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세대들이 우리(5060세대)를 존경하지 않는다고 생각 합니다. 존경 받으려면 돈(경제력)이 많아야 하지 않을까요. 리베이트ㆍ급행료 같은 악습은 타파해야한다고 봅니다"
세대간 갈등은 '상호간 존중'에 대한 설문결과에서 확연하게 드러났다. 2030세대에게 물었더니 5060세대로부터 '존중받는다'라는 답변이 60.5%, 5060세대에게 물었더니 2030세대들이 '(자신들을) 존경하지 않는다'라는 의견이 57.6%에 달했다. 다시 말해 5060세대 10명중 4명 정도만이 '2030세대에게 존경받고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 젊은층에 대한 5060세대 시니어들의 불만도 위험수위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간 간극이 사실로 확인됨 셈이다.
'2030세대에 대한 불만이 가장 클 때는 언제였나'라는 질문에 '예의를 갖추지 않을 때'가 36.5%로 가장 높았고, '새로운 것만을 고집할 때'(34.3%), '과거의 관습이나 관행을 케케묵은 것으로만 간주할 때'(20.3%)가 뒤를 이었다.
그렇다면 2030세대들은 5060세대의 어떤 관행이나 관습을 가장 꼴불견이라고 생각할까.
2030세대가 지목한 5060세대의 가장 큰 꼴불견은 ‘일방통행 소통’이었다. ‘자신의 가치관을 주입하려는 행위’(35.6%)와 ‘토론이 없이 일방적으로 지시만 하는 관행’(19.4%)이 2030세대의 5060세대에 대한 불만이었다. ‘일방통행 소통’의 뒤를 잇는 5060세대의 꼴불견으로 ‘학연-지연-끼리끼리 이익집단화’(18%)를 꼽았다. 이 밖에도 △대충대충 문화(7%) △리베이트와 급행료(6.4%) △안전 불감증(6.1%) △빨리빨리 문화(4.1%)가 뒤따랐다.
2030세대들은 관습이나 관례 등에 대한 철폐 의지가 강했다. '5060대가 되면 현재의 5060세대와 다를 것 같은가'라는 물음에 2030세대 71.9%는 '다를 것이다'고 응답했다.
5060세대들에게 있어 지우개가 있다면 지우고 싶은 가장 부끄러운 관행이나 관습을 무엇일까. 28.7%의 응답자가 ‘리베이트와 급행료’를 들었다.
‘리베이트와 급행료 관습’ 외에 지우고 싶은 관습에는 △빨리빨리 문화(19.4%) △대충대충 문화(12.8%) △안전불감증(12.2%) 등이 뒤따랐다. 5060세대들도 리베이트가 잘못돼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는 셈이다. 급행료가 당연지사처럼 여겼던 시절을 경험했고, 빨리빨리 문화의 병폐가 성수대교-삼풍백화점 붕괴, 세월호 침몰사건으로 이어졌다는 것을 두 눈으로 여실히 목격했기 때문이다. 리베이트 관행이 없어져야 한다는 생각하는 이들 5060세대의 답변속에 숨겨진 메시지는 뭘까. 후대들은 이같은 병폐를 절대 답습하지 말라는 의미가 아닐까.
5060세대의 43.7%, 2030세대의 49.6%는 ’소통 부족‘이 세대 간 갈등의 주 원인이라고 판단했다. 2030세대 36.3%는 5060세대가 실제 역할만큼 평가 받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젊은층에 대한 이해와 소통 부족‘ 때문이라고 답했다. 이러한 결과는 두 세대 모두 ’소통‘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5060세대는 소통의 중요성을 느끼면서도 정작 이에 대한 노력은 미진한 모습을 보였다. 그들이 2030세대에게 존경받기 위해 하고 있는 경제적인 노력(43.3%)과 도덕적·양심적 노력(23.5%)에 비해 소통을 위해 젊은 층을 이해하려는 노력(17.0%)은 저조했다. 이는 여전히 5060세대가 존경과 소통사이의 연결고리를 찾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5060세대는 자신들이 극복해야할 점에 대해서도 2030세대와는 상반된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2030세대는 그들이 5060세대가 되었을 때 일방소통에 대한 문제(자신의 가치관을 주입시키려는 행위, 토론 없이 일방적으로 지시하는 행위 등)를 극복해야 한다는 의견이 55.0%로 주를 이루었지만, 같은 항목에 대해 5060세대의 경우 2030세대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15.9%를 나타내며 일방적 소통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한편 5060세대의 긍정적 역할에 대해선 2030세대에서도 인정하고 있었다. ‘5060세대가 한국 사회를 발전시키고 이끌어 온 세대인가’라는 설문에서 2030세대는 81.4%가 ‘그렇다’를 택함으로써 아버지 세대의 긍정적 역할에 대해 인정했다. 또 2030세대와 5060세대 자신들 모두 5060세대가 각각 78.1%, 73.1%로 ‘은퇴를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세대’라는 것에 동의했다. ‘5060세대가 역사적-사회적 역할이 주어지면 감수할 세대인가’라는 설문에 대해서도 압도적인 ‘그렇다’가 나왔다. 이 부분에서 5060세대는 90.1%가 ‘그렇다’를 선택해 5060세대의 근본에는 사회적 역할에 대한 강렬한 열망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5060세대들이 성공을 쫓고 성공을 많이 거두기도 한 ‘성공세대’라는 점에 대해선 2030세대(75.3%)뿐만 아니라 5060세대(67.4%) 자신들도 대체적으로 인정했다.
하지만 이번 조사를 통해 희망도 발견할 수 있었다. 2030세대에게 5060세대는 ‘노인 세대보다는 젊은 세대와 소통을 더 잘할 수 있는 세대’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53.8%), 5060세대 자신들 또한 소통이 가능하리라고 믿고 있었다(73.9%). 소통이 가능하려면 스스로 고립되어서는 안 된다. 지금의 5060세대에게 보다 적극적인 사회적 역할이 기대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