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회감지기ㆍ자동가스차단장치 등 보급… 치매가족 대상 지원도

보건복지부가 올해 3월 발표한 ‘2023년 치매역학조사 및 실태조사’에 따르면, 65세 이상 인구의 치매 유병률은 9.25%로 나타났다. 이 비율을 통계청 장래인구 추계에 대입하면 2025년 치매 환자는 약 97만명, 2026년에는 1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분석됐다. 2044년에는 200만명을 초과할 것으로도 예측된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유병률은 가파르게 상승했다. 70~74세는 5.03%에 그쳤으나, 85세 이상은 21.18%에 달했다. 성별로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유병률을 보였고, 지역별로는 농어촌(읍·면 9.4%)이 도시 지역(동 5.5%)보다 높았다. 독거노인, 저학력자일수록 치매 유병률이 높게 나타나는 등 사회경제적 요인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치매 전단계인 경도인지장애 유병률도 28.42%로, 2016년(22.25%) 대비 6.17%포인트 증가했다. 이에 따라 조기진단과 예방 중심의 지역사회 관리체계가 한층 더 중요해졌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치매관리법’과 제4차 치매관리종합계획(2021~2025년)을 바탕으로 치매 예방과 보호·관리 지원 체계를 강화해 왔다. 현재 전국에 중앙치매센터 1곳, 광역치매센터 17곳, 치매안심센터 256곳, 치매안심병원 22곳, 공립요양병원 75곳을 운영 중이다. 치매안심센터에서는 예방교실, 선별검사(최대 15만원 지원), 환자쉼터, 치료관리비 지원 등 다양한 통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대응도 속도를 내고 있다. 광주광역시는 배회감지기, 인식표, 지문·사진 사전등록 등을 통해 치매환자의 실종을 예방하고 있으며, 893개의 배회감지기를 무상 보급했다. 경기도는 조호물품 지원, 환자쉼터 운영, 가족 힐링 프로그램 외에도 ‘치매가족돌봄 안심휴가’를 도입해 돌봄가족에게 최대 3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경상남도는 치매치료관리비 지원 기준을 중위소득 120% 이하에서 140% 이하로 완화해 수혜 대상을 약 2700명 늘렸으며, 하동·창녕 등에서 치매가족카페를 운영 중이다. 전라북도는 치매 및 장애인 가구 3947세대에 자동가스차단장치 ‘타이머 콕’을 무상 설치해 화재 위험을 줄이고 있다.
치매 환자 100만 시대가 현실로 다가오면서, 정부와 지자체는 예방·진단·돌봄까지 아우르는 치매 통합관리체계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