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누구나 한번은 젊고 한번은 늙는다. 젊음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 같은 건 없다. 지금껏 신경 쓰지 않고 살았던 노년의 시기에 대해 질문하고 탐구하면서 육체와 더불어 정신적인 강건함을 준비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소노 아야코의 ‘나는 이렇게 나이 들고 싶다’를 펼쳐 든 것도 이런 이유에서였다. 소노 아야코는 책의 서문에 이렇게 썼다.
“나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어떠한 노인이 되고 싶은가’를 생각하게 되었다. 훌륭하게 늙어가는 작업을 나이 들어서 시작 한다면 이미 때늦은 게 아닐까? 어린아이 때 어른이 될 준비를 하듯 노인이 되기 위해 인간은 어쩌면 중년부터 차차 준비를 해야 하지 않을까?”
만 40세의 나이에 쓰기 시작한 메모를, 쓰고 고치기를 반복하면서 1972년 41세 때 ‘계로록’이란 제목으로 책을 낸 후 51세와 65세 때 수정, 가필하였다.
소노 아야코는 나이에 상관없이 받는 것을 요구하게 된 사람을 노인으로 생각키로 했다고 책에서 밝혔다. 그러면서 노인들은 ‘아주 적은 돈이나 물건, 시중에 이르기까지 받는 것에 대해 믿을 수 없을 만큼 민감하다. 이런 심리 상태가 모든 면에서 매우 심해지면 그것을 노화가 상당히 진행된 증거로 보아도 좋다’고 했다.
저자는, 몸이 불편한 노파가 어두컴컴한 길을 걸어오는 여행자를 위해 매일 밤 도로로 난 창가에 등물을 켜놓았다는 예화를 통해 어떤 행위도 할 수 없는 노파였지만 단지 등불을 켜놓는 행위 만으로 스스로가 무언가 할 수 있단 행복감을 맛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받는 즐거움 보다는 주는 즐거움이 훨씬 행복한 법이다.
노인이라고 남이 해주는 것을 당연시 하면 안된다. 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능력으로 자립적으로 살아가야 하며 그럴 때 즐거움이나 자존감 높아진다. 그렇지 못한 사람은 오히려 자기에게 잘 해주지 않는 가족이나 주위 사람들에게 불만만 가득하게 될 것이 뻔하다.
책 속에는 밑줄 그어가며 마음에 새겨두고 싶은 문장들이 많았다. 한가하게 남의 생활에 참견하지 말 것, 타인의 도움이 필요하면 직접적으로 해줄 사람을 선택할 것, 건망증이나 다리나 허리의 불편함을 일일이 변명하지 않을 것, 이 세상 떠날 때까지 물건을 줄여나갈 것, 지나간 이야기는 정도껏, 비바람을 두려워 하지 않을 것.
이만한 나이에 이 책을 만난 것이 감사하다. 생과 사, 어디 쯤 존재하는 인생의 석양녘을 향해 걸어가면서 ‘어른답게 나이 들어가기’ 혹은 ‘아름다운 늙음’을 위해 지금부터 준비할 수 있으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