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오랜만에 맛본 판소리의 매력

기사입력 2018-06-18 14:58

▲명원민속관(박미령 동년기자)
▲명원민속관(박미령 동년기자)

국민대학교가 주관하는 풍류나누기 ‘명인시리즈’를 알게 된 것은 우연이었다. 국민대학교에 근무하는 동생에게서 지나가듯 들었던 것인데 이번 프로그램이 마침 판소리 공연이라는 소식에 귀가 번쩍했다. 남편이 “나이가 드니 판소리 같은 우리 가락이 좋아진다”는 말을 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 이참에 나도 한번 들어보자’라는 생각에 급히 공연장으로 향했다.

그런데 공연장의 운치 또한 그만이었다. 국민대학교 후문 옆에 멋진 고택이 자리하고 있었다. ‘명원민속관’이라는 현판이 붙어있는 60칸짜리 양반 고택인데 원래 구한말 한성판윤을 지낸 한규설 대감의 장교동 집을 도시개발과 함께 이 자리로 이전한 것이란다. 북한산 자락을 끼고 솟을대문, 사랑채, 안채, 별채, 행랑채뿐 아니라 연못이 조성된 녹야당이라는 이름의 초당까지 그야말로 그윽한 도심 속의 휴식처였다.

공연은 안채 대청마루에서 열렸다. 병풍을 둘러친 앞쪽이 무대이고 북이 놓인 아래쪽에 가지런히 방석이 놓여 있었다. 이 또한 정겨웠는데, 낡아서 부실한 무릎이 견뎌줄 것인지 걱정이 앞섰다. 오늘의 주인공 판소리 창은 전남대 예술대학 국악과 교수이자 중요무형문화재인 전인삼 명인이다. 등장하자마자 자신은 인삼이지만 형님은 산삼이라는 우스갯소리로 분위기를 휘어잡는다.

도입부 ‘진국명산’이라는 단가를 디저트로 삼은 뒤 곧이어 ‘춘향가’ 중 ‘십장가(十杖歌)’로 넘어갔다. ‘십장가’는 이름 그대로 변 사또의 수청을 거절한 춘향이 곤장 열 대를 맞는 장면이다. 매를 맞을 때마다 그 숫자에 맞추어 고사를 인용하면서 자신의 처연한 심사를 표현하는 노래다. 명창의 쇠를 긁는 듯한 탁성으로 슬픔을 고조시키니 가슴을 저미는 아픔이 전해졌다.

두 번째 노래는 ‘흥부가’ 중 ‘놀부 박 타는 대목’이다. 동생 흥부가 떨어져 다친 제비 다리를 고쳐주고 큰 복을 받은 사실에 샘이 난 놀부는 일부러 제비 다리를 제 손으로 부러뜨린 뒤 고쳐주고 역시 같은 복을 기다리다가 혼이 나는 대목이다. 앞의 ‘십장가’와는 달리 재미와 해학이 넘친다. 그래서 리듬도 주로 휘모리장단과 중모리장단이 많이 쓰인다. 창자도 흥이 나서 발짓 몸짓을 하며 청중을 웃긴다.

판소리는 세계에서 유래없는 우리만의 고유한 음악 장르다. 당시의 하층민을 중심으로 이런 음악이 탄생했다는 사실이 놀랍다. 그러나 사설 내용은 사대부 저리 가라 할 정도로 대단히 수준 높은 현학적인 고사들로 이루어졌다. 흥미로운 것은 마당극 형태의 이런 음악이 당시 상류층의 지원으로 공연되었다는 점이다. 마치 르네상스 시절의 피렌체의 메디치가 같은 스폰서십을 연상케 한다.

내용을 듣고 있자니 한국적 정서의 뿌리가 여기에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대개 주제를 권선징악으로 뭉뚱그리지만 그런 교훈적인 면은 양반 스폰서에 대한 립 서비스이고 내면에는 강렬한 반항의식이 숨 쉬고 있다. 권력이나 신분을 이용한 갑질에 대한 저항정신은 오늘날과 다를 바 없다는 느낌이다.

창과 고수의 북소리가 어우러지는 중에 한 시간 반이 후딱 지나갔다. 무아지경에서 깨어나자 그동안 숨을 죽이고 있던 무릎이 비명을 지른다. 다리는 아프지만, 우리 정서의 정체성을 확인한 뿌듯함이 더 컸다. 그런데 TV의 국악 프로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땀으로 지병 없애고, 복근 남겼죠”
  • 패션부터 여행까지… 소비시장 주도하는 욜드족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커피 내리는 현장 남고자 승진도 마다했죠”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