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셔터스톡)
만 65세 이상 노년층 가구의 약 35%가 30년이 넘는 노후 주택에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6월부터 전국 6만1170가구를 대상으로 ‘2019년 주거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30년 초과 노후 주택 거주 노년층 비중이 35.1%로 나타났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조사결과는 일반가구 16.8% 대비 약 2배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고령자가 오래되고 낡은 주택에 사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반지하 등 최저주거 미달가구 비중은 3.9%인 노년층 가구보다 5.3%인 일반 가구가 높게 나타났다.
노년층 가구의 76.9%는 자기가 소유한 집에 거주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노년층의 자가점유율은 2018년 75.7%보다 개선된 수치다. 본인이 살지 않더라도 주택을 보유한 가구까지 포함한 ‘자가보유율’ 역시 2018년 77.5%에서 지난해 78.8%로 늘었다. 노년층 가구의 전월세 가구 비중은 18.1%로 일반 가구 38.1% 대비 낮았다.
노년층 가구는 소득활동이 많지 않아 일반가구보다 소득 대비 주거비 부담이 높았다.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를 나타내는 PIR(자가가구 기준)은 노년층 가구가 8.4배로 일반 가구 5.4배 대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박성필 기자의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