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 오늘부터 출근한다.’
‘재취업 축하해요! 안녕히 다녀오세요.’
집안 식구들의 대답을 귓전으로 흘리며 쾅! 하고 현관문을 닫고 쿵쾅쿵쾅 힘 있게 내딛는 구둣발자국 소리를 내보는 것이 재취업의 문을 두드리는 퇴직한 시니어의 속마음이다. 기술을 갖고 있으면 평생직장은 없지만 평생직업인으로 살 수 있다. 기술이 있다는 증명이 기술 자격증이다. 그러나 그 기술은 현장에 기반을 둔 최신기술이어야 한다. 해마다 기술자격자는 변화된 기술에 대한 교육을 받도록 법으로 정해져 있다. 하지만 기술 자격증을 직접 활용하지 않는 즉 장롱 자격증에 대해서는 교육의 의무가 정지된다. 기술계에서 오래 떠나있으면 기술능력은 퇴보한다. 흘러간 물은 물레방아를 돌릴 수 없다. 이미 지난 기술은 더 이상 기술이 아니다.
김성수 씨는 퇴직하면 이곳저곳에서 스카웃 제의를 해 올 것으로 믿었다. 최악으로 급여만 반 토막으로 줄인다면 일할 곳은 있으리라 생각했다. 하지만 막상퇴직하자 그를 부르는 전화벨은 별로 울리지 않았다. 대기업체는 나이제한에 걸렸다. 소규모업체는 북치고 장고치고 일인다역을 소화해야 하는데 그러기에는 그는 너무 커버렸다. 자랄 때로 다 자란 큰 나무를 이식해서 자기 정원에 심으려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기술사라는 자격증의 힘으로 중소업체에 기술고문으로 취업했다. 일감을 수주해 오는 일도 그가 해야 할 일이었다. 영업능력은 인맥이 중요한데 그가 알고 있는 인맥은 이미 은퇴를 하고 다른 자리에서 다른 일을 하고 있었다. 잘 모르는 사람들이 일감을 그에게 줄 이유는 없었다. 밑에 직원들이 만들어준 보고서를 검토하고 결재를 오래 해왔기 때문에 그 스스로는 아래한글 정도만 해봤지 액셀이나 워드, 파워포인트 등 문서 생산능력이 부족했다. 남들의 도움 없이는 제대로 된 문서를 만들지 못했다. 현장의 기술도 변화되고 향상되어 그가 하는 말은 옛날이야기처럼 허공을 맴돌았다. 결국 스스로 자격지심에 사표를 던지고 말았다. 현장에서 너무 멀리 떠나버린 무늬만 고급기술자로 현장에서 환영받지 못한 일반적 사례에 불과 하다.
기술자로서 재취업에 성공하려면 현장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의과대 교수가 학생들을 가르치면서도 환자를 직접 대면하고 수술실을 떠나지 않았기 때문에 의사로 대접받는다. 김성수 씨는 기술직이면서도 현장을 잊고 사무실에서만 앉아 부하 직원들의 인사관리만 해 왔기에 현장 기술력은 옛날기술자에서 머무르고 만 것이다. 영국인이면서 30여 년간 한국에 산 어떤 분이 웃으면서 한국에 와서 한국말만 했더니 영어를 잊어버렸다고 영국 사람임에도 영어 배우러 영어학원에 다녀야겠다는 말을 했다. 모국어도 오래 쓰지 않으면 점점 잊어버리는데 변화하는 현장을 잊어버린 기술은 환영받지 못한다.
세상에 변화하지 않은 것이 없다. 기술도 변화하고 진화한다. 현장에 있었던 기술자는 건강만 하다면 재취업에 별 어려움이 없다. 현장을 떠나 오랜 시간 사무실에서 행정업무만 다루던 사람은 서류상 경력으로 인정받아 스펙은 화려해도 면접에서 낙방을 한다. 옛날 기술만 알고 있는 옛날 기술자는 현재로는 기술자가 아니다. 현재에 살면서 옛날 이야기하는 사람을 아무도 채용하려 하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
회사에서 승진이 되어 직접 현장 업무를 하지 않게 된다면 도서관에서 책을 통해서도 신기술을 늘 새롭게 익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