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千佛千塔 이야기⑤ 영주 부석사(浮石寺)

기사입력 2018-09-19 10:19

우리나라 열세 번째 세계유산, ‘한국의 산사 7곳’ 다섯 번째

우리나라의 열세 번째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한국의 산사 7곳’ 다섯 번째는 영주 부석사이다.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목조건물 중 하나이며 배흘림기둥으로 유명한 무량수전이 있는 천년고찰 부석사는 당나라 종남산 화엄사에서 지엄에게 불도를 닦던 의상이 670년에 당나라의 침공 소식을 전하고 돌아와, 5년 동안 양양 낙산사를 비롯하여 전국을 다니다가 마침내 수도처로 자리 잡아 신라 문무왕 16년(676)에 창건하였다.

당시에는 현재의 규모는 아니었으며 초가나 토굴을 짓고 화엄세계의 심오한 뜻을 닦는 수준이었을 것이다. 의상의 제자 신림 이후 국가지원 등으로 크게 중흥하여 대사찰의 건립이 이루어졌는데, 부석사에서는 신라 왕을 그려 벽화로 걸어놓고 있을 정도였다. 후삼국 시기에 궁예가 이곳에 이르러 칼을 뽑아 내리쳤는데 그 흔적이 고려 때까지 남아 있었다고 한다.

부석사 무량수전 우측에 위치한 선묘각은 용으로 변하여 의상대사를 도왔던 선묘 낭자의 초상을 봉안한 건물이다. 창건설화를 계승한 융합적 신앙을 보여주는데, 설화의 주인공을 모신 전각을 유지하며 받드는 모습이 익숙하지는 않다.

부석사는 석등(국보 제17호), 무량수전(국보 제18호), 조사당(국보 제19호), 아미타여래좌상(국보 제45호), 조사당벽화(국보 제46호) 등 5점의 국보와 보물 6점을 갖춘 유서 깊은 절집이며, 아미타신앙의 성지이다.


태백산(太白山) 부석사(浮石寺)

부석사 일주문에는 태백산(太白山) 부석사(浮石寺) 현판이 걸려있으며 범종루에는 봉황산(鳳凰山) 부석사(浮石寺) 현판이 걸려 있다. 또한 절 입구에는 소백산과 태백산 설명이 장황하게 쓰여 있다. 결론은 태백산 지역의 마지막 부분이 소백산 지역에 편입되어 있으나 착오 없기 바란다는 말이니, 부석사가 소백산 국립공원이 아닌 태백산 국립공원 지역이라는 것이다.

즉, 부석사는 태백산 국립공원과 소백산 국립공원 사이에 있고 거리상으로는 소백산이 더 가깝지만 지형상 부석사가 자리한 봉황산은 그 뒤편 선달산으로 이어지면서 태백산 줄기에 속한다. 그래서 (소백산이 아니라) 태백산 부석사라는 것이다.

▲부석사 일주문. 태백산(太白山) 부석사(浮石寺) 현판이 걸려있고 뒤편에는 해동화엄종찰(海東華嚴宗刹) 현판을 걸었다. 가을이면 은행잎이 노랗게 물드는 비탈길에 서 있는 일주문은 1980년경 새로 세운 것이다.(김신묵 동년기자)
▲부석사 일주문. 태백산(太白山) 부석사(浮石寺) 현판이 걸려있고 뒤편에는 해동화엄종찰(海東華嚴宗刹) 현판을 걸었다. 가을이면 은행잎이 노랗게 물드는 비탈길에 서 있는 일주문은 1980년경 새로 세운 것이다.(김신묵 동년기자)

▲일주문을 지나면 왼쪽에 서 있는 당간지주(보물 제255호). 높이 4.28m로 아무런 장식 없이 단순하면서도 늘씬하며 멋스러운 통일신라시대 것이다.(김신묵 동년기자)
▲일주문을 지나면 왼쪽에 서 있는 당간지주(보물 제255호). 높이 4.28m로 아무런 장식 없이 단순하면서도 늘씬하며 멋스러운 통일신라시대 것이다.(김신묵 동년기자)

일주문 안쪽에 당간지주가 서 있는 것이 의아하다. 1980년 전후 사천왕문과 일주문을 새로 세웠으며 그전까지는 지금의 사천왕문 자리가 일주문이었다는 설이 있는데, 그래야 일주문 밖에 당간지주를 세우는 논리에 맞는다. 아마 사찰의 영역을 키우고 싶었나 보다.

매표소부터 일주문, 당간지주, 천왕문까지 험난하지는 않지만 꾸준히 이어지는 오르막 지형을 따라 올라가야 한다. 천왕문부터 범종루, 안양루를 지나 무량수전까지는 3개의 큰 석축을 올라야 하며, 이 석축들은 다시 작은 경계로 나누어져 불교의 구품만다라를 상징한다고 한다.

즉, 구품만다라의 맨 위에는 극락을 상징하는 안양루와 극락을 주재하는 아마타부처님을 모신 무량수전이 위치한 매우 이상적인 구조라는 것이다. 게다가 그 무량수전의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사무치는 고마움으로 아름다움의 뜻을 몇 번이나 되새겼다는 최순우 선생의 답사기는 지금도 세인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명구(名句)가 되었다.

천왕문을 들어서서 범종루를 오르기 전 잠시 평탄해지는 지형의 왼쪽에는 종무소가 위치하고 있다. 앞마당에는 삼층석탑 2기가 나란히 서 있는데 이 석탑들은 원래 이곳이 아니라 인근 옛 절터에서 옮겨왔다는 이건비(移建碑)와 함께 세워져 있다.

▲부석사 삼층석탑 2기. 1966년경에 근처 폐사지에서 옮겨왔으며 서쪽 탑에는 전북 익산군 왕궁면 오층석탑에서 가져온 석존사리 5과를 봉안하였다고 한다.(김신묵 동년기자)
▲부석사 삼층석탑 2기. 1966년경에 근처 폐사지에서 옮겨왔으며 서쪽 탑에는 전북 익산군 왕궁면 오층석탑에서 가져온 석존사리 5과를 봉안하였다고 한다.(김신묵 동년기자)

삼층석탑 위로는 날아갈 듯 솟아있는 2층 건물 범종각이 보이는데 정면에 마주 보이는 면이 건물의 측면으로 팔작지붕의 합각이 방문객을 향해 날개처럼 펼쳐져 있다. 1층은 누하진입으로 계단을 통해 올라서는 구조이며 2층 누각에는 법고와 목어, 운판이 있다.

▲범종각(梵鐘閣). 2층 건물이므로 범종루가 맞을 듯하다. 정면은 팔작지붕, 반대쪽은 맞배지붕으로 지은 특이한 건물로 봉황산(鳳凰山) 부석사(浮石寺) 현판을 걸었다.(김신묵 동년기자)
▲범종각(梵鐘閣). 2층 건물이므로 범종루가 맞을 듯하다. 정면은 팔작지붕, 반대쪽은 맞배지붕으로 지은 특이한 건물로 봉황산(鳳凰山) 부석사(浮石寺) 현판을 걸었다.(김신묵 동년기자)

범종각은 1층으로 누하진입하여 2층 누마루 중앙 아래로 계단을 올라가게 된다. 그 정면으로 한 폭의 그림처럼 펼쳐지는 장면은 부석사의 하이라이트 안양루와 무량수전으로 안양루(安養樓)의 안양(安養)은 극락을 의미한다. 구품만다라를 올라 극락에 도달하는 마지막 과정을 상징한다.

▲안양루 1층에는 안양문(安養門) 현판이 걸려있는데 안양루가 문(門)의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원래는 2층에 걸려 있었는데 1956년 1월 17일 부석사에 들린 이승만 대통령의 친필 현판에 밀려 1층으로 내려왔다고 하며 2층에는 이승만 대통령의 친필 현판이 걸려 있다.(김신묵 동년기자)
▲안양루 1층에는 안양문(安養門) 현판이 걸려있는데 안양루가 문(門)의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원래는 2층에 걸려 있었는데 1956년 1월 17일 부석사에 들린 이승만 대통령의 친필 현판에 밀려 1층으로 내려왔다고 하며 2층에는 이승만 대통령의 친필 현판이 걸려 있다.(김신묵 동년기자)

안양루에 올라서면 국보 제18호 무량수전이며 이곳에는 끝없는 지혜와 무한한 생명을 지녔다는 무량수불, 아미타여래를 모셨다. 이 소조 아미타여래좌상은 국보 제45호이며 무량수전 앞마당에 있는 석등이 또한 국보 제17호이다.

부석사가 보유한 국보 5점 중 이곳에만 석 점이 모여 있는데, 무심코 뒤돌아보면 멀리 이어지는 높고 낮은 산자락들이 이어지는 풍광의 멋스러움에 대한 감탄과 함께 무량수전 어느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바라보았는지 사뭇 궁금해진다.

▲안양루 1층으로 누하진입하면 계단을 올라야 하는데 채 올라서기도 전에 눈앞에 나타나는 석탑(국보 제17호)과 무량수전(국보 제18호)의 모습. 액자 속 그림처럼 펼쳐진다. (김신묵 동년기자)
▲안양루 1층으로 누하진입하면 계단을 올라야 하는데 채 올라서기도 전에 눈앞에 나타나는 석탑(국보 제17호)과 무량수전(국보 제18호)의 모습. 액자 속 그림처럼 펼쳐진다. (김신묵 동년기자)

무량수전 앞마당에는 석등 하나 있을 뿐, 별다른 치장이나 장엄을 위한 설치물 하나 없다. 그러나 석등은 높이가 3m쯤 되어 마주 서도 우러러 보아야 하며 석등 앞 배례석과 함께 말없이 무겁게 다가오니 과연 국보급 석등답다.

1919년 일제강점기 때 무량수전을 해체, 수리하였는데 이때 무량수전에서 석등까지 땅 밑으로 석룡(石龍)이 묻혀 있었으며 허리가 잘렸다고 한다. 그때 그런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선묘 낭자의 전설이 기억나 사뭇 아쉽기만 하다.

▲안양루를 올라와 무량수전 앞마당에서 바라본 석등(국보 제17호)과 안양루 2층 모습. 아래쪽에는 안양문(安養門) 현판이, 위에는 안양루(安養樓) 현판이 걸려있다. (김신묵 동년기자)
▲안양루를 올라와 무량수전 앞마당에서 바라본 석등(국보 제17호)과 안양루 2층 모습. 아래쪽에는 안양문(安養門) 현판이, 위에는 안양루(安養樓) 현판이 걸려있다. (김신묵 동년기자)

안양루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면 엎드려 모여 있는 경내 여러 건물의 지붕과 멀리 펼쳐진 소백의 연봉들이 한눈에 들어온다. 아스라이 보이는 소백산맥의 산과 들이 마치 정원이라도 되듯 눈앞으로 다가온다. 뛰어난 경관이지만 지금은 안양루 2층에 올라갈 수 없어 아쉽다.

안양루와 마주 보는 무량수전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 중 하나로 손꼽히는 국보 건물이다. 비록 봉정사 극락전에 최고의 자리를 내주었지만 어차피 건물의 중수 기록이 앞선다는 것일 뿐 창건 일자가 밝혀진 것은 아니기에 무량수전의 비중이 덜하다고 할 수는 없다.

무량수전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주심포 형식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강릉의 객사문 다음으로 심한 배흘림기둥을 갖추었으며 평면의 안허리곡(曲), 기둥의 안쏠림과 귀솟음 등을 적용한 뛰어난 건축물로 고대 불전 형식 연구에 기준이 되는 중요한 건물이다.

무량수전 정면 중앙 칸에 걸린 편액은 고려 공민왕의 글씨로 홍건적의 난을 피하여 안동으로 몽진 왔다가 부석사에 들렀을 때 썼다고 한다.

▲무량수전(국보 제18호). 기둥 사이 주칸 거리가 크고 기둥 높이도 높아 건물이 당당하고 안정감 있게 보인다. 9량의 큰 건물이며 처마 밑에 활주를 받쳤다. 정면 5칸 중 가운데 3칸은 4짝 문인데 2짝은 당겨 여는 방식이고 2짝은 들어 올리는 방식이며 바깥쪽 2칸은 들어 올리는 방식으로 당겨 여는 문으로만 출입하는데 가운데는 어간문(御間門)이다. (김신묵 동년기자)
▲무량수전(국보 제18호). 기둥 사이 주칸 거리가 크고 기둥 높이도 높아 건물이 당당하고 안정감 있게 보인다. 9량의 큰 건물이며 처마 밑에 활주를 받쳤다. 정면 5칸 중 가운데 3칸은 4짝 문인데 2짝은 당겨 여는 방식이고 2짝은 들어 올리는 방식이며 바깥쪽 2칸은 들어 올리는 방식으로 당겨 여는 문으로만 출입하는데 가운데는 어간문(御間門)이다. (김신묵 동년기자)

무량수전에는 고려시대에 조성한 소조여래좌상(국보 제45호)을 모셨는데 협시보살 없이 독존으로 동향(東向)하도록 앉힌 점이 특이하며 이는 아미타불이 서방 극락세계의 주인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불상은 우리나라에서 소조불상 중 가장 크고 오래된 작품이며 손 모양(수인)은 석가모니불이 취하는 항마촉지인으로 아미타불이 맞나 의심이 들지만 원융 국사 탑비 비문에 아미타불을 만들어 모셨다는 기록 등으로 보아 조선시대에 불상을 수리하면서 그리 된 것으로 보인다.

▲부석사 소조여래좌상(국보 제45호). 무량수전 서쪽에 홀로 앉아 동쪽을 바라보고 있다. 광배는 새로 만든 듯하며 머리 위로는 닫집을 만들었지만 실내 전체는 천장을 막지 않고 목재 부재들이 그대로 드러나 보인다.(김신묵 동년기자)
▲부석사 소조여래좌상(국보 제45호). 무량수전 서쪽에 홀로 앉아 동쪽을 바라보고 있다. 광배는 새로 만든 듯하며 머리 위로는 닫집을 만들었지만 실내 전체는 천장을 막지 않고 목재 부재들이 그대로 드러나 보인다.(김신묵 동년기자)

대부분의 절집을 답사하노라면 ‘실내 촬영금지’에 난감할 때가 많은데 부석사 무량수전은 특히 더 심한 편이다. 심지어 촬영금지 글씨가 안 보이냐고 힐난하거나 감히 부처님을 사진 찍을 수 있냐고 하니, 불상과 부처를 구분하지 못하고 문화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듯싶어 답답했다.

아무튼 무량수전을 둘러보고 밖으로 나오니 동편 언덕 위에 삼층석탑이 하나 보인다. 금당 앞에 석탑은 당연한데 이 탑은 동쪽에 세워져 있다. 아마도 아마타불이 서편에 앉아 동쪽을 바라보니 그 정면에 탑을 세운 것으로 이해하였다.

▲무량수전 동쪽의 삼층석탑(보물 제249호). 2층 기단에 3층 석탑으로 전형적인 신라탑이다. 석탑 앞에는 화사석이 없이 지붕돌과 대석만 남은 석등이 서있다.(김신묵 동년기자)
▲무량수전 동쪽의 삼층석탑(보물 제249호). 2층 기단에 3층 석탑으로 전형적인 신라탑이다. 석탑 앞에는 화사석이 없이 지붕돌과 대석만 남은 석등이 서있다.(김신묵 동년기자)

이제 다 보았나 하는데 석등 위로 산길이 이어진다. 갑자기 속세를 벗어난 듯 이어지는 오솔길을 따라 가보니 조사당(祖師堂)이 나타난다. 조사(祖師)는 불교의 한 종(宗)이나 파(派)를 세워서 그 종지(宗旨)를 열어 개창한 승려에게 붙여지는 칭호로 의상대사를 기리는 전각이다.

신라 교종 화엄종 본찰에서 선종의 구산선문이 개창조를 섬기듯 하는 것이 조금은 낯설어 보이지만 의상 직후에는 없었으나 선종이 유행하면서 화엄종도 이를 따라간 것이 아닌가 싶다.

▲부석사 조사당(국보 제19호). 정면 3칸 측면 1칸의 작은 건물이지만 간결 엄숙하여 무게감이 있다. 평범하면서도 엄숙함을 추구한 모습으로 내부 벽면에 그려진 6폭 벽화 역시 국보 제46호이나 해체 수리 시 떼어내어 성보박물관에 따로 보관 중이다. 앞면 오른쪽의 쇠창살은 의상대사가 심었다는 선비화(골담초)를 보호하기 위한 시설인데 사뭇 거슬린다.(김신묵 동년기자)
▲부석사 조사당(국보 제19호). 정면 3칸 측면 1칸의 작은 건물이지만 간결 엄숙하여 무게감이 있다. 평범하면서도 엄숙함을 추구한 모습으로 내부 벽면에 그려진 6폭 벽화 역시 국보 제46호이나 해체 수리 시 떼어내어 성보박물관에 따로 보관 중이다. 앞면 오른쪽의 쇠창살은 의상대사가 심었다는 선비화(골담초)를 보호하기 위한 시설인데 사뭇 거슬린다.(김신묵 동년기자)

조사당의 왼쪽에는 자인당과 응진전, 단하각 등이 있으며 자인당에 모신 석불 3기 중 좌우 비로자나불은 보물 제220호, 가운데 아미타불은 보물 제1636호이다. 1칸짜리 단하각은 지신(地神)을 모시는 전각이라는 말도 있으나 확실치는 않다.

여기까지 둘러본 후 올라온 길을 다시 내려오면서 부석사 오른쪽 산길로 접어드니 그 너머에 원융국사비(경북 유형문화재 제127호)가 있었다. 고려 정종 때 왕사, 문종 때 국사가 된 그는 1053년 세수 90세, 법랍 78세로 입적하자 원융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비를 세워주었다.

▲원융국사비는 많이 파손되었다. 앞모습(왼쪽), 뒷모습(중앙) 모두 많이 훼손되어 겨우겨우 지탱하고 있으며 글씨 식별이 어려워 그 옆에 한글로 다시 새긴 비석을 세웠다. 거북등에는 임금 왕(王)자를 새긴 모습이다(오른쪽).(김신묵 동년기자)
▲원융국사비는 많이 파손되었다. 앞모습(왼쪽), 뒷모습(중앙) 모두 많이 훼손되어 겨우겨우 지탱하고 있으며 글씨 식별이 어려워 그 옆에 한글로 다시 새긴 비석을 세웠다. 거북등에는 임금 왕(王)자를 새긴 모습이다(오른쪽).(김신묵 동년기자)

원융국사비를 둘러보고 지장전 앞으로 오니 아까 올라갈 때는 범종각에서 비껴간 각도로 보이던 안양루와 무량수전이 이쪽에서는 정확하게 일치하는 모습이다. ‘아’ 하는 가벼운 감탄으로 바라보는데 문득 안양루 공포와 공포 사이 빈 공간에 앉아계신 부처님이 보인다. 현현불이다.

▲지장전 방향에서 바라 본 안양루와 무량수전. 한 치의 어긋남이 없이 일치하는 모습이다. 이 방향이 정남향이다.(김신묵 동년기자)
▲지장전 방향에서 바라 본 안양루와 무량수전. 한 치의 어긋남이 없이 일치하는 모습이다. 이 방향이 정남향이다.(김신묵 동년기자)
▲안양루 2층 공포와 공포 사이 빈 공간. 일종의 착시현상이지만 뚜렷이 보이는 부처의 모습. 보이다 안 보이다 한다 하여 현현불(顯現佛)이다. 불심으로 찾으면 보일 것이다.(김신묵 동년기자)
▲안양루 2층 공포와 공포 사이 빈 공간. 일종의 착시현상이지만 뚜렷이 보이는 부처의 모습. 보이다 안 보이다 한다 하여 현현불(顯現佛)이다. 불심으로 찾으면 보일 것이다.(김신묵 동년기자)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땀으로 지병 없애고, 복근 남겼죠”
  • 패션부터 여행까지… 소비시장 주도하는 욜드족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커피 내리는 현장 남고자 승진도 마다했죠”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