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전주에 다녀오니 ‘혼불’이 읽고 싶어졌다

기사입력 2018-06-01 15:49

‘나는 원고를 쓸 때면 손가락으로 바위를 뚫어 글씨를 새기는 것만 같은 생각이 든다. 그것이 얼마나 어리석고도 간절한 일이랴 날렵한 끌이나 기능 좋은 쇠붙이를 가지지 못한 나는, 그저 온 마음을 사무치게 갈아서 손끝에 모으고 생애를 기울여 한마디 한마디 파나가는 것이다’

최명희의 장편 대하소설 ‘혼불’의 작가 후기 중 일부다. ‘혼불’ 하나면 된다고, 우리 문학사에 길이 남을 어여쁜 작품 하나 남긴 채 향년 51세에 우리 곁을 떠났다. 작품을 쓴다는 게 얼마나 고통스럽고 지독했는지, 손가락으로 바위를 뚫어 글씨를 새기는 것 같다는 말을 남겼을까? 이쯤 되면 그렇게 수고스럽게 태어난 책을 아무 생각 없이 읽는다는 게 여간 미안한 일이 아니라는 생각까지 든다.

▲전주시 풍납동 한옥마을에 자리한 최명희문학관.(최은주 동년기자)
▲전주시 풍납동 한옥마을에 자리한 최명희문학관.(최은주 동년기자)

전주 한옥마을 중앙에 난 큰길을 걷다가 중앙초등학교 꽃담을 끼고 조금 들어가니 오래전부터 가보고 싶던 ‘최명희문학관’이 보였다. 한옥마을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자그마한 한옥이었다. 대문을 들어서니 마당이 보였다. 이것저것 이벤트와 행사가 어수선하게 열리고 있어서 문학관에 대한 첫인상이 그리 좋지는 않았다.

그러나 그것은 단지 겉모습일 뿐이었다. 문학관을 들어서자 한평생 작품 쓰는 일에만 전념하고 살았던 작가의 생이 그대로 보이는 듯했다. 만 17년이라는 긴 시간을 하나의 작품에만 쏟아부은 투철한 작가 정신은 ‘나무를 심은 사람’의 주인공 양치기 노인을 떠오르게 한다.

▲최명희문학관 내부.(최은주 동년기자)
▲최명희문학관 내부.(최은주 동년기자)

노인이 평생토록 나무를 심어 자연과 인간에게 유익함을 만들어 냈듯, 최명희 작가는 하나의 작품을 위해 온 생애를 불살랐다. 한 사람의 숭고한 노력이 만들어낸 작품 하나가 우리 모두에게 얼마나 큰 감동과 울림을 주는지 최명희문학관에서 두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일필휘지를 믿지 않았던 작가는 원고지 한 칸 한 칸 정성스럽고 치열하게 글자를 채워 넣었을 것이다. 200자 원고지 2만 여장, 쌓아놓은 원고지의 높이가 3m에 이른다는 설명을 읽었다. 육필로 된 원고지 더미를 보는 순간 숱한 원고지와 글자들이 공간을 둥둥 떠다니며 아우성을 치는 것 같았다. 지독히 치열했고 고독 속에서 단 하나의 작품을 탄생시키기 위해 분투한 작가의 노력이 그대로 느껴졌다. 발걸음을 옮길 때마다 찌릿찌릿했다.

▲최명희 작가의 원고더미.(최은주 동년기자)
▲최명희 작가의 원고더미.(최은주 동년기자)

단발머리에 화장기 없는 얼굴을 한 작가의 외모는 수수하고 소박해 보이지만 그녀가 세심하게 다듬은 문장 하나하나는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극한까지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불행하게도 우리 역사와 삶과 정신을 아름다운 언어로 형상화해 한국 문학을 한 차원 높은 경지에 올려놓았다는 ‘혼불’을 아직 읽지 못했다. ‘태백산맥’이나 ‘토지’, ‘아리랑’, ‘장길산’ 등 장편 대하소설 읽는 것에 빠져있었던 때에도 ‘혼불’은 첫 장조차 펴지 못한 채 지금껏 지냈다.

‘이제 이 책을 읽을 때가 된 게 아닐까?’ 생각을 하며 최명희문학관을 나섰다. 전주에 오길 참 잘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