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이구, 주책이야]
지난해 4월 어느 주말 오후, 느닷없이 필자의 주책이 시작되었다. 주말 모 예능프로그램에서 1990년대 대중문화의 한 획을 긋고 해체된 1세대 아이돌 그룹을 다시 불러 모아 콘서트하는 과정을 방송했다. 그들이 해체된 후 16년이 지났건만 당시의 아이템(팬덤을 상징하는 색깔의 우비와 풍선)을 장착한 팬들이 체육관을 가득 채웠고 가수와 팬들은 감동의 눈물을 흘렸다. 당연히 필자도 함께 눈물을 흘렸다.
그 시절 철없던 소녀들은 한때의 추억이 아닌 더 깊은 마음으로 가수를 응원했고 그들의 16년 전 활동에서부터 콘서트 영상까지 다 찾아 보면서 애정 어린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필자도 그렇게 아이돌 그룹의 열렬한 팬이 되었다. 시쳇말로 ‘이모팬’이 된 것이다. 아마 최고령 팬이 아닐까 싶다. 누구한테 말하기에게는 살짝 민망할 때가 있는 걸 보니 주책임이 틀림없다.
몇 년 전 후배가 집에 보온병이 남아나질 않는다는 말을 했다. 좋아하는 가수에게 몸에 좋은 차와 음식을 만들어 보내서란다. 명품 셔츠를 사서 보내고 자기도 같은 옷을 입고는 그와 커플룩을 입었다며 뿌듯해하곤 했다. 필자는 사회적 지위 등 모든 면에서 부족함이 없는 그녀가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어이가 없었다. 그러나 지금은 그녀의 행동을 십분 이해한다.
필자도 그들이 바빠지거나 얼굴이 야위면 건강을 해칠까 걱정이 되고, 그들의 노래가 좋은 성과를 내면 필자의 일처럼 기쁘고 마치 자식이 성공한 것처럼 뿌듯하다. 물론 팬으로서 할 수 있는 일도 다 한다. 플레이어도 없는데 소장용으로 새 앨범을 사고, 대형 서점에 찾아가는 수고도 마다하지 않는다. 대형 서점에서 사야 새 앨범 판매 실적에 반영이 되기 때문이다.
길에서 그들의 노래가 나오면 걸음을 멈추고 다 끝날 때까지 미소를 짓다가 가던 길을 간다. 이제는 웬만한 랩도 따라 부를 수 있게 되었다. 그들 덕분에 힙합, 랩이 특기라고 소개할 수 있는 시니어가 되었다.
주변 사람들에게는 “내가 좋아하는 가수 새 노래 나왔다. 한번 들어봐라” 하며 홍보한다. 물론 그들이 속으로 ‘아이고 저 주책~’이란 말을 삼키고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필자도 처음엔 그들의 노래가사 한마디에 위로받고 눈물까지 흘리는 스스로의 모습에 당혹스러웠으므로.
가족들은 ‘으이그 저 빠순이’ 하며 놀리기도 하지만 기꺼이 응원해준다. “어딘가에 맹목적으로 빠지는 네 열정이 부럽다”고 말해주는 친구도 있다.
아무렴 어떠랴. 주책이라면 또 어떤가. 시니어는 클래식이나 트로트만 좋아해야 하나? 아이돌 음악도 엄연한 대중예술의 한 장르다. 또 그들의 음악인 K-POP은 한류의 대표 상품으로 엄청난 외화벌이의 효자 문화 콘텐츠 아닌가.
필자가 응원하는 가수도 곧 해외 진출을 한다고 한다. 그들이 해외에서도 좋은 성과를 내서 국제적인 아이돌이 되면 좋겠다. 한류 수출의 기수가 되길 팬으로서 항상 응원하고 있다.
순수하고 긍정적인 팬심에 나이라는 변수가 왜 필요한가. 필자는 작년에 너무 가고 싶었던 콘서트엘 못 갔다. 주책 떠는 사람으로 보일까봐 가지 못했는데 너무 후회스럽다. 올해 콘서트가 열리면 당당하게 가서 노래도 따라 부르고 더 적극적으로 즐겨볼 작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