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10년의 인연으로 재취업의 터전을 일구다

기사입력 2020-07-21 08:52

광주 민주화 항쟁 당시 진압군 헬기 사격으로 245개의 탄흔이 발견된 전일빌딩 5층에서 정동한(55세) 씨를 만났다. 2019년 8월부터 AI 콘텐츠 기업지원센터 스타트업팀 수석으로 근무 중인 그는 2030 젊은이들과 함께 당당하게 일하고 있지만 카메라 앞에서는 내내 쑥스러워했다.


(이미영 시니어기자)
(이미영 시니어기자)

정동한 씨의 방황은 45세에 시작됐다. 그리고 고비 때마다 그에게 위안과 격려를 아끼지 않았던 곳은 노사발전재단 광주중장년일자리희망센터였다. 센터와의 인연이 벌써 10년이 됐고, 이곳에서 그는 자신만의 경쟁력을 찾았다. 일이든 사람이든 인연이 아니면 어찌할 수 없었다. 인연이 되려면 어느새 곁에 와 있었다. 물론 그 인연을 발견하는 안목은 스스로 키워야 했다.


점점 더 어려워진 회사, 퇴직할 수밖에 없었다

그가 다니던 회사의 사정이 나빠지기 시작했을 때 당장 다른 직장을 알아봐야 할 정도로 경영 상태가 안 좋았지만 경영정보 총괄 책임자로서 기업전산을 담당했던 그는 쉽게 발을 뺄 수 없었다. 한동안의 방황 끝에 결국 퇴직을 선택했다.

“금방이라도 재취업이 될 줄 알았어요. 그때는 제가 아직 젊은 나이(45세)였으니까요. 어딘들 갈 데가 없을까 하는 자신감이 있었죠.”

그러나 현실은 녹록지 않았다. 어느 곳도 문을 열어주지 않았다. 그는 점점 절망 속으로 빠져들었고,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찾아다니다가 우연히 발견한 곳이 노사발전재단 광주중장년일자리센터였다.

“처음에는 그곳에 가본들 무슨 뾰족한 수가 있겠냐 싶었습니다. 그런데 하나하나의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조금씩 자신감도 생기고 위안이 되더라고요. 스스로에 대한 신념도 잃지 않았죠. 마음치유가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10년 인연의 시작이었다. 이명숙(현 노사발전재단 광주중장년일자리희망센터 소장) 컨설턴트는 심리상담을 통해 그의 지친 마음을 위로해주었고 직업 검사, 교육 안내와 함께 직업 매칭까지 해주며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였다.


(이미영 시니어기자)
(이미영 시니어기자)


노사발전재단의 지속적인 관심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희망을 가졌는데 처음에는 대부분의 면접에서 떨어졌어요. 나이 때문이었죠. 어렵게 잡은 직장에서는 그동안 해오던 업무와는 전혀 다른 일을 해야만 했어요. 힘들어서 그만두었죠. 아마 지금 같았으면 극복하고 그 일을 했을 거예요.”

그가 들려주는 이야기에서 지난 10년간의 치열했던 시간들이 느껴졌다. 힘든 과정들을 거치며 전직에 대한 의욕이 점점 떨어지자, 그는 차라리 창업을 준비하는 게 낫겠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명숙 컨설턴트는 창업은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면서 상황이 어려워도 좀 더 시간을 두고 준비하라고 조언했다. 하지만 가장으로서 당장 뭔가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조급함이 밀려왔고 그 절박함이 그의 귀를 막았다. 지금이라면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고민에 고민을 거듭한 후 창업을 하겠지만 그 당시에는 그러지 못했다고 아쉬움을 털어놓았다.

“결국 2년 만에 사업을 접어야 했습니다. 교육 콘텐츠 사업과 학원 운영을 동시에 했는데 과도한 투자와 시장조사 없이 시작한 게 원인이 됐습니다. 학생만 관리하면 될 줄 알았는데 학부모 관리가 더 중요한 걸 뒤늦게 깨달았어요. 모든 게 쉽지 않았죠. 게다가 경쟁업체까지 생겨나는 바람에 폐업을 선언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다행히 방황은 짧았다

폐업 후 한 달 동안은 이런저런 후회와 절망 속에서 지냈다. 겨우 마음을 추스르고 다잡은 그는 다시 중장년일자리희망센터를 찾았다. 회사에서 퇴직하고 방황할 때 따뜻한 손길을 내어주던 곳, 창업하려고 할 때 말렸던 컨설턴트의 말이 생각났다.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심정에 문을 열고 들어갔다. 여전히 그곳에서 제2의 인생을 시작하려는 이들을 위해 조언을 아끼지 않는 사람들이 아직 있다는 자체만으로 그에게 위안이 됐다.

이번에는 무모함에서 빚어졌던 첫 실패를 경험 삼아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갔다. 힘든 마음을 들여다보는 시간을 가졌고, 부족한 부분을 채울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구직 활동에 대한 자신감을 얻었고, 이후 직업 매칭도 이뤄졌다. 그동안의 경력이 쓸모없어졌다고 낙담하던 그에게 관련된 일을 함께 찾아보자며 힘을 불어넣어줬다.

달랑 하나였지만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이 그에겐 있었다. 정보 분야의 업무를 찾았고 다행히 취업이 되었다. 집에서 두 시간 거리의 선거관리위원회가 새로운 일터가 됐다. 출퇴근에 소요되는 시간과 급여 액수에 연연하지 않고 경력을 쌓는다는 생각으로 일에 전념했다. 계약기간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짧았지만 오히려 그 점이 그를 자극했고 게을렀던 지난날이 한없이 부끄러웠다.

“첫 직장에서의 정년은 생각도 안 하고 살았습니다. 퇴직은 남의 일처럼 여겼죠. 한창 일할 나이에 직장을 잃는 건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는 일인데 말이죠. 그래서 40대부터 제2의 인생을 준비해야 합니다.”


(이미영 시니어기자)
(이미영 시니어기자)


4개의 자격증에 도전, 재취업 성공

새 일터에서 그는 4개의 자격증을 취득했다. 빅데이터, 디지털 포렌식, 통계(사회조사분석), 정보보안 관련 자격증들이었다.

“시험을 보러 가면 다들 젊은이들이었어요. 나이가 많아봐야 30대? 50대는 저밖에 없더라고요. 합격은 했지만 뒤늦게 공부하면서 정말 힘들었어요.”

하지만 그는 목표를 끝내 이뤘다. 올해부터는 인공지능 분야를 공부하고 싶어 대학원을 다닌다고 했다. 일에 대한 열정과 자기 계발에 쉼이 없었다. 선거관리위원회 업무는 얼마 동안 연장됐지만 오래 지속되지는 않았다. 계약 만료 후 실업급여 교육장에서 그는 이명숙 컨설턴트와 다시 만났다.

“2019년 8월 정보문화산업진흥원에 입사 지원서를 내고 젊은 사람들과 경쟁해서 당당하게 합격했습니다. 제가 가장 나이 많은 합격자입니다.”

그동안 취득한 자격증과 경력을 쌓기 위한 노력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그는 현재 40개 기업을 관리하며 4차산업 관련 기업 육성, 중장년 1인 창조기업 투자 컨설팅, 일자리 창출 등의 업무를 맡고 있다. 일자리를 찾기 위해 중장년일자리희망센터를 찾았던 그가 10년이 지난 지금에는 중장년의 창업과 일자리를 컨설팅하는 일을 지원하고 있는 것이다.

준비되어 있으면 문이 열린다

“준비되어 있지 않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어요. 두드리지도 않는데 문이 저절로 열릴 리가 없잖아요. 중장년일자리희망센터를 비롯해 시 또는 나라에서 운영하는 시설을 잘 활용하면 재취업의 길을 찾을 수 있어요. ‘과연 도움이 될까? 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나?’ 하면서 자기만의 사고에 갇혀서 참여를 꺼리는 경우가 많은데 잘못된 선입견입니다. 문을 두드려 그 안에 들어가면 많은 정보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 기회를 찾는 노력은 해야죠.”

제2의 인생을 준비하는 중장년들에게, 그 길을 걸어온 선배로서 해주고 싶은 말이 있냐고 물었다. 그가 명쾌하게 답했다.

“퇴직 후의 사업은 말리고 싶어요. 반드시 해야겠다면 최소한 2년 정도의 준비기간을 갖길 권합니다. 우리나라의 창업 시스템은 잘되어 있는 편이니 적극 활용하면서 절차에 따라 신중하게 창업하면 됩니다. 그동안 일해온 분야와 연결되면 더 좋습니다.”

그는 재취업을 원한다면 자존심을 버리라고 조언했다. 취직이 될 때까지 이력서를 쓰고 회사가 원하는 인재상을 파악해 거기에 알맞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보를 많이 찾아보고 노력을 멈추지 않으면 언젠가는 문이 열릴 것이라고 힘을 실어 말했다.

창업과 기업지원 등에 관해 의문이나 도움을 구하고 싶으면 광주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중장년기술창업센터에 문의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고, 자신을 찾아와도 된다고 흔쾌히 말하는 그의 얼굴에서 일에 대한 자신감과 중장년의 고충을 이해하는 선배의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