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시를 읽으십니까?
대부분의 독자들은 아니요 라고 하지 않을까 생각 한다. 1년에 책 한권 읽기도 힘든 이때 시를 접한다는 것은 더욱 힘든 일이다. 그런 우리들도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가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이정도의 싯구는 충분히 기억 하지 않을까 한다. 이 시는 식민지의 암울한 현실 속 모국어로 쓰여져 지금까지도 우리의 마음을 흔들고 일깨우고 있는 윤동주의 ‘서시’ 이다.
최근 반성 없는 역사의식을 가지고 있는 아베 정권이 들어서며 독도를 일본 땅이라고 우기고, 평화헌법을 전쟁헌법으로 고치는 파렴치함을 보이는 등 한일 관계가 심상치 않다. 지난 역사에 대한 반성이 없는 자들은 미래를 논할 자격이 없다. 한참 추운 어느 겨울, 28세의 젊은 나이에 비참하게 세상을 떠났지만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식민지 조국의 현실 속에서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조국의 광복을 노래한 민족시인 윤동주의 문학관을 찾았다.
윤동주 문학관은 북악산과 인왕산 자락사이 작은 언덕위에 위치해 있다. 2012년 언덕 위 가옥에 물 펌프 역할을 하다 폐쇄된 청운수도가압장과 물탱크를 이소진 건축가가 개조해 만들었다. 문학관은 총 3개의 공간으로 구성된다.
제 1전시실에는 시인의 친필원고, 발간된 시집 등이 전시되어 있고 제 2전시실은 원래 있던 물이 가득 차 있던 물탱크의 천장을 뜯어 우물속의 자신을 들여다보며 성찰의 시간을 가졌던 윤동주 시인을 기리는 의미에서 ‘열린 우물’로 만들었다. 약 10m도 되지 않는 그 작은 공간을 걷는 동안 ‘자화상’ 시 처럼 자신이 미워졌다가 다시 가엾어 졌다가 곧이어 추억이 되는 시인의 그 우물을 바라보는 것 같아 가슴이 아팠다.
제 3전시실은 물탱크를 그대로 두어 윤동주 시인에 관련된 영상을 상영하는 작은 극장으로 운영하고 있다. 물이 찼던 자리는 그대로 벽에 남아 있었는데 쓸쓸하고 외로웠던 시인의 생애가 그대로 오버랩되어 하나의 그림처럼 흔적을 남겼다.
윤동주 문학관을 나오면 윤동주 시인이 생전에 자주 올랐다는 ‘시인의 언덕’으로 이어진다. ‘시인의 언덕’위에 오르면 앞으로 남산타워가 뾰족하게 중심을 잡고 있는 화려한 현대 도심이 들어나 있고 뒤를 돌아 보면 여전히 푸르고 웅장한 북한산이 병풍을 치고 있어 옛 서울의 정취를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다.
윤동주는 이 언덕을 오르며 어떤 생각을 가졌을까? 그의 생애를 곱씹으며 그가 바라보았던 생전의 서울을 생각해본다. 하루가 멀다 하고 순간순간 변해가는 지금 높은 건물들로 가득찬 풍경을 바라보며 지금의 이 풍요로움이 과거 많은 이들의 희생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이 길을 걸으며 끊임없는 자기반성과 지식의 책임을 생각했던 윤동주 시인을 비롯하여 말이다.
이번 여행으로 저도 참 오랜만에 시를 다시 접하게 되었다. 그리고 다시 읽은 시 ‘자화상’은 나에게 예전에 느끼지 못한 새로움으로 다가왔다. 여러분도 더 늦기 전에 아름다운 시의 풍미에 폭 빠져 봅시다 지금~~
자화상 - 윤동주
산모퉁이를 돌아 논가 외딴 우물을 홀로 찾아가선 가만히 들여다봅니다.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습니다. 그리고 한 사나이가 있습니다. 어쩐지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가엾어집니다. 도로 가 들여다보니 사나이는 그대로 있습니다. 다시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그리워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