들이 물자 소송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만들었다.

(사진 이현숙 시니어기자 )
(사진 이현숙 시니어기자 )

그 뒤 시간이 흘러 광복 후엔 우리 시민들에게 유용한 공간이 되었다. 양옆으로 고급 주택들이 들어서기 시작했고 젊은 연인들에게는 멋진 데이트 코스가 되었다. 홍예문 석문 위로는 늘 영화 광고판이나 표어와 포스터가 붙어 있었고 학생들이 졸업 앨범 사진을 찍던 인기 포인트이기도 했다. 지금은 많이 낡아 오랜 시간의 흔적이 가득하다. 그래도 인기는 여전해서 영화나 드라마 촬영지로 활용되기도 하고 외부인들이 자주 찾는 명소가 되었다.

홍예문 양옆으로 난 돌계단을 천천히 올라가 봤다. 담쟁이덩굴이 늘어진 화강암 석축에 세월의 더께가 묻어 있었다. 고즈넉한 언덕길을 걸어 석문 위로 올라서면 탁 트인 풍광이 펼쳐지고 멀리로는 인천항까지 보인다. 옆길은 자유공원과 송월동 벽화마을로 이어진다.

(사진 이현숙 시니어기자 )
(사진 이현숙 시니어기자 )

맞은편 계단을 이용해 내려오는데 몇 군데 예쁜 카페가 눈에 들어온다. 구조가 독특한 적산 가옥의 공정무역 찻집과 브런치 카페, 그리고 전통찻집의 독특한 외관이 멋지다. 그래서 이 부근이 홍예문 카페길이라 불리나보다. 담쟁이덩굴 담장 따라 이어지는 사계절의 운치 덕분에 제법 핫한 곳이다.

도심에서 이렇게 고풍스러운 멋과 함께 수수함을 간직한 곳이 있다는 게 좋다. 고갯마루에는 비록 아픈 역사가 깃들어 있지만 각자의 추억을 안고 홍예문을 찾는 발걸음은 의미 있다. 이날은 코로나19 여파 때문인지 온 동네가 숨죽인 듯 고요하다.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변해가는 세상에서 석문만은 그 자리에서 여전하다. 이럴 때 부쩍 조용해진 옛길을 호젓하게 돌아보는 여유로움을 누려본다.

◇홍예문(虹霓門): 인천광역시 중구 송학동 20번지 외 4필지 / 인천 유형문화재 제49호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