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영화 <죽여주는 여자>

기사입력 2017-03-02 10:42

‘죽여준다’는 말은 ‘아주 잘 한다’는 뜻의 속어이다. 이 영화의 배경이 종로일대에서 노인들을 상대로 성매매를 하는 나이든 여자, 소위 박카스 음료수를 파는 것으로 위장하여 접근한다는 박카스 아줌마이다. 그래서 섹스를 아주 잘하는 여자라는 선입견을 갖고 봤다. 영화에서는 노인들 사이에서 입소문도 그렇게 났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 보다는 외로운 독거노인들과 기구한 운명의 한 여인과의 인간적 정을 보여준다. 이 여인은 병고로 고통 받는 노인들이 죽기를 원할 때 죽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이재용 감독 작품이며 윤여정, 전무송 등이 출연한다. 윤여정은 1947년생으로 필자보다는 나이가 많지만 이 영화에서는 5살 적은 65살 소영 역으로 나온다. 소위 ‘박카스 아줌마’ 역이다. 종로 일대 공원 근처에서 노인들을 유혹하여 성매매를 하지만, 인간적인 사람이다. 갈 곳 없는 필리핀 소년을 데려다 돌보기도 하고, 트랜스젠더 집주인 티나, 불구의 작가 도훈, 등 소외된 이웃들과 평화롭게 살아가는 사람이다.

그녀가 인생의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는 것은 한때의 단골이었던 송노인이 뇌졸중으로 쓰러지고 병문안을 갔더니 자신을 죽여 달라는 간절한 부탁을 받고 부터이다. 죄책감과 연민 사이에 고민하다가 감나무 살충제라는 농약을 먹여 죽게 해준다. 송 노인은 자식들을 미국에 보냈었고 자식들은 2세들을 낳아 미국인이 되었지만, 정이 없고 냉랭한 이방인이 되었다. 반신불수로 희망도 없고, 몸을 움직이지 못하고 고통 받느니 차라리 죽는 게 낫다고 결심한 것이다.

이일을 시작으로 치매에 걸린 다른 노인은 같이 등산 갔다가 절벽에서 밀어 떨어뜨려 죽게 한다. 재우(전무송 분)라는 노인은 같이 호텔에 가서 과량의 수면제를 먹고 죽는다. 노인은 영원히 잠드는 것이고 여인은 잠시 잠들었다가 다시 깨는 것이다. 병든 노인들은 번호표를 타 놓고 죽음을 기다린다는 대사가 나온다.

이 여인은 결국 경찰에 체포된다. 법적으로는 살인죄 및 살인 방조죄에 해당하여 범법행위인 것이다. 프랑스 영화 ‘아모르’에서는 치매에 걸린 아내를 남편이 베개로 질식사 시킨다.

이 영화가 시사하는 점은 여러 가지이다. 가장 눈이 띄는 것은 노인의 성문제이다. 아내가 있어도 잠자리를 응해주지 않는 노인부부가 많다. 아직 성욕이 꿈틀거리는 독거노인은 성문제를 풀 방법이 없다. 자연스럽게 ‘박카스 아줌마’라는 직업이 생겨나는 것이다.

필자도 모임 장소가 종로 3가라서 종로일대의 그런 풍경은 낯설지 않게 볼 수 있다. 아직도 왜 노인들이 탑골 공원 안에서 소일하고 있는지 궁금하지만, 그 부근은 음식 값이 싸고 메뉴가 우리 세대에 맞아서 좋다보니 어느덧 종로 노인의 대열에 끼었다.

▲영화 <죽여주는 여자>의 장면(강신영 동년기자)
▲영화 <죽여주는 여자>의 장면(강신영 동년기자)

두 번째로는 노인들은 외롭다. 2세들은 자기들 살아가기 바쁘다. 비록 성매매로 만났지만, 소영은 죽음의 순간에 마지막 까지 남아 주고 조력자 역할까지 한다. 외롭다는 것은 애처로운 일이다. 돈도 없으면 아무도 상대해 주지 않는다.

세 번째로는 노인 건강 문제이다. 병고로 시름하느니 차라리 죽고 싶은 심정일 것이다. 치매는 아프지는 않지만, 정신적인 상실감으로 더 이상 살고 싶은 욕망이 없어지는 무서운 병이다. 노인이 되면 여기저기 아프고 병이 생긴다. 죽음이 가까워 오고 있다는 징조이다. 그래서 노인들은 건강이 최우선이다. 건강이 무너지면 삶의 의욕도 함께 무너진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땀으로 지병 없애고, 복근 남겼죠”
  • 패션부터 여행까지… 소비시장 주도하는 욜드족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커피 내리는 현장 남고자 승진도 마다했죠”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