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백자 달항아리 화폭에 담는 최영욱 화가

기사입력 2019-09-03 10:58

달항아리로 보듬는 우리 사는 이야기들

(사진 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사진 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그의 달항아리를 보고 있으면 묻혀 있던 기억들이 클로즈업된다. 빙렬을 따라온 과거의 시간들은 오늘의 사연과 물들며 포개진다. 누군가의 서사를 복원해내듯 만남과 헤어짐을 반복하며 끝없이 이어지는 선들은 우리 삶의 무늬를 빼어 닮았다. 최영욱(崔永旭·55) 작가가 미국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우연히 만난 달항아리도 그랬다. 부정형의 자태는 과묵하고 겸손했지만 할 말은 다 했다. 지쳐 있던 그에게 한마디 건네는 것 같았다. 위로받듯 주저앉아 한참을 바라봤다. 집에 돌아와서도 당당한 그 모습이 잊히지 않았다.

(사진 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사진 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그는 마치 수행하듯 달항아리를 그린다. 빙렬(氷裂, 도자기를 가마 속에서 굽는 과정에 생기는 균열)을 미세한 선으로 표현할 때는 누가 불러도 듣지 못할 만큼 집중한다. 무아지경의 시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달항아리의 입체감을 살리기 위해 백색 돌가루와 젯소(gesso, 석고와 아교를 혼합한 회화 재료)를 섞어서 올린 후 사포로 살짝 문지르기를 100여 번 반복하며 정성을 들이는 과정은 도공의 예술혼 못지않다. 최 작가가 달항아리와 인연을 맺은 것은 2006년 무렵. 친구와 함께 운영하던 입시미술 학원을 접고 다시 붓을 잡았을 때다. 홍익대학교 미대 합격생의 20~30%가 그의 학원 출신일 만큼 명성이 높았지만 다시 캔버스 앞으로 돌아가자 결심하고 과감히 내린 결정이었다. 그러나 막상 그 시간이 오자 뭘 그려야 할지 막막했다.

“작가들은 소재에 대한 고민이 많습니다. 저도 마찬가지였지요. 저만의 표현 기법을 찾아내는 게 쉽지 않았어요. 게다가 전업 작가를 선언했는데도 입시상담 문의가 계속 들어오더라고요. 모른 척할 수도 없고 난감했습니다. 안 되겠다 싶어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떠났습니다. 3년 정도 지낼 계획을 세우고 캔버스를 150개 챙겨 갔습니다. 뭐를 그리든 다 채우고 돌아올 작정이었죠. 그런데 어느 날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들렀다가 한국관에서 우연히 달항아리를 보게 된 거예요. 품에 안기듯 눈에 들어오더라고요. 신기했던 것은 한없이 수수해 보이고 심지어 제 신세처럼 처량해 보이기까지 했던 그 백자가 어느 순간 당당하게 보이는 거예요. 한참을 들여다봤습니다. 그날 집으로 돌아와 종이에 달항아리를 그려봤어요. 백자의 빙렬은 청자보다 많지 않지만 상상으로 표현해봤죠.”

달항아리는 조선시대 후기에 만들어진 백자대호(白磁大壺)의 또 다른 이름. 그 시대의 물레로는 한 번에 만들지 못했다. 윗부분과 아랫부분을 따로 만들어 붙여야 했기에 부정형(不定形)의 형태로 제작될 수밖에 없었는데, 어딘가 부족해 보이는 비대칭의 곡선이 오히려 감식가와 애호가들의 마음을 빼앗았다. 최 작가도 뉴욕 한복판에서 만난 달항아리의 매력에 푹 빠져버렸다. 특히 소박하면서도 당당한 기품이 자신이 추구하는 인생철학과 닮았다고 생각했다. 그때부터 마음속에 품은 달항아리의 이미지를 본격적으로 화폭에 담기 시작했다.

(사진 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사진 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빌앤멀린다 게이츠 재단’이 구매

2010년,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는 미국 마이애미에서 열린 ‘Scope Art Fair Miami’에서 최영욱 작가의 달항아리 작품을 세 점이나 사갔다. 최 작가가 달항아리를 그리기 시작한 지 몇 년 지나지 않아서였다.

“행사 때 제 그림은 아트페어 구석에 걸려 있었죠. 어느 날 ‘빌앤멀린다 게이츠’ 재단 홍보 담당 수석이 오더니 구매하고 싶다고 했어요. 순간 ‘빌 게이츠가 평소 백자에 관심이 있었나?’ 궁금했습니다. 다음 해에 재단에서 시애틀에 지은 건물 완공 기념식에 건축가와 작가들을 초대해 저희 가족도 한복을 입고 참여했죠. 아내가 보자기에 정성스럽게 싼 백자랑 놋수저를 빌 게이츠에게 선물했어요. 너무 좋아하더라고요. 나중에 들은 얘긴데, 그의 아버지가 40여 년 전 한국으로 여행 왔다가 경복궁 근처에서 달항아리를 사갔다는 거예요. 어렸을 때부터 우리나라 백자를 곁에 두고 지낸 거지요. 보는 게 정말 중요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빌 게이츠는 집에서 봤던 달항아리의 이미지를 기억하고 있었던 겁니다.”

이후 그에게는 ‘빌 게이츠 작가’라는 별칭이 따라다녔다. 더불어 달항아리의 의미를 재해석하고 현대적 표현 기법을 부여한 작업들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가 달항아리를 처음 그릴 때만 해도 “세계적인 소재도 많을 텐데 하필이면 달항아리냐, 참신하지 않다, 메시지도 좀 더 찾아봐라” 하며 염려하는 지인들이 있었다.

그의 생각은 달랐다.

“저는 아무 생각 없이 보고 있으면 그냥 좋은 작품을 그리고 싶었어요. 사회적 역할을 고심하며 메시지를 담는 작가는 이미 많습니다. 제 그림은 있는 듯 없는 듯 마치 벽지를 바라보듯 편안한, 문득 사람의 마음을 흔드는 하나의 무늬 같은 작품이길 바랐어요. 길가의 나무처럼 점점 정이 드는 풍경이 있잖아요. 어느 날은 시들어버린 것들에 시선이 갈 때도 있고요. 그런 그림을 그리는 화가로 살면 좋겠습니다.”

(사진 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사진 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빙렬’에 담긴 의미

그는 “달항아리의 꾸밈없이 단순한 모습과 색감은 우리 마음 밑바닥의 측은지심 같다”고 말한다. 그래서 그의 시선은 인간의 비밀한 내면에 자주 머무르며, 삶의 들숨과 날숨에 귀 기울인다. 세상을 바라보는 이러한 자세는 그의 몸속 깊이 내재된 성향으로 보인다.

“저는 달항아리처럼 살고 싶어요. 속세의 잡다한 것들에 쉽게 흔들리지 않고 둥글둥글 이해하며 포용하는 삶. 사실은 그 이야기를 하고 싶어서 달항아리를 소재로 선택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사람들이 제 그림을 보며 자기 인생을 뒤돌아보고 다른 사람들의 삶도 따뜻하게 안아주면 좋겠어요. 그림도 훌륭한 소통의 매개체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싶습니다.”

예술에 대한 정신적 지향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2010년부터 최근까지 그는 ‘카르마’라는 제목의 전시회를 열어 달항아리 연작을 발표해왔다. 그에게 카르마란 어떤 의미일까.

“처음부터 ‘카르마’를 생각하며 작업을 하진 않았어요. 달항아리의 빙렬을 표현하려면 며칠 꼬박 앉아 그려야 합니다. 이상하게 저는 그 시간이 좋더라고요. 실선을 따라가다 보면 어린 시절도 떠오르고, 다퉜던 친구들도 그립고, 어느 날은 내가 왜 여기 앉아 도자기를 그리고 있나 하는 생각에까지 이릅니다. 마치 제 인생길을 되돌아보는 느낌이 든다고 할까요. 백자와 처음 인연을 맺은 것은 1995년 무렵이었을 거예요. 결혼기념일에 아내와 함께 인사동에 나갔다가 자그마한 게 예뻐서 하나 샀어요. 그러고는 세월이 흘렀죠. 그런데 어느 날 달항아리를 그리다가 문득 그날이 떠오르면서 ‘그때 왜 백자를 샀지?’ 하는 질문을 하게 되더라고요. 인사동을 자주 드나들던 젊은 시절에는 눈에 띄지도 않았는데 지금 저는 달항아리를 그리고 있잖아요. 이렇게 계산되지 않은 우연성, 그것들이 모여 인연으로 이어지는 것 아닐까요. 그때부터 카르마를 생각하게 됐습니다.”

들여다보면 우리네 삶도 어쩔 수 없이 균열투성이다. 최영욱 작가는 바로 그 지점에서 구상과 추상의 경계를 넘나들며 빙렬을 그려낸다. 그리고 카르마로 이어지는 무수한 균열들은 해독할 수 없었던 존재의 운명을 비로소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길이 된다.

▲최영욱 작가가 달항아리 표면에 그려낸 무수한 빙렬. 만났다 헤어지고 다시 만나는 우리의 인생길을 의미한다.(사진 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최영욱 작가가 달항아리 표면에 그려낸 무수한 빙렬. 만났다 헤어지고 다시 만나는 우리의 인생길을 의미한다.(사진 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삶을 위로하는 그림을 그리고 싶다

최영욱 작가의 작업을 오랫동안 지켜본 지인들은 그의 달항아리 그림이 갑자기 나온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초기 작품인 풍경화, 추상화를 그릴 때도 즐겨 쓴 색채는 흰색 회색이 주조를 이뤘다는 것. 보일 듯 보이지 않게 그리는 화풍도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했다.

“대학교 때 흰색에 빠졌던 적이 있어요. 흰색이 너무 좋아 노트에다가 ‘나는 하얀 테이블보가 좋다, 국화 중에서는 흰 국화가 좋다’고 끄적이기도 했지요. 아쉽게도 백자가 좋다는 말은 없었네요.(웃음) 지금 생각하니 달항아리 그림을 위해 하나하나의 우연들이 저도 모르게 연결되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기교와 허식이 없는 백자만의 소박함 때문일까, 아니면 무채색으로 경계를 허물어버린 듯한 표현 기법 때문일까. 그의 달항아리에 대한 사람들의 감상은 좀 남다른 데가 있다.

“제 그림은 큰 메시지가 있는 것도 아니고 화려한 색채를 보여주는 작품도 아니어서 어떤 분들이 관심을 가질까 궁금했는데, 한참 들여다보고 있으면 시끄러웠던 마음이 차분해지면서 정화가 된다고 하네요. 제 작품 전시장에 오신 한 할머니는 달항아리 앞에서 눈물을 훔치시더래요. 왜 우시냐고 물어보니 ‘들여다보고 있는데 왜 그렇게 엄마 생각이 나는지… 나도 모르게 눈물이 흐르네요’라고 말씀하셨다더군요. 그런 말을 들으면 감사한 마음이 먼저 듭니다. 달항아리가 누군가에게 위로가 되고 화해의 시간을 마련해준다는 거잖아요. 어떤 분은 제 그림을 걸어놓고 차 마시고 명상하는 방을 꾸몄다더군요. 저도 작업실을 찾아오는 분들을 위해 그런 공간을 하나 만들어볼 생각입니다.(웃음)”

나이 들면서 그는 알게 됐다. 인생은 계획대로 흘러가지 않는다는 사실을. 불편한 결론이지만 그래서 자꾸 내려놓게 된다. 작업에 대한 강박도 버렸으니 이제 그의 달항아리가 어디로 튈지는 아무도 모른다.

(사진 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사진 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