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을 마감한다는 것은 누구에게나 매우 무겁게 다가온다. 특히 스스로 극단적인 선택을 할 때는 유가족에게도 더욱 고통스러움을 남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잦아들지 않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우리나라가 사실상 바이러스만큼 긴급하게 대책을 세워야 할 문제로 ‘노인 자살’을 꼽는다.
특히 우리나라 노인 자살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9년 우리나라 노인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46.6명으로 OECD 37개국 중 1위다.
노인 자살, 원인은?
노인은 질병 만성화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생기면서 우울감과 무력감을 겪는다. 이러다 보면 경제적으로 정서적으로 위기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경찰청 변사자료 자살 통계에 따르면 61세 이상의 자살 동기는 육체적 질병 문제가 41.6%로 가장 높았다. 정신과 문제가 29.4%로 뒤를 이었다. 생활고는 11.9%, 가정 문제는 6.9%였다.
육체적 질병 문제로 인한 자살 비율은 무려 절반에 가까운 수치를 나타냈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육체적 질병으로 인해 극단적 선택을 하는 사례가 많아지는 셈이다.
노인들이 보내는 경고 신호는?
지난해 보건복지부와 중앙심리부검센터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자살 사망자 566명의 유족 683명을 심층 면담한 ‘심리 부검’을 진행했다.
심리 부검은 유족의 진술이나 관련 기록을 분석해 자살 사망자가 극단적 선택을 하기까지 어떤 패턴을 보였는지 살펴보고 자살 원인을 추정하는 과정이다. 전국 정신건강복지센터나 경찰 등을 통해 심리 부검 의뢰를 접수했거나 면담을 신청한 유족을 대상으로 한 조사다.
결과를 살펴보면 자살자 566명 중 529명인 93.5%는 사망 전 주변에 언어·행동·정서적 경고 신호를 보냈다. 죄책감이나 무력감 같은 감정 변화와 불면증에 시달리거나 반대로 지나치게 많이 자는 식의 변화를 보였다.
노인들은 연령에 따라 조금씩 경고 신호가 달랐다. 50~64세는 갑자기 식사량 변화로 급격한 체중 변화가 나타났고, 65세 이상은 아끼던 물건을 주변에 나눠줬다.
사망 3개월 이내 더 심해지는 경고 신호, 주변의 관심이 중요
이러한 경고 신호는 대부분 사망 3개월 이내, 사망 시점에 가까워졌을 때 빈도가 잦아졌다. 자살 사망자 10명 중 9명인 91.2%는 사망 3개월 전에 주변을 정리했다. 사망 1주 전에 이러한 경고 신호를 보낸 경우도 절반에 가까운 47.8%였다. 하지만 이런 경고 신호가 나타났는데도 119명인 22.5%만이 주변에서 인지했다. 또 35.2%는 사망 전 이미 한 차례 이상 자살을 시도했다.
노인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상황까지 이르는 길목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신체적으로 약한 노인들은 한 번의 자살 시도로도 사망에 이르는 사례가 많아 더 주의해야 한다. 정부가 나서서 촘촘한 사회 안전망을 구축하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무엇보다 해당 노인과 가장 가까운 가족이나 친구 같은 주변의 관심이 더 필요하다.
삶이 고독했다고 그 죽음마저 고독해서는 안 된다. 생의 마지막인 죽음이 외롭거나 고통스럽기보다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잘 정리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노인들이 인간으로서 기본적인 존엄을 보장받을 수 있는 사회와 나라, 이런 기본을 탄탄하게 갖추는 것이 경제력을 높이는 것보다 우선이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