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녀는 집 마당 매실나무 아래 영원히 잠들었다. 며칠 전 내가 사는 마을의 한 젊은 부인이 오밤중에 갑작스러운 지병의 악화로 병원으로 이송되어 수술을 시도했으나 유명을 달리하고 말았다. 마흔다섯의 정말 꽃다운 나이었다. 가족도 가족이지만 마을 주민들은 슬픔에 빠졌다. 화장으로 장례절차를 마친 그 여인의 유골은 주민들의 생각을 넘어 살던 집안 마당의 작은 매실나무 아래 묻혔다. 남편의 지고한 아내 사랑이지 싶다. 너무 짧은 나이로 멀리 보내기에 안타까움이었는지 남편은 아내와 함께 심었던 마당 한쪽의 매실나무 아래를 아내의 안식처로 정했다. 살아있을 때처럼 늘 가까이 두고 싶은 남편의 사랑으로 보고 싶다. 언덕배기의 그 집 위로 하늘은 높아지고 하얀 구름이 흐른다. 대문 밖의 연못에 핀 연꽃의 연밥들이 고개를 숙이고 있다. 저녁이면 그 여인이 밤늦게 켜놓았던 창문의 불빛도 여전하다. 까치도 여느 때와 같이 지저귀고 참새도 이 나무 저 나뭇가지로 우르르 옮겨 다닌다. 글을 쓰다 창밖을 보니 서쪽에 해가 나고 동편에 구름이 덥혀 비가 내리나 보다. 무지개가 둥그렇게 그 집 위를 감싸고 있다.
내가 사는 마을은 4년 전부터 터를 만들기 시작하여 한두 집 짓기 시작했고 지금은 50여 채가 들어선 새로 이뤄진 전원풍의 마을이다. 나이가 든 사람보다 젊은 층이 많이 산다. 67세 나는 늙은이에 속한다. 마을의 동남쪽과 서남쪽은 나지막한 동산으로 둘러쳐졌고 북동쪽과 서북쪽은 논밭에 비닐하우스가 즐비하다. 세상에 잘 알려진 “일산 열무” 재배단지다. 산등성이를 개발하여 전원 마을이 되었다. 마을이 만들어질 즈음에 40 중반의 젊은 부부가 6학년 초등학생 아들을 데리고 이곳에 보금자리를 틀었다. 마을 중간쯤 언덕배기에 아담한 2층 단독 주택을 지었다. 3층 옥탑방이 있어 외양이 서구풍이다. 마을 행사에 헌신적으로 참여하는 젊은 층이다. 마당엔 텃밭을 만들고 대문 앞쪽에 작은 연못을 파고 연꽃을 심었다. 마당 한쪽 양지바른 곳에 매실나무도 한 그루 심었다. 봄이면 그 매실나무에 매화도 소담스럽게 핀다. 부인은 매화를 무척 좋아하였다. 2년 전에 이곳으로 이사를 온 나는 아침 산책길에 이곳을 지나며 예쁘게 핀 연꽃이나 연잎에 영롱하게 맺힌 물방울을 카메라에 담기도 하며 텃밭을 가꾸는 젊은이와 살가운 대화를 나누기도 한다. 3년의 세월 속에 연잎이 너울거리게 되었고 여름이면 홍련이 저 멀리 하늘을 향해 큰 미소를 보낸다. 젊은 주인은 마당 텃밭에 먹거리로 채소를 가꾸었다. 고구마도 심고 토마토도 심는다. 지난해 가을에는 재배한 고구마라며 큼직한 녀석을 서너 뿌리 건네주어 맛있게 먹었다. 행복한 부부가 사는 집 중의 하나였다.
그 젊은이는 이제 또 다른 모습으로 우리에게 새로운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우리의 세대가 생각할 수 없는 집안 마당에 안사람의 유골을 안치한 최초의 사람이 아닐까? 아침저녁이면 미소가 보일 것만 같은 아내의 모습이 주마등처럼 스치고 지나갈 매실나무 아래를 물끄러미 바라볼 그 젊은이를 상상해 보기도 한다. 별이 총총한 자정 무렵 어슴푸레 윤곽을 드러내는 매실나무를 계속하여 지켜볼 수 있을지도 관심거리다. 평생을 살지 않고 이사를 갈 경유엔 어떻게 할까? 영혼이 있다면 남편의 그러한 애틋한 사랑을 지켜보며 저승으로 떠나지 못하고 이승을 맴돌고 있지나 않을까? 그 자체의 옳고 그름이나 따라올 여러 가지 문제점을 차치하고 살아생전처럼 옆에 두고 싶은 남편의 사랑만을 얘기하고 싶다. 살아갈 세월이 그 젊은이와 확연히 다르지만, 과연 나와 안사람은 우리 집 마당의 과실나무 아래 나나 안사람의 유골을 안치할 생각이라도 해 볼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