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남자들의 요리 PART3]요리는 삶의 질을 바꾼다

기사입력 2015-10-02 10:47

남자들에게 요리가 주는 영향력은?

>>글 박찬일 로칸다 몽로(夢路) 셰프

텔레비전을 틀면 요리사가 나오고, 백종원이 요리를 한다.

요리사를 넘어 ‘셰프테이너’라는 말이 나오고, 광고까지 점령했다. ‘냉장고를 부탁해’와 백종원이 나오는 여러 프로그램이 요리사의 ‘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요리사가 대중 매체의 총아가 된 셈이다(심지어 글 쓰고 작은 식당하는 내게도 출연 섭외가 빗발쳐서, 거절하느라 진땀을 뺀다). 백종원은 이른바 전문 셰프들과 다른 길을 걸어서 오히려 가치가 더 높아지고 있다. 전문 요리사들이 엔터테이너로서의 재질을 뽐내면서 ‘특별한’ 요리들로 눈 호강을 시켜주는 반면, 백씨는 누구나 먹는 평범한 요리들로 사람들을 사로잡는다. 그가 나오는 프로그램 이름이 ‘집밥 백선생’이라는 건 시사하는 바가 컸다.

그는 갑자기 뜬 스타가 아니다. 이미 여러 해 전부터 요리 책을 내고 자신의 브랜드를 여럿 운영하고 있는 사업가이기도 하다. 그가 뜨고나서 그동안 펴냈던 책도 같이 뜨고 있다. 여담이지만, 별 어려움 없이 몇 해 전에 그의 책을 펴낸 출판사들이 대박을 맞았다. 그가 이렇게 뜰 줄이야 누가 상상이나 했겠는가.

남자 요리 시대 개막

원래 대중매체의 요리는 여자들의 몫이었다. 우리가 너무도 잘 아는 궁중요리 전문가 황혜성 선생과 그 딸들인 한복려, 한복선 등은 물론이고 왕준련, 한정혜, 나중에는 이종애선생 등이 텔레비전과 여성지 요리 면을 담당했다. 1960년대 후반에 접어들면서 여성잡지들이 창간되고, 텔레비전에서도 ‘오늘의 요리’ 같은 프로그램들이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요리는 현모양처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았고, 남편 출근시키고 아이들 학교 보낸 후, 저녁이 되기 전에 여자들의 요리 프로그램이 방영되었다. 이후 이 프로그램들은 아침 시간으로 옮겨 더욱 번창했다.

고도 경제성장기에 아내들도 집에서 요리로 국가경제에 기여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있었다. 주부클럽이니 대한부인회의 입김이 커지던 시기이기도 했다. 그러다가 1990년대 들어 마이카 시대가 개막되고, 사람들은 ‘맛집’을 찾아다니기 시작했다. 대중매체는 요리 선생보다 맛있는 식당을 소개하는 데 더 열을 올렸다. 그리고 2000년대 들어 그 맛집의 요리를 담당하는 ‘셰프’의 시대가 도래한다. 이른바 ‘글로벌시대’를 맞아 외국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셰프들이 대중 스타로 발돋움하기 시작했다. 바로 에드워드 권 등이 그 시대의 인물이다.

요리 선생 중에 남자가 없었던 것도 아니다. 독특한 목소리의 이정섭, 쉬운 한식 요리로 인기를 끌었던 김하진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남자 요리 시대’의 개막을 알린다기보다는 성적 역할이 배제된, 그저 여자 요리 시대의 보조였다. 이정섭 선생의 ‘여성적인 캐릭터’를 떠올리면 쉽게 이해가 갈 것이다.

이제 진짜 남자들의 요리 시대가 개막되었다고 한다. 남자들이 집에서 요리를 한다. 백종원 등이 그 희망(?)을 북돋웠다. 주 5일 근무, 핵가족의 심화가 이를 부추겼다. 쉬는 날이 늘어나니 남자들이 집에서 무언가를 하게 되었고, 요리도 그 선택지의 하나가 되었다. 서양남자들처럼 작업실을 갖고 무언가를 만들거나 잔디를 깎으며 주말에 아이들과 야구를 할 수 없는 한국 남자들에게는 별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었을 수도 있다. 아파트 안에서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아이들 유모차를 끌거나 마트에 가거나 요리를 하는 수밖에 없는 것이다. 핵가족의 심화도 영향을 끼쳤다. 부모를 모시지 않고 사는 남자들은 부담없이 부엌에서 앞치마를 둘렀다. 요리 잘하는 남자들을 조망하는 여러 담론도 생성되었다. 요리가 단순히 먹기 위한 준비가 아니라, 소통의 도구로 등장했다. 요리 잘하는 남자들이 섹시하다는 그 지긋지긋한 섹시 수사도 등장했다.

이제 남자들은 멋지게 셔츠 소매를 걷어붙이고 자동차를 운전해서 성적 매력을 풍겨야 하고, 집에 가서는 오븐부터 켜서 특별요리를 만들어야 하고, 자신의 블로그는 제대로 된 맛집 리뷰를 실어야 하며, 요리사 친구도 하나 사귀어야 하며(프랑스식, 한식, 일식 등 장르별로 하나씩 있으면 더 좋고), 영양사처럼 칼로리 계산도 해야 한다. 사실, 요섹남(요리하는 남자가 섹시하다)은 결국 남자들이나 여자들에게서 나온 말이 아니라, 하나의 현상을 만들어서 소비하는 걸 좋아하는 대중매체가 먼저 떠들기 시작했다. 남자들은 이제 무엇이든 다 잘하면서 요리도 잘하기를 바라는 대상이 된 것이라면 무리한 주장일까.

결과물에 대한 반응이 뜨거워지기 시작했다

이런 사회적 담론이 생성되면서 남자들도 요리를 해야 한다는 불안감과 부담이 노출되었다. 그런데 요리 자체의 흥미를 새롭게 바라보는 시각도 만들어지고 있다. 누군가 내게 “요리의 장점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지체없이 대꾸한다. “한 시간 안에 어떤 일의 결말이 생기고, 결과물이 나오는 것”이다. 재료를 준비하고, 그것을 요리해서 어떤 놀라운 결과가 나오는 데 한 시간밖에 안 걸리는 일이 세상에 어디 있나. 게다가 그 비용도 싸며, 결과물에 대한 반응도 뜨겁다. 바로 먹어서 미각을 충족시키며 혈당도 올려주기 때문이다. 역사 이전에 원래 남자들은 사냥을 했고, 여자들이 요리했다. 그 후에는 직업적인 선택으로 남자들이 요리를 했으며, 요리를 베푸는 것도 남자들의 권력에 봉사했다(여전히 오래된 가문의 제사에서 제수 장만은 반드시 남자들이 하는 것은 확실한 그 증거다). 이제는 남자들이 흥미와 스스로의 요구로 요리를 한다. 예를 들어, 가루로 된 어떤 물질(밀가루)이 물리(부푸는 것). 화학(겉이 익어서 구수해지는 것), 생물(이스트의 작용)의 통합적인 반응으로 하나의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것은 남자들의 놀이로서 엄청난 반응을 얻어낸다. 바로 빵 만들기 말이다.

이런 세상에서 특히 중년 남자들이 요리에 빠지는 것은 더욱 주목할 현상이다. 가부장적인 세대인 그들이 접시를 만지고 불을 다루는 것은 신기할 정도다. 아마도, 이것은 새로운 세기의 시작을 알리는 징조인 듯도 하다. 100세 시대 중년 남자들은 이제 놀이를 시작한 것이기 때문이다. 삶은 길고, 사회적 활동기는 짧다. 요리를 한다는 것은, 그럼으로써 삶의 질을 바꾸는 중년 남자들의 열망으로 보이기도 한다.

>> 박찬일 필자는 서교동 ‘로칸다 몽로(夢路)’ 셰프이면서 문학과지성사 편집장이다.

‘글 쓰는 셰프’ 박찬일 편집장은 요리사이자 음식에 관한 칼럼을 쓴다. 훤칠한 외모를 하고도, 그는 신문과 잡지에 글을 쓴다. 저자로 이름을 올린 책도 20여 권에 달한다. 그의 글에는 항상 음식과 문화, 역사, 정치 이야기가 버무려져 있다.<추억의 절반은 맛이다> <백년식당> 등의 책을 썼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학연·지연·혈연은 그만! 요즘 중년의 관계 맺기 트렌드
  • 중장년의 '어른 공부'를 위한 공부방, 감이당을 찾다
  • 중년 들어 자꾸만 누군가 밉다면, “자신을 미워하는 겁니다!”
  • “은퇴 후 당당하게” 명함 없어도 자연스러운 자기소개법은?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