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설과 떡국과 그리운 식구(食口)

기사입력 2017-01-24 10:34

▲설과 떡국과 그리운 식구(食口)(박미령 동년기자)
▲설과 떡국과 그리운 식구(食口)(박미령 동년기자)
어릴 적 설 풍경 중 제일 기억에 남는 장면은 동네 떡 방앗간의 정경이다. 설이 다가오면 집집마다 불린 쌀을 커다란 양푼에 담아 머리에 이고 방앗간으로 향한다. 방앗간 앞은 이른 아침부터 장사진이다. 사람 대신 각종 커다란 그릇들이 줄을 섰다. 김이 물씬물씬 나는 시루와 기계에서 끊임없이 밀려 나오는 가래떡으로 주변은 활기가 넘친다. 어린 눈에 수증기로 가득 찬 방앗간은 신비한 요술 집 같았다.

우리 차례가 되어 기계 앞에 서면 가슴이 뛰었다. 따끈따끈하고 말랑말랑한 가래떡을 먹을 수 있다는 기대로 가슴을 조이다 보면 드디어 우리 떡이 힘차게 밀려 나오며 차가운 물에 샤워하고 차곡차곡 쌓인다. 아이의 눈이 무엇을 말하는지 눈치챈 주인아저씨는 씩 웃으며 칼로 한마다 썩 베어 앞으로 내민다. 아! 그때 먹었던 가래떡의 맛을 지금도 잊을 수 없다.

차가운 날씨에 밖에 내놓아 일부러 굳힌 가래떡은 설날 떡국의 주재료이기도 하지만, 다양한 변주로 우리의 미각을 즐겁게 한다. 그중에 필자가 특히 좋아하는 것은 ‘가래떡구이’다. 식구들과 곤로에 둘러앉아 마치 원시인들이 벽화를 그리는 심정으로 조심스럽게 둥글리며 구우면 고소한 냄새와 함께 겉은 얇게 탄 종잇장 같은 막이 생기며 속은 말랑말랑히게 익는다.

지금도 시장통을 지나면 습관처럼 떡집 앞을 기웃거린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꿀떡이나 남편이 좋아하는 약식을 사면서 기어이 가래떡을 집어 든다. 다들 무슨 맛으로 가래떡을 사느냐고 한마디씩 하지만, 필자에게는 그야말로 ‘소울 푸드(Soul Food)’인 셈이다. 요즘이야 난로가 없으니 어쩔 수 없이 굳기 전에 참기름 떨군 간장에 찍어 먹으며 홀로 추억에 잠긴다.

음식 문화로 치면 설날 떡국은 매우 특이한 전통이다. 최근 흥미로운 글을 읽었다. 황교익 음식 평론가에 의하면 오늘날 여러 가지 격식이 붙어 있는 거창한 차례상은 사실 현대에 와서 조작된 허구이지 진정한 전통이 아니란다. 홍동백서니 어동육서니 운운하며 대단한 지식이나 되는 양 떠들지만, 과거엔 없던 만들어진 전통이라는 말이다. 오로지 떡국 하나만 우리 유전자에 각인된 전통이라는 것이다.

원래 인류의 식사는 청동기 시대부터 온 마을 식구(食口)가 함께 둘러앉아 먹는 것이었다. 우리나라도 가족 단위로 밥을 먹는다는 것은 고려 시대에 들어와서나 정착된 문화이지 그 전까지 평민들은 마을 공동으로 취사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그러다 보니 밥보다는 떡이 주식으로 알맞았고 오늘날 설음식으로 떡국이 흔적처럼 남아 있는 연유이다.

비슷한 전통이 동아시아 각국에도 남아 있다. 중국에서는 쌀로 만든 경단을 국물에 넣어 먹는 ‘탕위앤’이 있고, 일본에는 된장이나 가쓰오부시로 맛을 낸 국물에 찹쌀떡을 넣은 ‘오조오니’가 있다. 사실 떡은 그 형태상 그냥 먹는 음식이지 국물에 넣어 먹는 것은 어쩐지 어색하다. 그러나 먹다 남는 떡이 굳어지니 어쩔 수 없이 이런 음식이 태어나게 된 것이 아닐까. 동아시아에 남아 있는 설날 떡국 문화는 이런 전통을 기억하는 집단 무의식인 것이다.

조선조 서울 풍속을 적은 <경도잡지(京都雜志)>(1800)에는 떡국에 관한 기록이 나오는데 “멥쌀로 떡을 만들어 치고 비벼 한 가닥으로 만든 다음 굳기를 기다려 가로 자르는데 그 모양이 돈과 같다. 그것을 끓이다가 꿩고기, 후춧가루 등을 넣어 만든다. 또 나이를 한 살 더 먹는 것을 떡국 그릇 수에 비유하기도 한다.”고 했다. 그러니 오랜 전통임이 틀림없다. 훗날 꿩고기가 없으면 닭고기를 넣기도 하면서 ‘꿩 대신 닭’이라는 속담이 생기기도 했다.

오늘날 새로 생겨난 가슴 아픈 문화 현상의 하나는 이름하여 ‘혼밥, 혼술’ 문화이다. 가족이 해체된 지는 이미 오래고, 늙어 혼자되고, 시집 장가 안 가 혼자 살다 보니 마지못해 생긴 현상일 것이다. 애초 인간은 음식을 혼자 먹는 전통이 없는 까닭이다. 이번 설에는 부디 흩어진 식구(食口)들이 모두 모여 떡국 한 그릇이라도 나누어 먹었으면 좋겠다. 그래야 이 풍진 세상 또 한 해를 견뎌낼 힘을 얻지 않겠는가.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김수환·이어령, 그들은 왜 추앙받았나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