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흔 넘은 노모의 죽음에 대처하는 가족의 자세
어느 날 갑자기 화순(전라남도)에서 사는 어머니가 자살을 시도했다. 아흔 넘은 노모의 충격적인 행위는 다큐멘터리 영화 <할머니의 먼 집>의 모티브가 됐다. 이승을 떠나고 싶은 어머니, 그런 어머니의 마음을 이해하는 딸, 아직은 할머니와 헤어질 때가 아니라는 손녀를 중심으로 삶과 죽음을 바라보는 세대 간의 입장 차이를 조명한 <할머니의 먼 집>. 관객과의 대화 현장을 찾아 영화에 담긴 이야기들을 들어봤다.
장소 한국영상자료원 일시 2016년 9월 27일
감독 이소현
진행 맹수진(한국독립영화협회 비평분과)
맹수진(이하 진행) 감동적인 영화였습니다. 슬픔보다는 감동이 전해지는 영화인데 현재 할머니의 건강상태는 어떠신가요?
이소현(이하 감독) 올해 아흔여섯 살이십니다. 건강은 영화에서보다 더 안 좋으시고요. 죽는다는 말은 여전히 계속하고 계셔요.
진행 따님이 영화 찍는다고 할 때 뭐라 하셨나요?
장춘옥(이하 어머니) 맨날 와서 찍는데 도대체 뭘 찍느냐고 물어봤어요. 어느 날 영화를 만들었다고 해서 봤는데 내가 악역 중에 악역이더라고요(웃음). 뭘 이런 것을 찍느냐고 했어요. 그래서 이것저것 좀 빼달라고 딸아이한테 부탁했는데 잘 안 됐어요.
진행 이 영화의 검열관이셨군요?
어머니 죽고 싶은 엄마 마음을 이해하니까요. 물론 어머니가 돌아가시기를 원하는 건 불효막심이죠. 그런데 지금도 어머니가 어서 돌아가시는 게 좋을 것 같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진행 감독님은 어머니와 다른 의견이신 거죠?
감독 제가 이 영화에서 표현하고 싶었던 부분도 그 지점이에요. 할머니는 자신이 빨리 돌아가시기를 원하고, 엄마도 할머니의 마음을 이해하고 계셔요. 저는 할머니가 오래오래 살아계셨으면 하고요. 현상학적으로는 다르게 표현됐지만 너무 서로 사랑하기 때문에 나오는 각자의 마음이 아닐까요? 그런 의미에서 저 또한 어머니를 설득했다고 생각해요.
진행 그래도 어머니는 못마땅한 부분이 있으실 거 같은데요. 나름 편집자 역할을 하신 거 같은데 어떤 부분을 뺐고 또 어떤 부분을 영화에서 살렸나요?
어머니 우선 어머니가 자살 시도를 했다는 내용을 뺐으면 했는데 빼지 않았더라고요. 그리고 어머니가 돌아가셨으면 좋겠다고 제가 말하는 내용이요. 그런데 영화를 다 보니 빼면 안 될 거 같더라고요.
관객 질문
할머니께서 자살을 결심한 이유는 뭔가요?
감독 영화 초반 제가 할머니께 물어봤을 때 “성가신께”라고 대답했어요. 더 이상 물어보지 않았어요. 같이 생활하면서 느낀 건데 할머니는 삶의 에너지가 넘치는 사람이에요. 그런데 할머니에게는 살아 있는 친구가 얼마 남지 않으셨고, 할아버지도 돌아가셨어요. 그리고 본인 손으로 손자·손녀 13명을 다 키우셨어요. 이젠 더 이상 할 수 있는 일이 없다고 느끼신 것 같아요. 오늘 아니면 내일이라는 죽음의 거리가 손녀인 저와는 아주 다른 것 같아요. 그래서 그런 부분에 있어서 이런 표현이 맞을지는 모르겠지만 능동적인 선택을 하신 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어머니 제 생각은 큰아들인 저희 오빠가 위암 수술을 해서 엄마 음식을 먹을 수 없었어요. 그런데 어머니 낙이 큰아들 밥해주는 것이었어요. 아들이 당신이 해준 밥을 먹는 것이 보람이었고 살아가는 이유였죠. 당신 음식을 못 먹고 병원 음식이나 주로 죽을 먹었는데 아마 거기서도 재미를 전혀 못 느끼셨던 거 같아요.
할머니가 어서 빨리 돌아가셨으면 한다 했을 때 어머니의 진짜 심정이 궁금합니다.
어머니 우선 저희 집을 보면, 위암인데 술밖에 줄 수 없었던 오빠가 영화를 찍던 도중에 먼저 갔잖아요. 둘째 오빠도 지금 건강이 좋지 않고요. 어머니는 지금 요양원에 혼자 외롭게 계셔요. 저는 적어도 어머니가 자식들 더 가기 전에 가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감독님은 할머님이 어떻게 돌아가셨으면 하나요?
감독 저는 지금도 한 달에 한 번씩 할머니를 만나러 가요. 마음 같아서는 제가 곁에 있을 때 돌아가셨으면 좋겠어요. 제가 서울에 있을 때 일이 생기는 건 상상하기도 싫어요.
영화를 보면서 어머니의 마음이 이해가 됐습니다. 사랑해서 그랬다고 생각해요. 혹시 할머니가 돌아가시지 않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나의 이기심은 아닐까요?
감독 제가 너무 이기적이라서 그런지 아직은 절대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어머니한테 묻고 싶은데요, 사람이 죽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이 다시는 그 사람을 못 본다는 슬픔 때문인데 그것을 어떻게 이겨내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어머니 내가 보고 싶은 것보다도 우리 어머니가 지금 사는 것이 너무 괴로우니까요. 인과응보의 원리에 의하면 여태까지 좋은 일을 하고 사셨기 때문에 다음 생에는 아주 좋게 태어날 것이라는 기대, 그리고 그렇게 믿으면서 어머니를 보고 싶겠지만 그런 것에 연연해하고 싶지는 않아요. 좋은 곳으로 가셔서 다시 좋은 삶으로 태어나길 바라요.
감독 할머니께서 자살 시도를 하시고 가장 먼저 들었던 생각은 지금이 아니면 안 된다는 생각이었어요. 나중에 돌아가시고 나서 후회해봤자 아무 소용없으니 할머니와 함께 있는 이 시간을 더 늦기 전에 기록해두자, 어쩌면 저를 위한 마음이 더 컸던 것 같아요. 나중에 취업준비 한다고 나갔을 때 할머니가 돌아가시면 얼마나 후회될까, 그래서 계시는 동안 많이 보고 시간 할애하면서 제 이기심 채우고 있습니다.
<할머니의 먼 집>이라는 제목의 의미가 있다면요?
감독 문학도인 제 친구가 지어줬습니다. 물리적으로 할머니가 사는 곳이 제가 사는 서울과 많이 멀기도 하죠. 또 이 영화는 삶이라는 공간의 집에서 죽음이라는 공간인 또 다른 집, 즉 무덤으로 가는 여정의 한순간을 기록하는 영화가 될 것 같다고 해서 지어진 제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