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80년대 농촌에는 쥐가 엄청 많았다. 먹이를 구하려고 집 마당의 볏단과 부엌을 뒤졌다. 논밭에는 분탕질 잔해가 널려있었다. 심지어 방안으로 뛰어들어 주인장의 밥상을 덮치는 녀석도 있었다. 지금의 멧돼지 출몰지역 주민처럼 농사를 다 망치지 말기를 바랄 뿐 별다른 대책이 없었다. 농산물 적당량을 쥐가 차지하는 것으로 양해할 지경이었다.
“못 살겠다. 쥐를 잡자.”
주민들은 목소리를 높였다. 한 해에 몇 차례씩 같은 날을 잡아서 모든 주민과 학생을 동원하여 쥐잡기 운동을 벌였다. 그동안 집집마다 따로 쥐약을 놓았던 일은 풍선효과 때문에 아무런 소용이 없었다. 마을 전체에 쥐약을 놓고 쥐덫을 설치하는 일제소탕 작전을 하였다. 쥐꼬리를 모아서 실적을 보고하던 옛이야기다.
시간이 지나자 이 방법을 계속할 수 없었다. 개ㆍ돼지ㆍ닭 가축이 먼저 쥐약을 먹고 나자빠졌다. 영리한 쥐는 사람 냄새가 묻은 음식물이나 쥐덫에는 아예 접근하지 않았다. 어린아이가 쥐덫에 걸리기도 하였다.
“이건 아니지! 다른 방법을 찾자.”
주민들은 입을 모았다. 쥐에게 시련이 커졌다.
쥐약과 덫을 없애고 집집마다 고양이를 기르기 시작하였다. 고양이는 항상 쥐를 잡는 구조다. 쥐가 고양이를 잡았다는 이야기는 듣지 못했다. 고양이는 쥐가 파고들어간 땅굴까지 쫓아갔다. 쫓기는 쥐가 편안하게 살았던 논밭을 버리고 잘 보이지 않는 돌담장 틈으로 숨어들었다. 쥐가 잘 보이지 않자 농민들은 행복의 시작인 줄 알았다.
“역시 고양이가 최고야!” 하면서 애지중지하였다. 고양이가 주인어른 밥상머리에 앉아서 음식을 받아먹기에 이르렀다. 강아지와 동급대우를 받는 반려동물이 되었다. 고양이의 전성시대였다. 그렇다고 고양이 때문에 쥐가 다 잡혔다는 말도 들은 적이 없다.
시간이 지나자 배가 부른 고양이는 양지 바른 곳에서 낮잠 자기 바빴다. 쥐보다 덩치가 훨씬 큰 녀석들은 밤이 되면 떼를 지어 몰려다니면서 온 동네를 쑥대밭으로 만들었다. 어려운 쥐잡기 대신 닭과 계란의 포식자로 탈바꿈하였다. 고양이 수가 점점 많아졌다. 무대 위에 더 골치 아픈 주인공이 등장한 꼴이 되었다.
“고양이 때문에 못 살겠다!”
하루아침에 반려동물에서 원성의 대상이 되었다.
돌담장 속에서 쥐가 아무리 떠들어도 몸집이 큰 고양이는 작은 틈을 뚫을 수 없었다. 날카로운 발톱을 긁어댔지만 뾰쪽한 방법이 되지 못하였다. 쥐들은 고양이를 무서워하거나 도망갈 이유가 사라졌다. 농산물이 풍부해지면서 추수하고 남은 ‘이삭’이 넓은 들판에 넘쳐났다. 쥐는 고양이에게 시달리던 때 먹이를 돌담장 속에 저장하는 요령을 터득하였다. 그전처럼 논밭을 쑥대밭으로 만든 흔적을 남기지 않았다.
“고양이는 말짱 허깨비야!”
고양이의 무용론에 힘이 실렸다. 고양이는 잘 보이지 않는 곳에 있다가 식사 때에 나타나는 습성이 있다. 주인이 음식을 제대로 챙겨주지 않으면 집에 들어오지 않고 길고양이가 되고 만다. 주인과의 사랑 다툼에서도 애완견에게 밀려났다. 얼마 후 고양이가 마을에서 흔적 없이 사라지고 말았다. 마을은 쥐들의 세상이 되었다.
항상 먹히기만 하였던 쥐들이 변화하는 환경을 이용하여 천적 고양이를 확실히 잡았다. ‘쥐구멍에도 볕들 날 있다’는 말이 실감나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