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머슴이라는 말에 상당한 거부감이 있다. 과거 한보그룹의 정태수 회장이 국회청문회장에서 답변하길 ‘오너인 자기가 알지 머슴인 전문경영인이 알지 못한다.’라는 말을 했다. 전문경영인까지 머슴취급을 하는 이런 오너의 기업이 부도를 당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며 국민의 지탄을 받을 만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국어사전에서 머슴이라는 단어를 정의하길 ‘머슴이란 부농이나 지주에게 고용되어 그 집의 농사일이나 잡일을 해 주고 품삯을 받는 사내를 이르는 말’이라고 한다. 한마디로 강제 징용되거나 노예처럼 팔려간 게 아니라 자발적으로 돈 받고 남의 집일을 해주는 사람이란 뜻이다. 돈 받고 일 해주는 사람이 어디 한둘인가? 봉급쟁이ㆍ 일당쟁이 같은 저속한 말은 그래도 참는다. 머슴이란 말이 사전적 의미로 보면 그다지 나쁜 말은 아닌 직업의 한 종류지만 우리 머리 속에 들어있는 머슴이라는 호칭은 아주 부정적이어서 그런 말을 듣고는 누구도 못 참는다,
지금도 돈 받고 남의 집 일 해주는 사람이 엄청 많지만 아무도 ‘머슴’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예전에도 직접 면전에서 고용한 사람이 머슴을 향해 머슴이라고 부르는 모습은 본 적이 없다. ‘김 서방, 이 서방’이라고 호칭하고 그 집 자녀들은 ‘아저씨’라고 불렀다.
사전에서 어떻게 정의하든 간에 머슴이란 말속에는 못 배우고 배고픈 가난한 사람이라는 멸시 어감이 있다. ‘머슴밥’이라고 하면 큰 밥그릇 위에 밥 한 그릇이 또 올라갈 정도로 수북이 담는 고봉(高捧)밥을 이른다. 고봉밥을 처음부터 머슴이 먹는 것이 아니라 위에 부분을 양반이 먹고 밑에 남은 밥을 머슴이 먹어서 머슴 밥이라고 한다는 유래다. 이렇게 주인이 먹다 남은 밥을 먹었다는 것은 사실인지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든다, 고기를 제대로 못 먹던 시절에 힘든 노동을 하는 사람은 밥을 많이 먹을 수밖에 없었다. 머슴은 항시 고봉밥을 먹었다.
시골 출신인 나는 실제 머슴을 많이 보고 자랐다. 머슴의 일하는 능력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 년 봉급에 해당하는 사경(私耕)으로는 옷 한 벌 받고 명절날과 눈이나 비 오는 날은 쉬고 쌀로서 10가마니를 받았다. 지금 돈으로 환산하면 노동 착취에 해당하겠지만, 워낙 가난하던 시절에 숙식 제공되는 직업이니 결코 적은 액수가 아니었다. 땡전 한 푼 없던 총각이 성실히 몇 년 머슴을 살면 받은 사경으로 농토도 사고 결혼도 하는 사람들이 제법 있었다. 머슴은 먼동이 트면 일어나 일하고 해가 져야 일이 끝나니 노름판에 기웃거리거나 술판에도 얼씬하지 않았다. 돈을 쓸 틈이 없으니 돈이 모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가난해서 남의 농토를 대리 경작해주고 일정 비율을 나누어 갖는 소작농은 해도 머슴살이는 피했다. 그만큼 괄시받는 직업이었다. 자신의 의사는 전연 반영되지 않고 오직 주인이 시키는 일만 해야 하는 머슴살이는 요즘 말로 자유가 없는 로봇 같은 노동 기계다. 눈에 보이지 않는 계급사회에 주위의 신분적 멸시를 참아내기가 어려웠다. ‘머슴의 자식’이라거나 아버지가 머슴살이 한 사실이 알려지는 걸 수치로 알고 꺼렸다.
‘경비를 머슴 취급하는 모습을 보면 매우 화가 난다.’든가 ‘머슴이라고 말하는 사람의 인격 문제다.’는 말에는 듣기 싫다는 뜻이 내포되어있다. 굳이 듣기 싫다는 말을 할 필요가 없다. 듣기 좋은 말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