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력 있다면 반드시 주의… 음식 가릴 필요 없어
유방암은 국내 여성 암 발병률 1위를 차지하는 질환이다. 여성 5명 중 1명이 앓고 있다. 주변에서 고통을 겪는 이들을 쉽게 볼 수 있기에, 가슴에서 통증이 느껴지거나 멍울이 잡히면 ‘혹시 나도?’라는 걱정이 들기도 한다. 특히 가족 가운데 유방암 환자가 있다면 걱정은 극에 달한다. 유방암에 대한 궁금증을 곽영지 중앙대학교병원 유방외과 교수와 함께 풀어봤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유방암 환자 수는 2018년 20만 5394명에서 2022년 27만 151명까지 크게 늘었다. 50대 환자가 가장 많은데, 2022년 기준 9만 8725명으로 집계됐다. 최근에는 20·30대 젊은 환자도 늘어나는 추세다.
유방암은 유방에 생기는 악성 종양을 말한다.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나 진행되면 멍울이 만져지며, 유두 및 유륜이 헐거나 진물이 난다. 피부가 오렌지 껍질처럼 두꺼워지기도 한다. 암세포가 발전해 림프계나 혈류 등 다른 장기에 전이될 가능성 또한 높아진다. 0기 때는 5년 생존률이 98.3%나 되지만 4기가 되면 34.0%로 떨어진다. 그만큼 유방암은 조기 발견 및 치료가 중요한 질환이다.
Q. 유방암 환자가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국가 건강검진에서 40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2년 주기로 유방촬영술 검사(X-ray)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조기 발견이 늘어나 환자가 증가 추세에 있다고 사료됩니다. 또한 환자의 중간 나이가 2000년 46.9세에서 2021년 52.3세로 증가한 이유는 아무래도 고령화에 따라 고령 환자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유방암은 산발성, 유전성, 가족성으로 분류합니다. 그 가운데 산발성 유방암은 전체 환자의 80~90%를 차지하는데, 에스트로겐이라는 여성호르몬이 주요 요인으로 꼽힙니다. 초경이 빠를수록, 폐경이 늦을수록 발병 위험이 높아집니다.
Q. 가족력이 있다면, 유방암은 무조건 유전되나요?
유방암은 유전되는 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유전성·가족성 유방암이 가족력과 관련 있습니다. 전체의 5~10%를 차지하는 유전성 유방암은 가족에게 유전적 소인을 물려받아 발병하는 것을 말합니다. 특히 가족력이 있는 환자의 2/3 정도는 브라카(BRCA 1·2) 유전자 변이를 갖고 있습니다. 이 유전자는 유방암, 난소암, 췌장암 등의 발생 위험을 높입니다. 가족성 유방암은 전체의 10~15%를 차지하며, 유전자 변이 없이 가족이 공유하는 생활·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결론적으로 가족력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유방암에 걸리는 것은 아니지만, 유전자 검사를 받으면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만 40세 이하에 유방암을 진단받았거나 만 60세 이하에 삼중 음성 유방암을 진단받은 경우 △양측 유방 모두 유방암일 때 △유방암과 함께 난소암 또는 췌장암이 발병한 상황 △3등친 이내 친족(증조부모, 증손주, 부모의 형제·자매, 형제·자매의 자녀 등) 가운데 1명 이상 유방암, 난소암, 전이성 전립선암, 췌장암을 진단받은 경우 등일 때 검사를 권고합니다. 남성도 동일한 경우 검사가 필요합니다.
Q. 폐경기에 발병률이 높아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폐경기의 유방암 발병과 관련해 여러 가지 요인이 거론됩니다. 우선 여성호르몬에 오래 노출되면 유방암 위험이 증가합니다. 주로 경구 피임약이나 폐경 후의 호르몬 치료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해당 연령의 발병 위험을 독단적으로 결정짓는 원인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그리고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 생활 습관을 교정하면 유방암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음주나 비만 등은 유방암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어, 건강한 식생활과 적당한 운동이 필요하다는 점을 기억하면 좋겠습니다.
Q. 유방암 치료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항암 치료는 부작용이 많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가 가능한 경우는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고, 그 이후 재발률을 낮추는 보조적 목적의 항암 치료, 방사선 치료, 항호르몬 치료, 표적 치료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보조 치료 방법은 병기에 따라, 또한 유방암의 조직학적 특성에 따라 결정됩니다. 항암 치료 혹은 표적 치료는 국소 치료인 방사선 치료와는 달리 전신 치료이기 때문에 부작용이 있어 환자들이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로 구토, 전신 쇠약, 식욕 부진, 탈모, 신경독성, 무월경 등의 증상을 호소합니다만, 환자에 따라 부작용 발생 여부 및 증상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미리 걱정하지 않는 것이 정서적 안정에 도움이 되겠습니다. 의료진들과 적극적인 상담으로 부작용에 대한 대증 치료를 함께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 완화요법으로 항암 치료를 진행하기도 하고, 수술적 치료 전에 항암 치료를 먼저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느 한 가지 음식이나 재료가 유방암을 유발한다거나, 유방암을 예방한다고 명확하게 연구를 통해 알려진 바는 없습니다. 다만 어떠한 이유든지 한 가지 재료나 음식만 섭취한다면 전반적인 건강 기능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우유나 콩 등의 유제품이 유방암을 유발한다고 알려진 것은 사실이 아니며, 유제품을 포함해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는 건강한 식생활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