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흙은 나에게 흙처럼 살라 하네!

기사입력 2020-09-04 09:34

지난봄부터 주말농장을 시작했다. 그동안 황무지에 씨 뿌리고 가꾸면서 행복했다. 생명이 탄생하고 커가는 과정이 신비로웠다. 봄에 심을 수 있는 상추며 고추, 가지, 토마토, 감자, 오이, 깻잎 등 20여 가지 품종을 손바닥만 한 땅에 뿌리고 가꿨다. 그 수확물은 풍부했다. 갖가지 상추가 푸른 잎을 자랑하며 쑥쑥 자랐다. 가지 고추, 오이 등 열매 식물은 꽃이 피고 지며 열매를 맺었다. 날이 다르게 열매는 크기를 더하며 여물어갔다. 토마토가 붉고 노랗게 익어가며 식단은 더욱 풍성해졌다.

(사진 박종섭 시니어기자 )
(사진 박종섭 시니어기자 )

흙은 참 신비로웠다. 뿌린 씨앗은 어떤 것이든 싹을 틔워내고 길러내었다. 마치 컬러프린터가 감춰둔 색깔을 뿜어내는 것과 같았다. 손으로 움켜잡았을 때는 그냥 한 줌의 흙이었다. 흙이 태양 빛과 합작하며 만들어내는 색깔은 신비롭고 조화로웠다. 그 놀라움은 마치 밤하늘의 별들과 다르지 않다. 어린 시절 고향 집에, 어두운 밤이 되면 하늘은 반짝이는 별들로 가득했다. 지구보다 더 큰 별들이 바닷가 모래알보다 많다는 사실을 어떻게 믿을 수 있을까? 내가 별을 좋아하는 이유도 그러한 경이로움 때문이다.

그런데 그런 놀라움을 주말농장을 하면서 또다시 체험하고 있다. 이 기적 같은 현장에 내가 숨 쉬고 있다는 사실 그 자체만으로도 축복받은 인생이 아닌가 싶다.

기적은 또 있다. 그렇게 자란 농작물은 끝없이 수확을 계속할 것 같았다. 그러나 한여름이 지나니 하나둘 수명을 다해갔다. 그 많던 상추는 더위에 녹아 더는 잎을 키워내지 않았다. 열매채소도 더위에 지쳐버린 듯 줄기며 가지가 마르고 시들어갔다. 마치 다들 “여기까지”라고 말하는 것 같았다. 익숙한 농부들은 벌써 마지막 열매를 따고 줄기를 뽑고 밭을 갈아엎기 시작했다. 다음 순번을 위한 기초 작업이다. 가을 수확을 위해 한여름 폭염에 뿌려야 할 씨앗이 기다리고 있다. 초보 농사꾼이 하는 일은 그저 익숙한 농사꾼을 보고 따라 하는 일이다. 흙을 새로 다듬고 골을 내어 두둑을 만들었다. 그리고 그 두둑에 무와 배추씨를 뿌렸다.

(사진 박종섭 시니어기자 )
(사진 박종섭 시니어기자 )

흙은 또 새로운 가족을 받아들인다. 흙은 말이 없고 모든 걸 묵묵히 받아들인다. 세상에 가장 마음 좋기는 흙이 최고인 것 같다. 있는 대로 뿌린 대로 받아들이고 또 그렇게 키워낸다. 인간의 세상처럼 ‘병원에서 신생아가 바뀌었다’는 말도 ‘장례식장에서 시신이 바뀌었다’는 말도 들어본 적이 없다. 한 번도 어떤 종류이든 뒤바뀜 없이 원칙을 지켜낸다. 그래서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라는 말이 있는 듯싶다. 인간세상은 원칙을 지키지 않고 사는 사람이 그만큼 많다는 역설적인 말이기도 하다.

▲가을 무우와 배추씨를 위해 갈아엎은 밭(사진 박종섭 시니어기자 )
▲가을 무우와 배추씨를 위해 갈아엎은 밭(사진 박종섭 시니어기자 )

주말농장을 하면서 흙을 다시 생각하게 된다. 밭이 시멘트 콘크리트 바닥이었다면 단 하나의 생명이라도 키워낼 수 있을까? 인공물의 한계다. 생명을 키워내는 것은 오직 흙만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닌가 싶다. 이제 뿌린 씨앗에서 다시 싹이 나 자라고, 흙은 그 일을 또 묵묵히 수행할 것이다. 한 번도 거부하거나 싫다는 내색도 하지 않는다. 그렇게 씨앗을 키워 가을에는 예쁜 처녀처럼 속이 노란 배추를 키워내고, 장성한 총각처럼 미끈하고 통통한 무를 키워낼 것이다. 흙을 보니 부모의 마음도 흙을 닮은 것이 아닌가 싶다. 바람처럼 빠른 세월 속에서 흙은 나보고 ‘흙처럼 그렇게 살라 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