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대에는 ‘재치 코드’가 중요하다. 사람 사이에서건 비즈니스에서건, 공익 캠페인에서건, 댓글 하나에서건, 방송에서건, 재치 코드가 있어야 호감과 각광을 받는다. 비즈니스 마케팅에서나 방송에서나 공익 캠페인에서나 재치 코드의 파워는 점점 커지고 있다. 재치와 위트가 있다는 것, 이건 모든 능력에 플러스 알파로 작용한다.
기본 능력 플러스 재치 코드가 있으면 더 빛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재치 코드가 ‘억지로 유머를 외워서 말해주기’를 뜻하는 건 아니다. 억지로 웃는 유머도 아니다. 억지스러운 유머는 오히려 비호감이다.
재치 감각과 재치는 이제 경쟁력이다. 재치는 지금의 시대 코드가 되었다. 재치는 메시지의 마지막 2%를 채우는 힘이다. 핵심 메시지를 정통으로 날려주는 마지막 2%의 힘이다. 재치로 마지막 2%를 채운다면, 메시지의 설득력에 날개를 달게 된다. 다른 사람의 웃음을 끌어낼 수 있는 사람은 협력과 지지도 쉽게 끌어낸다.
SNS에서 재치와 촌철살인은 이 시대의 키워드가 되었다. 지루한 설교는 이제 먹히지 않는다. 유머 감각을 갖춘 촌철살인이 없이 주목받을 수 없다. 복잡하고 어려운 상황도 재치를 섞은 메시지로 전달하면 부드럽고 친밀감 있게 전달된다. 그리고 재치가 섞인 메시지는 오래 기억에 남는다. 밋밋한 메시지를 생생하게 만드는 것이 재치다. 주제와 관련된 촌철살인의 재치를 던질 때, 그 메시지를 듣는 사람들은 친밀감을 느끼고 속이 시원해진다. 적절한 타이밍에 적절하게 구사하는 재치는 전체 메시지를 기억에 오래 남게 만든다.
예전에 무상급식 서울시 주민투표 찬반 투표율이 25.7%여서 오세훈 시장이 사퇴했다.
이때 당시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가 이를 두고 ‘사실상 승리’라고 언급하자 이후 ‘사실상 ~’ 패러디가 인터넷에서 봇물 터지듯 나왔다. “25.7% 세일이면 사실상 공짜” “에베레스트 25% 올라가면 사실상 정복” “25.7% 투표율이 사실상 승리라면 파리도 사실상 새라고 봐야 한다”.
“앞으로 선거 2등도 ‘사실상 당선’으로, 고득점 대학 불합격자도 ‘사실상 합격’으로, 최종면접에 떨어지면 ‘사실상 취업’이라 부르며 살자” “등록금도 25%만 내면 사실상 완납한 걸로 합시다”등이었다. 사회 이슈에 대한 이런 촌철살인의 비유는 매일 수없이 나온다.
‘재치’의 반대 개념은 뭘까? ‘뻔함’, ‘구태의연함’이 되겠다. 으례하는 말씀, 흔히 듣는 이야기, 이런 것들이 구태의연한 메시지다. 길고 지루하게, 요점이 어디인지 알 수 없도록 써놓은 글이나 말을 접할 때면 가슴이 답답해진다. 무슨 메시지를 전달하려고 하는 것인지, 당사자도 모르고 있는 것은 아닐까 싶을 때가 있다. 유머의 힘은 크다. 연설을 하거나 강연, 프리젠테이션을 할 때 일단 청중을 웃도록 만들면 반은 성공이다.
웃음으로 하나가 된 후에 사람들은 경계심이나 반감을 누그러뜨린다. 같이 ‘하하하’ 웃고 나면 친밀감은 급속도로 증가한다. 미국의 CEO나 정치인들의 강연이나 연설을 들어보면 늘 유머가 등장한다. 유머가 없는 연설은 지루하기 짝이 없고, 유머를 구사할 줄 모르는 CEO나 정치인들은 좋은 평을 듣지 못 한다.
연설에서 유머가 빠지면 김빠진 맥주같이 생각한다. ‘무슨 무슨 시리즈’를 읊으라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맞는 가벼운 조크를 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내가 들은 한 CEO의 연설은 이렇게 시작했다. “연설은 여성의 미니 스커트와 같아야 합니다. 적당히 길어서 중요한 주제를 커버해야 하고, 적당히 짧아서 주목을 끌어야지요. (Speeches are like women's mini skirts. It should be long enough to cover the important subject, but short enough to keep it interesting)” 이 말을 들은 청중들은 배꼽을 잡고 웃었고, 그 CEO에 대한 호감도는 올라갈 수밖에 없었다. 여성이 들어도 별로 성차별적인 언사라기보다는 ‘연설’에 대한 가벼운 조크로 받아들여지는 유머였다. 그는 적절하게 짧은 연설로 청중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그의 연설이 성공적이었음은 말할 것도 없다.
한 정치가의 말. 한창 사회적으로 논쟁이 되는 이슈에 대해서 기자가 의견을 물었다. “찬성하십니까? 반대하십니까?” 어떻게든 대답은 해야 하는데, 입장을 밝히기가 곤란했던 이 정치인은 유머를 던졌다. “제 친구들 중 일부는 찬성합니다. 제 친구들 일부는 반대합니다. 저는 제 친구들 편입니다. (Some of my friends are for it. Some of my friends are against it. I'm for my friends.)” 난감한 순간을 유머로 슬쩍 피해 가는 것도 능력이다. 정치인의 권모술수라고 매도하기에는 너무나 귀여운 유머 아닌가.
메시지에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힘있는 메시지’이고 다른 하나는 ‘힘없는 메시지’이다. 힘있는 메시지를 듣고 나면 “아, 그렇구나” 하면서 공감하게 된다. 힘없는 메시지는 듣고 나도 무엇을 들었는지 알 수가 없다. 들으나 마나 한 메시지다. 공허하고 추상적인 거대한 단어의 나열은 대부분 힘없는 메시지가 된다.
힘있는 메시지는 단숨에 와 닿는 메시지다. 구구절절 오랫동안 설명할 필요가 없다. 한 문장으로 핵심이 전달된다. 이런 것이 파워 메시지다. 상대방을 설득하는 한 줄의 힘은 여기에서 나온다. 짧은 메시지이지만 그 속에 긴 내용이 들어 있을 수 있다. 길고 복잡한 내용을 한 번에 정리해서 가슴에 쏙 와 닿게 전달하는 것이 파워 메시지의 힘이다. 촌철살인의 재치는 그래서 필요하다.
상품 마케팅이나 정치 캠페인은 다 불특정다수를 설득하는 작업이다. 여론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핵심 메시지가 짧고 명확해야 한다. 상품이나 캠페인이 전달하려는 것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알려야 한다.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여야 한다.
재치 코드를 키우기 위해서 가장 쉽고 좋은 방법, 그것도 아주 쉽고 돈 안 드는 방법은 신문 기사의 제목을 유심히 보는 것이다. 매일 읽는 신문 기사로 훈련이 가능하다. 촌철살인의 재치 코드를 감으로 익히고 싶다면 신문 기사를 읽은 다음에 기사의 제목을 꼭 다시 한 번 보라. 가장 쉽게 재치 코드를 익히는 방법이다. <다음 호부터 제대로 웃음을 펼치겠습니다>
>> 강미은 교수
숙명여대 미디어학부 교수, 전 미국 클리블랜드 주립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미국 미시간 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박사,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저널리즘 석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