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영화 하면 <라이언 일병 구하기> 식의 영웅담이 먼저 떠오른다. 승자 의식을 고취시키고 역사의 주도권을 확인하는 주류 영화들이다. 이런 영화들은 대부분 스펙터클하고 승자의 미담이 주를 이룬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우리는 아픔을 이런 식으로 봉합해왔다. 그러나 전쟁의 상처가 아물면서 이젠 전쟁 그 자체를 똑바로 직시하는 영화들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랜드 오브 마인>은 전쟁이 끝난 이후를 이야기한다. 그러나 총소리 한방 들리지 않지만, 전쟁보다 더 스릴 넘치고, 오감과 심장을 쥐어짜고, 정서의 참담함을 성취한다. 이 기이한 전쟁영화는 전쟁이 얼마나 인간을 잔인하게 만들고 도덕성을 황폐시키는지, 그리고 그러한 폐허에서 인간은 어떻게 구원받을 수 있는지를 잔잔하고 생생하게 보여준다.
이 영화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 2차 대전이 끝난 후 덴마크 서부해변은 독일군이 매설한 200여만 개의 지뢰가 남아 있었다. 승전한 연합군 측은 이 지뢰를 독일군 포로들을 동원해 제거하려 한다. 그중 영화 속의 ‘스캘링엔’ 지역을 담당한 것은 주로 독일의 소년병들이었다. 그들은 작업이 끝나면 고향으로 돌려보내 주겠다는 약속을 믿고 죽음에 내몰린다.
소년병들이 지뢰 해체에 익숙하지 않은 것은 당연한 일. 게다가 장비도 없이 작은 탐지봉 하나에 의지하여 모래밭을 기어가며 생사의 기로를 넘나든다. 아름다운 해변의 모래사장이 그들에겐 죽음의 땅인 셈이다. 영화는 그들 중 일부인 ‘칼 상사(로랜드 몰러)’ 휘하 소년병들의 이야기를 통해 종전되었지만, 결코 끝나지 않은 전쟁의 깊은 상처를 증언하고 있다.
조금만 방심하면 순식간에 목숨을 잃는 위험천만한 일이지만, 독일에 대한 증오심에 불타는 덴마크 군인 ‘칼 상사’에겐 소년들은 소모품에 불과하다. 때문에 소년병들에게는 식사도 제대로 주지 않고 허름한 판잣집에 몰아넣은 채 지뢰 제거 작업에만 몰두하게 한다. 한때는 연합군의 일원으로 나치 독일이라는 괴물과 싸웠지만, 이제는 그 자신이 괴물이 되어가는 것이다.
영화의 제목은 중의적이다. 원제는 덴마크어로 ‘모래 아래(under sandet)’라는 뜻이었지만, 영어 제목으로 바뀌면서 ‘지뢰의 땅’이라는 의미와 ‘나의 땅’이라는 의미를 동시에 갖게 됐다. 그러니까 소년병들에겐 이 땅의 절망과 나의 집으로 돌아간다는 희망이 늘 교차하고 있는 셈이다. 그들의 이 간절한 소망이 그들을 살리는 힘이며 칼 상사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원동력이 된다.
지뢰가 폭발하면 팔다리가 찢어지는 이 지옥의 땅도 눈을 들어 보면 평화롭고 아름다운 해변이듯, 상사의 증오로 이글거리는 눈빛도 부모의 마음으로 보면 그들도 그저 순박한 아이들일 뿐이다. 상황이 만들어낸 잔인한 ‘칼 상사’도 소년들의 선한 눈망울을 보며 점차 아버지의 마음을 회복하며 구원의 길로 나아간다.
우리에겐 잘 알려지지 않은 덴마크의 마틴 잔드블리엣 감독은 무명에 가까운 배우와 평범한 소년들을 통해 선과 악, 가해자와 피해자를 분간하기 어려운 전쟁의 진실을 정면으로 응시한다. 전쟁이란 본디 아이러니로 가득한 인간들의 맹목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