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실버타운의 빛과 그림자]⑤ 한국형 실버타운 공동체 관점에서 풀어야

기사입력 2014-07-28 08:03

실버타운은 자연스럽게 기존의 공동체와 별개의 공간으로 인식되게끔 만드는 면이 있다. 즉 게토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항상 내재하고 있는 것이다. 시니어 입장에서는 자기 돈을 갖고 편하게 지낼 수 있는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으로 간다는 의미가 있지만 사회 공동체적인 면에서 봤을 때 이러한 고립화가 긍정적으로만 보이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것처럼 그렇게 ‘자신들만의 세상’이 구축된 결과, 안에서는 해결할 수 없는 여러 가지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기도 하다.

지금까지 도출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선 민간 주도의 실버타운 개념에 보다 사회공동체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고령화 선진국인 독일의 경우를 보면 건설사가 아닌 사회복지법인이 운영주체가 되는 실버타운이 운영되고 있으며 덕분에 재무적으로나 서비스적으로 안정적인 양상을 보였다.

우재룡 서울은퇴자협동조합장은 ‘새로운 개념의 실버타운’을 제시하고 있다.

실버타운이라는 가시화된 공간이 아닌, 특정지역에서의 노인 인구 비중이 자연스럽게 상승하면 그 안에 비영리단체를 중심으로 은퇴 공동체를 형성하여 시니어들로 하여금 자신의 집에서 비상전화, 이동 지원 같은 돌봄 서비스를 받게끔 하자는 것이다. 또한 이 방법을 통해 청년층이 시니어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일자리도 해결할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자연발생적 실버타운 구축이 대안이다

우 조합장의 얘기는 특정지역의 노인 인구 비중이 20~30를 넘으면 비영리단체가 정부와 협력하여 사무실을 두고 ‘자연발생적 실버타운(NORC:NaturalOccurring Retirement Community)’를 구성해 비상전화나 이동지원 등의 돌봄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민간 주도하에 한 달 수수료 3만원 정도의 저렴한 가격을 받고 지속적으로 케어를 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입주자들의 건강 안부체크를 하거나, 백화점을 간다든지, 병원을 간다든지 체크해서 신속한 의료 및 생활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다.

요즘은 유럽이나 미국 같은 경우 ‘내가 살던 곳에서 격리되지 않고 살자’(AgingIn Place)라는 식으로 개념이 바뀌었다. 젊은이들과 소통하면서 도와주고 멘토하면서 같이 엉켜서 살아가는 참여형 모델이 유행하고 있다.

의정부 실버타운을 운영하는 간부는 “좋은 실버타운이 최첨단 시설이나 대형 럭셔리 호텔급의 하드웨어이기 보다 보람 있는 공동체 생활이 가능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를 중시해야 한다” 며 “개인별 상황 ·취향 ·재정에 맞는 맞춤형 실버타운이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땀으로 지병 없애고, 복근 남겼죠”
  • 패션부터 여행까지… 소비시장 주도하는 욜드족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커피 내리는 현장 남고자 승진도 마다했죠”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