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디오를 한창 듣던 시절. 라디오 광고에서 최명희의 장편소설 <혼불>이 10권을 끝으로 완간된다는 소식을 들었다. 소설가의 의지가 아니었다. 손가락으로 바위를 뚫어 글씨를 새기듯 처절했던 몸부림을 생의 마감과 함께 알린 것이다. 길고 긴 소설, 아쉬움 속에 마침표 찍고 너울너울 혼불 돼 날아가버린 작가 최명희. 그녀의 살아생전 활동과 다양한 모습들을 만날 수 있는 최명희문학관에 다녀왔다.
소설 <혼불>의 작가 최명희를 만나다
거리는 화사했다. 어린 학생들의 터져 나오는 웃음소리, 상춘객들의 밝은 얼굴. 기분 좋은 전통 도시 전주는 여행객들과 신나게 어울리고 있었다. 이렇게 한옥마을 거리를 걷다 만나는 곳이 최명희문학관이다. 2006년, 전주 지역에 처음으로 세워진 최명희문학관은 전주시가 건설한 뒤 민간 전문가가 운영하고 있다. 작년 최우수 문학관에 뽑힌 최명희문학관은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지역주민들과 함께하는 문화예술현장으로 자리 잡았다.
최명희문학관은 말 그대로 작가 최명희를 기리고 만나는 장소다. 1980년에 등단해 1981년부터 대하소설 <혼불>을 집필하던 도중 1998년 난소암으로 세상을 떠난 작가 최명희. 살아생전 오로지 모국어에 대한 집착스런 사랑과 강한 필력을 바탕으로 마음을 사로잡더니 결국 독자들 가슴에 묻히고 말았다. 그녀의 혼이나마 편히 돌아와 살아 있는 곳이 바로 이곳, 최명희문학관이다. 물론 작가 최명희를 모르고 관심이 없다면 앞문을 통해 뒷문으로 나가는데 단 3초면 된다. 처마 밑에 내려놓은 돌 하나, 목각 하나에 담긴 의미를 되새기고 느낄 수 있는 사람이라면 하루 종일 이곳에서 시간을 보내도 멋질 것이다. 문학관 어느 한 공간에도 혼불이, 그리고 최명희가 없는 곳이 없다. 친구 혹은 지인들과 나눴던 엽서들도 전시하고 있다. 특히 드라마 작가 이금림이 기증한 최명희의 이력서가 눈에 띈다.
소설의 끝은 누구도 알 수 없다
최명희 하면 <혼불>을 꼽을 수밖에 없다. 1981년 5월 동아일보 창간 60주년 기념 장편소설 공모전에 당선된 이후 17년간 소설 쓰기에 집중했다. 당시 고료로 받은 2000만원은 강남의 아파트를 살 수 있을 만큼 많은 돈이었다. 최명희는 그 상금으로 강남의 성보아파트를 장만했다. 앉아서 글만 쓴다고 해서 지인들은 그녀의 아파트를 ‘성보암’이라 불렀고 그녀에게는 ‘성보살’이라는 별명을 달아줬다.
<혼불>은 1930~1940년대 일제강점기의 전라북도 남원이 배경이다. 유서 깊은 가문 ‘매안 이씨’ 문중에서 무너져가는 종가(宗家)를 지키려는 종부(宗婦) 3대와 이씨 문중의 땅을 부치며 살아가는 상민마을 ‘거멍굴’ 사람들 이야기를 다룬 소설이다. 사실 최명희는 10권을 끝으로 <혼불>을 끝낼 생각이 아니었다. 열 번째 책을 완성할 때쯤 난소암에 걸렸고 더 이상 집필을 할 수 없게 됐다. 최명희가 남긴 취재수첩 속에는 앞으로 쓰려고 했던 목록들이 수십 가지가 있었다. 그녀가 생존했다면 일제강점기 뒤 어떤 이야기가 펼쳐졌을지 아무도 모를 일. 끝을 알 수 없었던 작가 최명희의 열정을 사랑하고 기억하고 싶어 했기에 문학관이 생겨나고 많은 사람들이 찾는 것 아닐까.
최명희문학관을 다녀간 이름 하나, 하나…
최명희문학관은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백일장과 문학상 공모뿐만 아니라 전 세대를 아우르는 프로그램으로 대중과 소통하는 살아 있는 문학관이다. 시니어층 참여가 많다는 ‘2017 꽃심소리’는 <혼불>을 함께 읽어나가는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2006년 개관 때부터 이곳을 찾았던 사람들의 방명록은 모두 아크릴 상자에 담겨 전시되고 있다. 창고에 넣어둘 계획이었으나 공간이 협소해 방명록을 쓰는 한쪽에 놓아두었다. 방명록에 쓴 글은 스캔을 해서 홈페이지에도 올려놓는다. 최명희문학관에 방문해 방명록을 남겼다면 인터넷을 통해 언제든지 자신이 썼던 방명록 글을 찾아볼 수 있다.
여전히 사랑받는 소설가 최명희
하늘의 별이 돼서도 극진한 사랑을 받는 사람이 또 있을까 싶다. 눈과 귀를 자극하는 다양한 매체의 발달로 문학의 설 자리가 점점 좁아지고 있는 세상이지만 그녀를 기리는 문학관과 공원은 전북 지역에 세 곳이나 된다. <혼불>의 배경이 된 남원에는 소설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낸 혼불문학관(2009년 개관)이 있고, 최명희 작가의 모교인 전북대 옆에는 작가의 묘소와 함께 혼불문학공원이 자리하고 있다. 산책로 곳곳에 소설 속 문장을 적어놓은 비석이 인상적이다. 그중에서도 전주한옥마을 속 최명희문학관이 사람들의 발길이 제일 잦은 곳. 다양한 세대와 소통하며 매일이 바쁜 문학관이다. 현대를 살다 간 ‘최명희’라는 작가가 영원히 기억될 수 있는 곳으로 오래오래 함께하길 바라본다.
이용 정보
관람시간 오전 10시~오후 6시
휴관일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날과 추석
주소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최명희길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