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브라보가 만난 사람] 당신의 Golden Age를 위하여 - 한국골든에이지포럼

기사입력 2015-03-18 09:09

외국선 ‘7080은 가장 행복한 연령대’라지만

※100세 시대. 그만큼 일하고 활동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나이도 높아진다는 뜻이다. 그런 시대에 발 맞춰 고령자의 위상과 역할이 재정립돼야 한다는 사람들이 있다. 고령자들이 품격 있게 자립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한국골든에이지포럼이다.

▲왼쪽부터 변성식(62) 전문위원, 기세채(77)감사, 김예은(60) 상담실장, 김일순(79) 회장, 이광영(78) 상임이사, 최진숙(67) 사무총장. 이태인 기자 teinny@etoday.co.kr

이미 고령화 사회는 지난 지 오래다. 15년 전인 2000년 65세 이상의 인구 비율이 7.2%로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었다. 그 후 10년 만인 2010년에는 두 자릿 수인 11%로 늘어나면서 우리 국민 10명 중 1명꼴로 65세 이상 ‘법적 노인’이 됐다. 지금으로부터 4년 후인 2019년에는 7명 중 1명(14%)이 65세 이상이 된다.

이처럼 65세 이상 연령층이 총인구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초고령 사회가 코앞으로 성큼 다가오면서 고령사회를 총체적 차원에서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그러나 고령자 문제를 당사자가 아닌 고령자의 외부 시각으로 바라보기엔 한계가 있다.

그래서 고령자에 대한 이미지 개선과 삶의 질과 역할 향상을 위해 뜻을 모은 사람들이 있다. 의사부터 기자까지 전문직 출신 인사들이 주축이다. 교육과 행사, 세미나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한국골든에이지포럼이다. 김일순(79) 회장, 이광영(78) 상임이사, 기세채(77) 감사, 변성식(62) 전문위원, 최진숙(67) 사무총장, 김예은(60) 상담실장 등 핵심 멤버 6명을 만나 골든에이지포럼에 대해 알아봤다.

Q. 골든에이지포럼을 설립한 취지는 무엇인가요?

A. 사실 골든에이지(Golden Age)라는 말은 시카고의 한 학회에서 발표한 ‘70~80대가 가장 행복한 연령대’라는 연구 결과에서 비롯됐습니다. 같은 시기, 미국의 한 심리학회에서도 똑같은 연구 결과가 나왔죠. 이러한 결과는 70~80대의 고령자들이 욕심과 걱정이 없기 때문이라고 분석됐습니다. 모두 내려놓았다는 것이죠.

우리 골든에이지포럼의 설립은 여기에서 시작됐습니다. 이렇게 모두 내려놓고 행복하게 살자는 것이죠. 아직까지 욕심과 걱정이 있는 분들이 아름답게 내려놓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의식의 변화를 이끌어내자는 취지에서 만들게 된 것입니다.

Q. 고령자 의식 변화를 위해 골든에이지포럼이 펼치는 행사는 무엇인가요?

우리 세대가 사회와 가정에서 생산적인 기여를 하기 위한 교육 행사를 중점적으로 펼치고 있습니다. 아랫세대들이 꺼내기 힘들어하고, 사회에서 금기시되는 주제들을 우리가 먼저 털어놓고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주제는 아름다운 마무리(죽음)부터 치매, 사후세계의 이야기까지 고령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행사를 하고 있습니다. 교육의 핵심은 ‘우리 세대가 주체적으로 살고, 아랫세대의 부담을 줄여줘야 존중받는 어른이 될 수 있다. 그러니 건강하고 생산적으로 자립하자’는 것이죠.

▲왼쪽부터 김일순(79) 회장, 이광영(78) 상임이사, 기세채(77) 감사, 최진숙(67) 사무총장, 김예은(60) 상담실장, 변성식(62) 전문위원. 이태인 기자 teinny@etoday.co.kr

Q. 아름다운 마무리와 치매에 대한 강의 내용이 궁금한데요.

처음에는 ‘아름다운 마무리’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데 “왜 이런 불편한 이야기를 여기에서 하느냐!”며 분을 참지 못하고 강의실을 박차고 나가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강의가 입소문을 타면서 많은 변화가 생기고 있다는 것을 느끼고 있습니다. 지금은 초창기 때와는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강의에 대해 겸허하게 받아들이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치매는 당사자와 보호자 모두 힘든 것이기 때문에 사회적 규범에서 벗어나 부담을 덜자고 교육합니다. 사실 치매 초기는 가정에서 생활할 수 있지만 중기 이상으로 증상이 발전하면 누군가가 옆에서 꼭 돌봐야만 합니다. 이런 경우에 돌보는 사람의 다수가 힘겹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그래서 저희는 집에서 돌보지 말고, 치매 요양원에 보내라고 강의합니다. 한국 사회에서는 치매요양원에 부모님을 보내는 일이 불효라고 낙인 찍혀 있지만, 결코 그것은 불효가 아니라고 교육하면서 말입니다. 도덕적 규범에 얽매이지 말고 서로에게 좋은 길을 찾자는 것이죠.

이러한 교육을 감히 골든에이지포럼이 할 수 있는 이유는 구성원들 자체가 이미 그 나이가 됐기 때문입니다. 불편한 말과 금기시되는 행동들이 잘못이 아니라는 것을 공론화시키는 것이 우리가 해야 할 일입니다.

Q. 과거와 현재의 고령자 모습은 어떻게 달라져 있을까요?

과거에는 고령자의 위상과 위치는 절대적인 것이었죠. 경제적, 사회적 결정권과 더불어 가정에서의 대소사를 결정하는 것이 고령자의 몫이었으니까요. 현재는 어떻습니까? 경제권은커녕 고령자의 위상이 중심에서 바깥으로 상당히 밀려나 있는 상태입니다. 예컨대 요즘 고령자들은 집에서 할 일이 거의 없습니다. 가정에서 눈치보다가 밖에 나가봐도 막상 할 일은 없습니다.

그래서 저희 골든에이지포럼에서는 고령자들의 위상과 위치를 재정립시키고자 합니다. 그 방법은 아랫세대를 강요하거나 윽박지르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교육받아서 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아랫세대들에게 우리를 대우해 달라는 것을 요구하기 전에 우리가 먼저 자립하는 모습을 보여주면 자연스럽게 존중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Q. 고령자들이 행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30년 전까지만 해도 60세라는 나이는 환갑잔치를 열 만큼 대단한 나이로 여겨졌습니다. 현직에서 벗어나 모두 내려놓아야 한다고 생각했던 시절이었죠. 그런데 지금 60세가 그렇다고 하면 콧방귀 뀌죠. 의학이 발달하고 수명이 그만큼 길어지면서, 많은 사람들의 건강 기능도 함께 좋아졌기 때문입니다. 60세라는 나이는 그만큼 젊다는 뜻이고, 아직 사회에서 펄펄 날아다닐 수 있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의학이 이렇게 발달해서 아직 활동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 구성원들의 생각은 아직 30년 전에 머물러 있어요. 고령자는 그저 병들고, 귀찮은 존재로 여겨지고 있는 것입니다. 젊은 사람, 아랫세대만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 아닙니다. 나이 든 사람, 우리도 은연중에 그렇게 생각하고 있지 않나요?

▲한국골든에이지포럼의 교육행사.(사진제공=한국골든에이지포럼)

Q. 교육 행사 외에 펼치는 사업이 있으신지요?

고령자의 생활에서 불편한 점을 완화해 주는 제품에 대한 제안을 기업에 하기도 합니다. 고령화될수록 신체적 변화는 분명하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고령자를 위한 구두를 구두 장인에게 제안해 상품화시키기도 했습니다. 미끄러지지 않고, 끈도 묶지 않으면서 가벼운 구두를 만들었습니다. 또한 고령자들을 위한 필수 영양소가 함유된 제품을 식품 회사에 제안하기도 했고, 실제 상품이 생산되고 있습니다.

△ 김일순 회장은?

1937년생인 김 회장은 연세대학교 의과 대학을 졸업했다. 이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학장, 보건대학원 원장, 의료원 원장을 거치며 의료계를 빛냈다. 청진기를 놓은 이후에도 (사)사전의료의향서실천모임, (사)한국 금연운동협의회 명예회장, (재)연세대학교 재단 이사회 감사로 왕성하게 활동 중이다.

△이광영 상임이사는?

1938년생으로 고려대 물리학과를 졸업한 후 한국일보에 입사했다. 국내 1호 과학기자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일보 과학부 차장, 특집부장, 특집과학부장, 부국장대우 생활과학부장을 거쳐 한국과학기자클럽 회장을 역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학연·지연·혈연은 그만! 요즘 중년의 관계 맺기 트렌드
  • 중장년의 '어른 공부'를 위한 공부방, 감이당을 찾다
  • 중년 들어 자꾸만 누군가 밉다면, “자신을 미워하는 겁니다!”
  • “은퇴 후 당당하게” 명함 없어도 자연스러운 자기소개법은?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