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에로 포르나세티 PRACTICAL MADNESS(실용적인 광기) 전은 그의 작품이 프린트된 자동문으로 들어서며 광기의 세계가 확 펼쳐진다. 단번에 첨벙 또 다른 세계로 빠진다. 2013년 포르나세티(1913~1988) 탄생 100주년을 맞아 밀라노 트리엔날레 뮤지움에서 전시한 이 작품들은 아들인 바르나바 포르나세티가 기획했다. 1,000여 점이 넘는 작품을 아이콘, 수집가의 방, 주제와 변형들, 트레이로 나눠 전시했다.
아이콘의 방에서는 주로 장식장과 병풍이 많았는데 이는 건축가 지오 폰티와 콜레보레이션 작품으로 예술에 대해 열려 있는 그의 자세를 알 수 있다. 서로 상대방의 예술을 높이 평가하며 얻어진 최상의 시너지 효과다. 소재의 질감과 실용성을 살린 정교한 설계와 색다른 주제의 석판화가 어우러졌다.
드로잉, 잉크 작업, 프레싱 등 여러 단계를 거친 석판화는 유화나 수채화 등에서 찾아볼 수 없는 섬세함과 실크스크린의 냉정한 정교함을 순화시킨 질감이 돋보인다. 이런 작품을 볼 때 필자는 약간 숨이 막히는 기분이 든다. 그래서 그럴 때는 숨을 허투루 쉬지 않고 아주 조금씩 잘게 나눠서 쉬어야만 한다.
늘 느끼는 것이지만, 한 치의 오차나 흐트러짐도 용납하지 않는 판화 작업 탓인지 판화가의 작업실은 반듯하게 정리되어 있다. 포르나세티도 마찬가지였다. 판화 도구는 마치 외과 수술실에서 크기 순서대로 누워있는 기구들 같아 기묘한 느낌이다. 피카소나 고흐의 어지러운 화실과는 대조적이다. 이런 단정한 생활 속에서도 광기의 예술이 탄생한다니 놀랍다.
이 모든 작품의 기발한 아이디어와 상상력은 그의 탄탄한 독서량에 기초한다. 그 위에 호기심, 흥미, 소질, 재치가 범벅되니 누구도 쉽게 흉내 낼 수 없는 독보적인 작품들이 끊임없이 쏟아져 나온다. 그는 한 가지 주제를 잡으면 그 주변을 맴돌며 누에가 실을 뽑듯 끊임없이 그 주제의 뿌리를 찾아 파 내려갔다.
작품을 둘러보며 무척 이색적인 소재는 당시 오페라 가수 리나 카발리에리(1874~1944)의 얼굴이다. 한 번도 만난 적 없는 그녀의 얼굴을 잡지에서 보고 350여 점이나 창작해 내다니. 초상화에서 모빌까지 그녀가 평생 지을 수 있는 각종 표정을 다 만들어놓았다. 갑자기 리나 카발리에리가 이 작품을 봤다면 어떤 표정을 지었을지 궁금해진다.
‘21세기 레오나르도다빈치’라는 별명을 가진 그의 작품은 그림이나 장식 자체로도 좋았지만, 실제 사용할 수 있는 트레이나 우산꽂이 등에도 적용했다는 점이 여자들의 마음을 확 잡아끈다. 2시간 넘게 1,000여 작품을 보며 이렇게 재미있었던 적은 별로 없었던 것 같다. 그의 재치 어린 붓 처리나 서명은 마치 패션의 마무리로 구두까지 꼼꼼하게 신경을 쓴 멋쟁이의 아우라다.
“나는 절대 유행 타지 않을만한 유행의 멋을 창조한다”는 그의 말이 현실로 살아 숨 쉬는 공간이었다. ‘참 재미있는 사람이구나!’라는 생각을 하며 전시장을 나서는데 뒤에서 그가 장난기 어린 미소를 띠며 배웅하는 것 같았다. 우주선을 타고 포르나세티 별에 다녀온 기분이다.