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좋은 조부모가 되기 위한 노력

기사입력 2017-02-28 13:46

▲아이들 눈높이에 맞추기(조왕래 동년기자)
▲아이들 눈높이에 맞추기(조왕래 동년기자)
맞벌이가 대세인 요즘 손자녀들의 양육과 교육의 절반이 조부모 몫이다. 예전에도 손자녀의 돌봄이 있었지만 밥이나 챙겨주는 소극적 양육이었다. 아이들은 골목에서 또래 아이들과 떠들고 장난치고 밤이 깊어 가는지도 몰랐고 엄마가 저녁 먹으라고 부르면 그때 달려서 엄마 품에 안기면 끝이었다. 과외공부도 없었고 고작 학교 숙제가 발목을 잡는 그야말로 숙제였다.

지금의 아이 양육은 먹이고 씻기는 일은 기본이고 시간 맞춰 과외수업 현장으로 내 몰아야하고 교통사고나 유괴의 우려가 없는지 늘 매의 눈으로 아이를 살펴봐야 한다. 금쪽같은 내 손주 누구나 다 잘 기르고 싶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잘 기르는 방법은 모른다. 아이들의 마음을 얻기 위해 어떤 놀이를 해줄까? 어떤 이야기를 해주면 좋아할까? 늘 궁금증은 있었다. 그러던 차에 건강가정 지원센타에서 "3가지로 좋은 조부모 되기"강좌가 열린다는 소식을 접하고 참가하게 되었다. 3가지는 "마음이 통하는 조부모, 신체 놀이가 통하는 조부모, 구연동화가 통하는 조부모" 가 가되기 위한 교육이었다. 손자녀의 마음을 읽고 유아의 눈높이에 맞춘 조부모의 구연동화는 장차 손자녀가 살아가는데 마음속에 커다란 원동력이 된다고 강사가 강조한다. 할머니 무릎에서 들었던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의 이야기는 지금도 가슴에 생생하게 기억하는 것을 봐서 틀린 말이 아니다. 피아제(스위스출생, 아동발달심리학자 1896~1980)의 인지 이론에 의하면 유아기의 심리는 돌멩이를 비누로 상징하고 모래로 밥을 짓고 풀잎으로 나물을 만들어 소꿉놀이를 한다. 논리적으로 생각하기 보다는 보고 듣는 직관적 사고로 무생물도 살아서 숨 쉬고 느끼고 자란다는 물활론적 판단을 갖고 있다. 더구나 자기가 꾼 꿈이 실제로 일어난 것처럼 믿으며 사물이나 현상을 한 방향으로만 생각하고 자기중심적이어서 사물의 여러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지 못한다고 한다. 그러니까 아이와 어른은 다르다. 내 아이를 키울 땐 거창한 이런 걸 모르고 못 느끼고 가슴의 사랑으로만 키웠다. 나이 들어서 사회복지사 공부를 하면서도 피아제의 인지 이론을 공부했지만 감동 없이 그러려니 했다. 잊고 있던 유아기의 심리상태를 선생님 말씀과 그동안 손자녀의 행동을 견주어보니 아이들 마음이 이런 마음 이었구나 하고 이해가 가고 배우고 안다는 것이 즐겁다. 유아원에서 첫 아이에게 아빠 직업을 물었더니 도둑 잡는 경찰관이라고 대답했다. 선생님이 "너희 아빠 참 훌륭하시다. 우리 친구들 여기 봐요! 누구 아빠 대단해요 우리 박수 한번 쳐줘요"한 후 다음 유아에게 아빠 직업을 물으면 경찰관 이라고 대답 한단다. 그 다음 유아도 또 그 다음 유아도 모두가 자기 아빠가 경찰관이라고 대답 한단다. 유아에게 거짓말 한다고 야단 칠 필요가 없다. 이것이 유아의 심리 상태란다. 아이들끼리 소꿉놀이 하는 걸 유심히 보면 모래로 밥을 하고 풀잎을 뜯어서 김치를 담근다. 아이들 세계는 그것이 정상이다.구연동화를 위해서는 작품을 머릿속에 그리면서 동화를 익힌 후 거울을 보면서 연습하고 녹음을 해서 듣고 고쳐가며 많은 실연을 해야 자연스러운 동화구연이 된다. 시니어에게도 봉사활동이나 직업으로도 구연동화가는 매력적임에는 분명하다. 지금까지 살아온 풍부한 인생사가 들어있으니 자연스럽게 실감나는 구연동화가 가능하다.

원래 구연동화는 어떠한 소품도 사용하지 않고 교육적이고 교훈적인 내용의 동화를 입으로 연기 하는 것이다. 그러나 가정에서 다양한 교재를 활용하거나 집에 있는 간단한 소품들을 이용하면 더욱 실감나는 연기를 재미있게 할 수 있다. 음의 높낮이 와 등장인물에 적합한 음성을 모방하고 가끔 효과음을 넣는다면 아이들은 행복하고 놀라운 가상의 세계에 빠져든다.

좋은 조부모되기 위해 노력하고 아이의 마음 상태를 알아가다 보면 자연스럽게 노인도 유아의 심리상태로 돌아간다. 얼굴과 목소리는 녹슬었지만 마음만은 유아가 된다. 회춘이 따로 없다. 생각이 젊으면 몸도 젊어진다. 유아의 눈높이에 맞는 종이접기, 구연동화 실제 해보기로 서툴지만 한바탕 웃음으로 끝이 났다. 배움은 끝이 없고 배워야 산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땀으로 지병 없애고, 복근 남겼죠”
  • 패션부터 여행까지… 소비시장 주도하는 욜드족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커피 내리는 현장 남고자 승진도 마다했죠”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