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에서 양장점을 경영하는 어머니와 함께 새벽에 동대문 원단시장에 도착하여 온종일 원단과 패션 트렌드를 익히던 여고생은 어느 순간 학생들에게 의상을 가르치는 교수가 되어 있었다. 그런 그녀가 교수가 될 때까지 걸린 수십 년의 시간 동안 어머니는 단 하루도 옷을 만드는 자신의 일을 허투루 대하지 않았고, 50년 동안 직접 옷본을 뜨며 옷을 만드는 현역이다. 도미패션하우스 정옥순(鄭玉順·74) 대표와 호남대 의상학과 장소영(張昭詠·46) 교수는 모녀이자 일생을 함께하는 동지로서 긴 세월 광주 패션의 역사를 지탱해온 산증인들이다. 때로는 힘이 되고 때로는 함께 길을 만드는 모녀의 이야기.
정옥순 대표는 74세라는 자신의 나이를 말하는 데 아무런 거부감이 없다. 40여 년간 국선도로 단련된 자세와 여전히 매끄러운 피부와 풍성한 머리숱이 나이를 잊게 만들어서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러한 외모 이전에 여전히 현역에서 있으면서 핸드프린팅으로 옷본을 뜰 정도로 작업에 깊게 개입하는 그녀의 일상은 과거와 현재가 별 다를 바가 없다고 한다. 정 대표의 젊음은 무엇보다도 현업 장인이라는 기반에서부터 나오고 있었다.
딸이 따라갈 수 없는 어머니의 저력
“50대까지 장사하는 분들을 보면서 ‘난 절대 일하는 걸 50살을 안 넘겨야 해’라고 말하던 시절이 있었어요. 그런데 50살이 지나니 벌써 오십 됐네 싶고 앞으로 더 할 수 있는데 왜 계속 일하는 사람 마음을 몰랐을까 싶었죠. 그때 10년이 지나 회갑이 되면 그만두자고 다짐했어요. 그런데 회갑이 지나니 눈 감고도 일을 할 수 있을 정도가 되더군요. 그래서 계속 일을 하다 보니 벌써 74세가 됐어요.”
옆에 있던 딸, 장소영 호남대 의상학과 교수가 ‘앞으로 10년은 더 하실 것 같다’고 한마디 거든다. 정 대표는 그 말에 고개를 끄덕이며 말했다.
“난 일하는 거 외엔 취미가 없어요.”
장 교수도 그 말에 동의한다.
“아~무 취미가 없으세요. 오로지 일하고 주무시고. 누구보다 먼저 출근해서 가장 늦게 퇴근하세요. 전 따라갈 수 없다고 생각했어요. 그러던 제가 어머니와 같이 일하면서 어머니를 굉장히 닮아가게 됐어요.”
너무도 자연스럽게 어머니의 삶을 따르다
패션이라는 같은 길을 걷고 있는 어머니와 딸은 비록 같은 길을 걷고 있는 동지이지만 서로에게 100% 딱 맞는 관계는 아니었다.
어쩌면 원래는 달랐던 두 사람이 세월의 힘에 의해 계속적으로 닮아진 건지도 모른다. 장 교수가 고등학생일 때부터 정 대표는 그녀를 데리고 동대문 원단시장을 다녔다고 한다, 원단과 자재를 익히는 법을 일찌감치부터 체험을 통해 교육시켰던 것이다. 장 교수가 의상학과를 들어가게 된 것도 어머니의 뜻이었다.
“제가 미술을 되게 좋아했어요. 그림을 좋아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디자인으로 옮겨가게 됐죠. 어머니 따라다니면서 일을 배웠고, 의상학과를 가게 된 것도 자연스러웠어요. 단 원단이나 재료를 보기 시작하면 새벽부터 저녁까지 계속 걸어야 했죠. 그건 너무 힘들었어요.”
딸의 말이 끝나기가 무섭게 어머니의 목소리가 치고 들어왔다.
“그때는 고생했지만 요즘 사람들은 그만큼 할 사람이 없어.”
어머니의 업(業)을 통해 길을 찾은 장 교수가 어머니가 부지런히 일궈놓은 것을 아무 노력없이 받은 것 같아 죄송스럽다는 말을 하지만 모녀간의 이해와 배려가 그 어떤 관계보다 더 남다르게 느껴졌다.
서로를 마주하며 동행해온 대물림
정 대표의 어머니, 그러니까 장 교수의 외할머니는 함경북도 사람이었다고 한다. 정 대표는 어머니가 옷을 굉장히 잘 입었고 염색, 짜깁기 등등을 잘하는 분이었다고 회고한다. 장 교수가 정 대표의 업을 이어서 살아가고 있는 것처럼, 정 대표 또한 어머니의 삶을 이어받은 것이다. 그렇게 의상을 업으로 삼은 3대에 걸친 흐름이 연결되고 있었다.
스스로에게 엄격한 어머니에게 교육받은 장 교수는 최근의 의상학과 학생들을 보며 근심이 많다.
“요즘 고교생들을 상담을 해보면 의상학과를 직업으로 생각하는 게 아니라 ‘이거 돈 잘 벌 수 있어요?’라고 물어봐요, 어머니가 가장 싫어하는 경우죠. 자기가 정말 좋아서 즐겁게 할 수 있는 일이어야 하고 이 일이 아니면 안 된다는 생각이 있어야 하는데…. 그러다보니 중간에 그만 두는 학생들이 많아요. 그래서 저는 일단 시작하면 끝을 볼 것, 뭐든지 즐겁게 할 수 있을 것을 강조해요.”
다른 듯 닮은 두 모녀는 삶이 하나가 되다
정 대표는 ‘직업은 자기가 좋아하지 않으면 못 해요’라고 덧붙였다. 일찌감치 자신의 길을 정하여 묵묵히 장인의 길을 걸어온 그녀의 담담한 한마디에는 남다른 무게가 실려 있었다. 어쩌면 앞으로도 함께 같은 길을 계속 걷게 될 딸 장 교수야말로 어머니의 말을 이해하고 체득하여 지켜왔던 가장 훌륭한 제자이지 않을까.
“소영이가 교수 정년퇴임하고 나면 함께 일하며 현역 디자이너로로 살았으면 해요.”
“그럼 엄마는 아흔 살 넘게 사셔야겠네(웃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